• 제목/요약/키워드: leaf apex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5초

느티나무 18개 집단의 엽 형질 변이 (Variation of leaf morphology among 18 populations of Zelkova serrata Mak.)

  • 김인식;권해연;유근옥;최형순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40-49
    • /
    • 2010
  • 느티나무를 용재자원으로 육성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전국 18개 집단에 대한 엽 형질 변이를 조사하였다. 엽신장, 엽폭 등 14개 엽 형질을 조사한 결과, 모든 측정형질에서 집단 간 및 집단 내 개체 간에 고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최대 엽폭까지의 길이(x3)와 최대 엽폭까지의 길이/엽신장(x10)은 집단 내 개체 간 보다 집단 간의 변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별로 보면 측정형질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평균적으로 구례, 정읍, 경주 집단의 변이가 컸으며 영월, 청송, 영천 집단은 변이가 작은 편이었다. 엽 형질간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엽 크기 관련 형질들 간에는 상관이 높았으나 엽형지수간에는 상관이 낮았다. 환경요인과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최대 엽폭까지의 길이(x3)와 최대 엽폭까지의 길이/엽신장(x10)는 위도, 해발고와 유의한 정의 상관을 나타냈는데 이는 집단별 연평균 기온의 차이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연평균 강수량은 엽신장(x1), 엽폭(x2), 엽두에서 첫 번째 거치까지의 길이(x5) 및 엽면적(x8)과 낮은 부의 상관을 나타냈는데 조사대상 집단들이 대부분 계곡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강수량이 많을 경우 잎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주성분 분석을 통해 고유값 1.0이상으로 의미를 갖는 4개 주성분을 도출하였는데 전체 분산에 대한 설명력은 88.5%였다. 제1주성분은 엽면적(x8), 제2주성분은 최대 엽폭까지의 길이(x3), 제3주성분은 거치수(x6), 제4 주성분은 엽병장(x4)의 기여도가 가장 높았다. 유집분석 결과, 느티나무 집단은 크게 두 개의 분지군으로 나뉘었는데 이는 분지군 간의 연평균기온의 차이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그러나 동일 분지군 내 집단들의 유집 결과에서는 지리적 거리 또는 환경구배에 따른 경향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한국산 괭이사초아속(subgen. Vignea Nees) 6절의 분류 형질에 관한 연구 (A taxonomic study on six section subgenus Vigena Nees of Carex L. (Cyperaceae) in Korea)

  • 오용자;조미정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27-253
    • /
    • 2003
  • 한국산 사초속(Carex Linn$\acute{e}$) 괭이사초아속(subgen. Vignea Nees), 통보리사초절(sect. Macrocephalae K$\ddot{u}$k.), 나도벌사초절(sect. Gibbae K$\ddot{u}$k.), 겹개구리사초절(sect. Stellulatae Kunth), 충실사초절(sect. Elongatae Kunth)과 타래사초절(sect. Ovales Kunth) 식물 각각 1종과 산사초절(sect. Heleonastes Kunth) 식물 2종을 대상으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고,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과낭, 수과와 잎의 표피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정량적 형질(줄기, 잎, 이삭, 비늘조각, 총포, 과낭과 수과의 길이와 너비, 총포의수, 잎의 기공복합체의 크기와 빈도, 기본세포줄, 기공줄의 수), 정성적 형질(암 수이삭, 비늘조각, 과낭과 수과, 줄기의 단면모양과 비늘조각 윗부분의 모양, 과낭과 수과의 표피세포, 잎의 표피구성요소; 기본표피 세포의 모양, 세포벽의 굴곡, 규소체의 모양, 부세포의 모양)과 잎의 앞 뒷면의 유두돌기, 가시돌기와 털의 유 무등이 종을 동정하고 식별하는데 유용하였다. 그 결과 괭이사초아속에 속하는 6절의 식물 중에는 자웅이주로 암꽃 이삭화서와 수꽃 이삭화서가 다른 개체로 된 통보리사초절과 자웅동주이나 수꽃이 아래부분에 암꽃이 윗부분에 배열되는 양성화 이삭화서로 자웅형이삭(gynecandrus) 형태를 이루는 나도벌사초절, 겹개구리사초절, 충실사초절, 타래사초절, 산사초절로 크게 나눌 수 있었고, 과낭의 가장자리의 날개모양과 부리모양, 과낭 표피의 맥의 유 무, 잎의 앞 뒷면의 유두돌기와 가시돌기의 유 무가 괭이사초 아속에 속하는 절과 종을 구별하는 유용한 형질로 확인 되었다.

