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apex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4초

Comparative morphological analysis reveals a new record of Boehmeria nakashimae (Urticaceae) in Korea

  • Hyeong Jun JO;Hyun-Do JANG;Dae-Hui JEONG;Jae Young KIM;Gyu Young CHUNG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13-221
    • /
    • 2023
  • A newly recorded species, Boehmeria nakashimae Yahara, is confirmed for the first time to be distributed on forest edges on Jejudo Island, Korea. This species is known to be endemic to northern Kyushu, Japan. It is characterized by ovate to broadly ovate, elliptic-ovate, or sub-orbicular middle leaf shapes, serrulate-dentate and uniform margins, 17-29 teeth on one side, a short caudate or narrowly acute apex, dense glomerules at fruiting, and densely strigillose on the stems, both surfaces of the leaves, the perianth of staminate flowers, and achenes. Therefore, it is given the new name 'Je-ju-top-mo-si-pul' in Korean based on its serrulate-dentate leaf margin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A description, photographs, illustrations, and keys of related taxa in Korea are provided.

일장처리에 따른 보리의 출수관련형질의 품종간 차이 (Varietal Difference of Some Traits Related to Earliness under Different Daylength in Barley)

  • 천종은;이은섭;정동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14-319
    • /
    • 1985
  • 장일과 단일조건에서 보리 7개 품종의 엽수, 유수발육, 유수장, 영화수 및 지엽전개일수의 차이를 검토하고자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장일조건에서 품종간 주간엽수의 차이는 거의 없었으나 단일조건에서는 조숙종은 6∼7엽, 만숙종은 9∼10 엽이었다. 2. 단일조건에서 조숙인 조강보리, 오월보리는 유수의 발육이 이식 24일경에 X기에, 만숙인 CI 15446은 32일경에 X기에 도달하였다. 3. 유수장의 변화는 장일보다 단일조건에서 커서 조숙종은 이식 30일에 만열종은 51일경에 최대 신장을 보였다. 4. 단일에서 일수입수가 2배정도 많았으며 감광성이 적은 품종은 조강보리, 오월보리 등이었고 큰 품종은 새올보리 >CI 15446 >항미 순위이었다. 5. 본 실험결과로 조숙종은 만숙종에 비해 단일조건에서 주간엽수의 변이가 적고, 주간의 유수발육 및 유수장신장의 지연, 출수기의 지연이 적었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served Functions of Arabidopsis DRL1 and Yeast KTI12

  • Jun, Sang Eun;Cho, Kiu-Hyung;Hwang, Ji-Young;Abdel-Fattah, Wael;Hammermeister, Alexander;Schaffrath, Raffael;Bowman, John L.;Kim, Gyung-Tae
    • Molecules and Cells
    • /
    • 제38권3호
    • /
    • pp.243-250
    • /
    • 2015
  • Patterning of the polar axis during the early leaf developmental stage is established by cell-to-cell communication between the shoot apical meristem (SAM) and the leaf primordia. In a previous study, we showed that the DRL1 gene, which encodes a homolog of the Elongator-associated protein KTI12 of yeast, acts as a positive regulator of adaxial leaf patterning and shoot meristem activity. To determine the evolutionally conserved functions of DRL1, we performed a comparison of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DRL1 and its yeast homolog, KTI12, and found that while overall homology was low, well-conserved domains were presented. DRL1 contained two conserved plant-specific domains. Expression of the DRL1 gene in a yeast KTI12-deficient yeast mutant suppressed the growth retardation phenotype, but did not rescue the caffeine sensitivity, indicating that the role of Arabidopsis Elongator-associated protein is partially conserved with yeast KTI12, but may have changed between yeast and plants in response to caffeine during the course of evolution. In addition, elevated expression of DRL1 gene triggered zymocin sensitivity, while overexpression of KTI12 maintained zymocin resistance, indicating that the function of Arabidopsis DRL1 may not overlap with yeast KTI12 with regards to toxin sensitivity. In this study, exp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lass-I KNOX genes were downregulated in the shoot apex, and that YAB and KAN were upregulated in leaves of the Arabidopsis drl1- 101 mutant. Our results provide insight into the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the SAM and leaf primordia required for the establishment of leaf polarity by mediating histone acetylation or through other mechanisms.

팥꽃나무속(팥꽃나무과)의 신종: 제주백서향(Daphne jejudoensis M. Kim) (A new species of Daphne (Thymelaeaceae): D. jejudoensis M. Kim)

  • 이정심;이강협;소순구;최창학;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94-98
    • /
    • 2013
  • 제주도 선흘에서 팥꽃나무속의 신종인 제주백서향(Daphne jejudoensis M. Kim)을 발견하여 기재하였다. 제주백서향은 꽃이 백색이고 잎은 상록성이며 긴 꽃받침 통을 가져 백서향(D. kiusiana)과 유사하다. 그러나 제주백서향은 꽃받침 통과 열편에 털이 없고 장타원형(점첨두) 잎을 가지며 제주도의 중산간지역에서 자라는 반면에, 백서향은 꽃받침 통과 열편에 털이 있고 도피침형(급첨두) 잎을 가지며 거제도의 해안가에서 자라는 점에서 두 종이 뚜렷하게 차이가 난다.