한국산 겨우살이의 생장과 조직해부학적 특성 (Plant Growth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istel(Viscum album var. coloratum(kom.)Ohwi))

  • 박충헌;박춘근;방경환;박희운;성낙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2-126
    • /
    • 2003
  • 겨우살이 기생위치는 숙주목(상수리나무 등)의 종류에 관계없이 대부분 지면에서 5-10m높이의 일사량이 많은 상단부에 기생하였다. 줄기의 분화는 주경에서 2개씩 연속분지를 형성하였고, 잎은 정단줄기의 상단부에 2매씩 대생하였으며, 종실은 연황색의 7-8mm 크기의 장과였다. 겨우살이 화아분화는 초기 둥근 돔형의 화아정단이 형성되고 엽원기가 1, 2매 차례로 분화한 다음 심장형으로 발달하며 악편이 발생하였는데, 중앙부에서 먼저 진행되었고 이어 양측 면에 2개를 형성하였다. 잎은 이면의 표피 2-3층 아래에 기공과 공변세포가 관찰되었고, 겨우살이는 기주목의 흡착부에서 기주조직의 코르크층을 통과하여 목질부에 뿌리를 내리고 여러 갈래로 분지하여 생장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Random Insertional Mutagenesis with Subtracted cDNA Fragments in Arabidopsis thaliana

  • Euna Cho;Kwon, Young-Myung;Lee, Ilha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7권3호
    • /
    • pp.103-108
    • /
    • 2000
  • We have evaluated a new mutagenesis strategy called random insertional mutagenesis with subtracted cDNA fragments. The cDNAs from long day Arabidopsis plants were subtracted by cDNAs from short day plants using PCR based cDNA subtraction. The subtracted cDNAs were inserted between 35S promoter and 3'-NOS terminator regardless of orientation. When the cDNA library was used for the random insertion into Arabidopsis genome by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approximately 15% of transformants showed abnormal development in leaf, floral organ, shoot apex. When 20 mutants were analyzed, 12 mutants showed single cDNA fragment insertion and 8 mutants showed more than 2 transgene insertions. Only two mutants among 12 mutants that have single cDNA insert showed consistent phenotype at T2 generation, suggesting the genetic instability of the mutants.

  • PDF

Tofieldia ulleungensis (Tofieldiaceae): A new species, endemic to Ulleungdo Island, Korea

  • JO, Hyeryun;GHIMIRE, Balkrishna;HA, Young-Ho;LEE, Kang-Hyup;SON, Dong Chan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43-350
    • /
    • 2020
  • Tofieldia ulleungensis, a new species of the genus Tofieldia from the Nari Basin on Ulleungdo Island, Korea,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The new species is similar to T. yoshiiana var. koreana in terms of the plant height and in that it has having a long raceme, whitish tepals, and whitish stigma, but can be readily distinguished from the latter by the presence of 1-2 linear cauline leaves, a slightly bent leaf apex, basal leaves which are twice as wide, a shorter pedicel, a revolute style, and crescent-shaped seeds.