작은귀이끼과(Lejeuneaceae)의 한반도 미기록 태류식물 (Six unrecorded species from the family Lejeuneaceae (Marchantiophyta) in Korea)

  • 최승세;;김철환;선병윤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50-156
    • /
    • 2012
  • 작은귀이끼과(Lejeuneaceae)에서 우리나라 미기록 태류식물 6 종을 발견하였다. 거제도에서 생육하는 응달이끼(Archilejeunea kiushiana), 가야산에 생육하는 칼잎이끼 (Drepanolejeunea angustifolia)와 동굴작은귀이끼(Lejeunea otiana), 완도 상황봉 계곡에 생육하는 계곡작은귀이끼(Lejeunea aquatica), 설악산 소청봉 부근에 생육하는 산토끼이끼 (Leucolejeunea japonica) 그리고 가거도에 생육하는 섬이끼(Spruceanthus semirepandus)를 국내 미기록 태류식물로 보고한다.

후박나무 10개 천연집단의 엽형질 변이 (The Leaf Morphological Variation of Ten Regions of Natural Populations of Machilus thunbergii in Korea)

  • 양병훈;송정호;이재천;박용구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3호
    • /
    • pp.25-33
    • /
    • 2011
  • 후박나무의 유전자원보존을 위하여 10개 천연집단을 대상으로 9가지 엽의 형태적 특성에 대한 집단간 및 집단내 개체간 변이를 조사하고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엽의 평균 생장은 엽신장 9.8cm, 최대엽폭 4.0cm, 엽병길이 1.8cm, 엽맥수 8.4개, 엽저각 $67.9^{\circ}$, 엽두각 $78.0^{\circ}$로 나타났다. 각 형질특성에 대한 변이계수 값은 대체적으로 20% 내외의 비교적 유사한 특성을 나타냈다. Nested 분산분석 결과 모든 특성에서 집단간 및 개체간에 고도의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전체 분산 가운데 집단간보다 집단내 개체간 차지하는 비율이 모든 특성들에서 높게 나타났다. 집단간 유연관계는 Euclidean distance 1.2 수준에서 크게 4개의 그룹으로 나뉘었으나 지리적 분포에 따른 특별한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유집군의 유형에 대한 주성분분석 결과 제3주성분까지가 누적변이 값이 92.8%로 나타났다. 제1주성분의 기여율은 40.3%로 대체적으로 최대엽폭, 제2주성분의 기여율은 28.7%로 엽신장, 제3주성분의 기여율은 23.8%로 엽병길이 특성의 기여도가 높게 나타나 후박나무 집단간 유연관계에 중요한 정보를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둥근대이끼(산주목이끼과)의 신분포지 및 형태적 특징 (A Short Record for the New Distribution and Som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Plagiothecium platyphyllum Mönk. (Plagiotheciaceae))

  • 황규진;박선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98-403
    • /
    • 2020
  • 둥근대이끼(P. platyphyllum)는 산주목이끼과 산주목이끼 속에 속하는 선류 식물이다. 중국, 일본, 유럽, 북한에 분포하고 있다. 특히, 북한 지역에는 관모봉, 금강산, 묘향산, 차일봉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남한 지역에는 2017년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산북리 대둔산 수락계곡에 자생하고 있음이 처음 확인되었다. 식물체의 색깔은 녹색에서 암녹색이고 윤기가 난다. 줄기에는 중심속이 발달해 있다. 가지는 불규칙하고, 가지잎은 편평하게 붙는다. 잎은 난상 피침형으로 2.0~2.5 × 1.0~1.4 mm이며, 비대칭하는 것이 특징이다. 잎 중앙세포는 80~127 × 10~16 ㎛로서 형태는 장사방형이다. 본 연구에서 둥근대이끼의 형태학적 기재와 동정을 위한 주요 형태 형질의 사진, 도해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한국산(韓國産) Prunus속(屬) 수(數) 종(種)의 엽밀선(葉蜜腺)의 형태(形態)에 관한 연구(硏究) (Morphological Study on the Leaf Nectar Glands of Some Prunus Species in Korea)