남도현호색: 한국에서 발견된 현호색속 현호색절의 1신종 (Corydalis namdoensis B.U. Oh et J.G. Kim: A new species of Corydalis sect. Corydalis (Fumariaceae) from Korea)

  • 오병운;장창기;윤창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65-271
    • /
    • 2004
  • 현호색과 현호색속 현호색절의 1신종인 남도현호색이 한국의 중부 및 남부 지방에서 발견되어 기재되었다. 신종은 매우 다양한 엽형과 넓고 편평한 방추형 열매를 가짐으로써, 또한 삭과 내에 종자가 거의 2열로 배열하고, 내화판의 정단이 V자 모양으로 함몰하며, 다소 제한된 분포역을 가짐으로써, 이와 유사한 흰현호색과 뚜렷이 구별되었다.

2종(種) 작약류(芍藥類)의 내외부형태(內外部形態)와 패턴분석 연구(硏究) (A Study on Morphological and Pattern Analysis in 2 kinds of Paeoniae Radix)

  • 송경송;최고야;김홍준;주영승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41-154
    • /
    • 2005
  • The following is a taxonomic list of the specific features of external and internal shape and pattern analysis of Paeonia lactiflora PALL. and P. obovata MAX as the standard of herbal medicine. 1. External shape of original plant P. lactiflora has lancelate and elliptical leaves with no hair on both sides. It bears a flower bud at the shoot apex or leaf axil. On the other hand, P. obovata has obovate leaves with hair on the back side. It has a single flower bud at the shoot apex. 2. Physical characteristics of herbal states P. lactiflora has a bright and smooth external surface whose color is light red brown, light gray on its section and it is not easy to cut. On the other hand, P. obovata has a coarse external surface whose color is dark brown, pinkish on its section and it is easy to cut. 3. Physical characteristics of herbal state in currents Paeonia Radix Alba is brown on the external surface, and whitish on its section. On the other hand, Paeonia Radix Rubra is dark brown on the external surface, and yellowish-white on its section. 4. Internal characteristics Internal shape is correspond to that of Paeonia Radix described in literatures. Only P. lactoflora has a concentrated vascular bundle toward centeral cylinder. On the other hand, P. obovata has a scattered vascular bundle at the cortex. 5. Physicochemical pattern by HPLC Both P. lactoflora and P. obovata showed the same pattern. Paeoniforin, a main component, appears upon 13.68 in retention time (Rt) in both. In addition, both contain a large amount of paeoniflorin. Such results will, in the future, be used as basic source for the additional research, such as biological reactions and genetic discrimination.

  • PDF

Unrecorded moss species from Korean flora II

  • Yoon, Young Jun;Kim, Chul Hwan;Gorobets, Konstantin-V.;Sun, Byung-Yun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35-241
    • /
    • 2011
  • Five unrecorded species (Oedipodium griffithianum, Myurella tenerrima, Trachypus bicolor, Coscinodon humilis, Meteorium miquelianum subsp. atrovariegatum) with one unrecorded family and two unrecorded genera, were reported as new to the Korean moss flora. The monotypic family Oedipodiaceae consisting of a single genus and single species was distinguished from Splachnaceae by small plants that were 10 mm in length simple or sometimes branched, obovate-spathulate to ${\pm}$ orbicular, costa ending below the apex and entire margins except for the lower long-ciliate portion The species was first found at the top of the Mt. Seorak at an altitude of 1708 m. The two genera, Myurella and Coscinodon were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 Myurella tenerrima (Theliaceae) was found around the top of Jung-bong on Mt. Jiri. It was mixed with other mosses in the crevices of rocks in the alpine regions. The species is similar to M. sibirica, yet it can be distinguished by the position of papilla in the median laminal cells. Coscinodon humilis (Grimmiaceae) were found on the ridge of Mt. Gaya. C. humilis has a variety of hyaline apex according to leaf position and forms a capsule so it can be distinguished by family. Trachypus bicolor and Meteorium miquelianum subsp. atrovariegatum are unrecorded species. T. bicolor (Trachypodaceae) were found on the ridge of Mt. Gaya. T. bicolor is similar to T. humilis but distinguished by the costal lengths of the leaves. M. miquelianum subsp. atrovariegatum (Meteoriaceae) was found in Gageo-do. This species was distinguished by the plant form and morphology of stem leaves in the same genus.

한국산 미기록 식물: 주걱비름 (돌나물과) (An unrecorded species in Korean flora: Sedum tosaense Makino (Crassulaceae))

  • 송관필;송국만;현화자;김찬수;김문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59-364
    • /
    • 2004
  • 제주도 산굼부리 분화구내에 생육하는 돌나물과(Crassulaceae)에 속하는 주걱비름(Sedum tosaense)을 채집하여 국내 미기록 종으로 보고한다. 본 종은 말똥비름(S. bulbiferum)과 땅채송화(S. orizifolium)와 유사하지만 말똥비름은 포복경을 내지 않는 1년생 또는 2년생 초본이고, 잎은 거치가 없으나 엽신 윗부분이 다소 불규칙하며, 원두 또는 둔두이고, 엽액에 주아를 만드는데 비해서 본 종은 포복경을 갖는 다년생 초본이며, 잎은 거치가 없고 요두이며, 엽액에서 주아를 만들지 않는 점에서 다르다. 또한 땅채송화는 모든 잎은 원주상 또는 다소 편평한 선형에서 좁은 장타원형인데 비해서 이 종은 잎이 뚜렷하게 편평하고, 꽃이 피지 않는 줄기의 잎은 주걱형이라는 점에서 다르다.

Entyloma cosmi에 의한 코스모스 흰깜부기병 발생 (Occurrence of White Smut Caused by Entyloma cosmi on Cosmos bipinnatus in Korea)

  • 박지현;조성은;박미정;홍선희;신현동
    • 식물병연구
    • /
    • 제18권3호
    • /
    • pp.250-254
    • /
    • 2012
  • 2011년 7월 남양주에서 코스모스에 흰깜부기병이 크게 발생함을 발견하였다. 중부지방의 코스모스 집단식재지 9곳을 답사한 결과, 모두 50% 이상의 발병률을 보였다. 초기 병징은 잎에 담녹색이거나 퇴색부위가 생기고, 이어서 병반에는 흰 곰팡이가 서릿발처럼 밀생하였다. 각 병반이 융합되고 괴사되면서 식물체의 관상적 가치는 크게 훼손되었다. 분생포자다발은 잎 뒷면에 생기나 발병 후기에는 앞면에서도 관찰되었다. 분생포자경은 10-40개 정도가 다소 빽빽한 다발을 형성하며, 무색이며, 대부분 기름방울을 가지며, 길이 $20-45{\mu}m$에 폭 $2-4{\mu}m$이며, 꼭대기는 대체로 둥근 편이며, 분생포자흔은 뚜렷하지 않았다. 분생포자는 단생하며, 소시지 모양이며, 무색이며, 단세포이며, 대부분 기름방울을 가지며, 위쪽은 둥글며, 아래쪽은 둥글거나 절단형이며, 길이 $17-24{\mu}m$에 폭 $3.5-5{\mu}m$이며, 배꼽은 뚜렷하지 않았다. 포자퇴는 둥글거나 길쭉하며, 초기에는 희끗하게 보이나 후기에는 갈색의 점처럼 보였다. 겨울포자는 잎 조직 속에 박혀있으며, 근원형이거나 타원형이며, 무색에 가깝거나 옅은 황갈색이며, 길이 $12.5-20{\mu}m$에 폭 $10-15{\mu}m$였다. 이러한 균학적 특징은 코스모스 흰깜부기병균 E. cosmi V$\acute{a}$nky, Horita & Jage와 일치하였다. 이는 한국에서 E. cosmi에 의한 코스모스 흰깜부기병의 최초 보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