  • 박광우;정우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4호
    • /
    • pp.407-412
    • /
    • 1990
  • 한국산(韓國産) Prunus 4종(種) 품종(品種)에 대한 엽신저부분(葉身底部分)과 엽병상(葉柄上)의 밀선(蜜腺)의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은 다음과 같았다. 밀선(蜜腺)의 형태(形態)는 평면상(平面上)으로 원형(圓型)과 부정타원형(不定楕圓型)이 있으며 원형(圓型)에는 개벚지나무, 산개벚지나무, 산벚나무와 왕벚나무가 있었고, 부정타원형(不定楕圓型)에는 올벚나무가 있었다. 밀선(蜜腺)의 측면상(側面上) 형태(形態)는 중앙요두형(中央凹頭型)으로 개벚지나무, 산벗나무와 왕벗나무가 있었으며 부정요두형(不定凹頭型)은 올벚나무, 원두형(圓頭型)은 산개벚지나무 1종(種)이 있었다. 특이(特異)하게 올벚나무는 밀선(蜜腺)이 엽신(葉身)에서 융기되어 엽신(葉身)뒷면이 함몰된 형태(形態)를 나타냈다. Prunus속(屬) 및 종(種)은 밀선(蜜腺)의 부위별(部位別) 출현율(出現率)과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에 의해 검색(檢索)이 자능(可能)하였다.

  • PDF

한국산 사초속 사초아속(Carex L. subgen. Eucarex Cross & Germ.) 피사초절과 그늘사초절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n sect. Rhomboidales Kük. and sect. Digitatae Fr. of genus Carex L. subgen. Eucarex Cross & Germ. (Cyperaceae) in Korea)

  • 오용자;김지현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01-338
    • /
    • 2002
  • 한국산 사초속 사초아속(Eucarex Cross & Germ.) 피사초절(section Rhomboidales Nees) 4종과 그늘사초절(section Digitatae Fr.) 7종을 대상으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고,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과낭, 수과와 잎의 표피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정량적 형질(줄기, 잎, 이삭, 비늘조각, 포, 과낭과 수과의 길이와 너비, 포의 수)과 정성적 형질(이삭, 비늘조각, 과낭과 수과의 모양, 엽설의 유무, 줄기단면과 비늘조각 윗부분의 모양) 및 과낭, 수과와 잎의 표피형(기본표피세포모양, 세포벽의 굴곡, 규소체의 수와 모양, 기공복합체의 크기와 빈도, 부세포의 모양)이 종을 동정, 식별하는데 유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잎, 줄기, 암꽃 비늘조각과 과낭의 길이, 과낭부리 모양과 부리 표피형이 피사초절과 그늘사초절을 나누는 유용한 형질이 되었다. 그리고 외부형태학적 특징이 유사하여 동정에 어려움이 있어온 가는잎그늘사초(C. humilis Leyss.)와 그늘사초(C. lanceolata Boott.)는 줄기의 길이, 엽설의 유무, 줄기 단면모양과 과낭, 수과와 잎의 표피형에서 차이를 보여 두 종을 식별할 수 있었다. 또한 넓은잎그늘사초(C. pediformis C. A. Meyer)를 그늘사초(C. lanceolata Boott)의 아종이나 변종으로 취급하는 등 학명사용에 혼란이 있어 왔으나 과낭과 수과의 모양, 줄기 단면의 모양과 과낭, 수과와 잎의 표피형에서 뚜렷히 구분되어 각각 다른 종으로 취급하였고 학명과 국명을 정리할 수 있었다.

Morphometric analysis of the Daphne kiusiana complex (Thymelaeaceae) using digitized herbarium specimens

  • KIM, Yoon-Su;OH, Sang-Hun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144-155
    • /
    • 2022
  • Daphne kiusiana is an evergreen shrub with dense head-like umbels of white flowers distributed in southern Korea, Japan, China, and Taiwan. Plants in China and Taiwan are recognized as var. atrocaulis by having a dark purple stem, elliptic leaves, and persistent bracts. Recently, plants on Jejudo Island were segregated as a separate species, D. jejudoensis, given their elliptic leaves with an acuminate apex, a long hypanthium and sepals, and a glabrous hypanthium. Morphological variations of three closely related taxa, the D. kiusiana complex, were investigated across the distributional range to clarify the taxonomic delimitation of members of the complex. Twelve characters of the leaf and flower were measured from digitized herbarium specimens using the image analysis program ImageJ and were included in a morphometric analysis, the results of which indicate that the level of variation in the characters is very high. The results of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eakly separated D. jejudoensis from D. kiusiana according to their floral characteristics, such as a longer, glabrous hypanthium, and larger sepals. However, some individuals of D. kiusiana, particularly those from Bigeumdo Island, were included in D. jejudoensis. Recognition of D. kiusiana var. atrocaulis based on the leaf shape was not supported in the analysis, and D. jejudoensis may be recognized as a variety of D. kiusiana. Our morphometric analysis shows that digitized images of herbarium specimens could be useful and an additional method by which to investigate more diverse specim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