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wood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초

Micro Structural Changes in Juvenile and Matured Wood of Populus tomentiglandulosa T. Lee

  • Lu, Sun;Ahmed, Sheikh Ali;Chong, Song-Ho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9-36
    • /
    • 2006
  • Juvenile and matured wood of Populus tomentiglandulosa species of Salicaceae native grown in Korea was observed by FE-SEM and optical microscope. Species is characterized by mostly diffuse-porous, simple perforation plates, polygonal alternate non-vestured intervessel pit, medium length of vessel elements and fibres, non-septate very thin walled libriform fibres and exclusively uniseriate procumbent rays. Axial parenchyma was absent or extremely rare. Vessel and fibre length were longer in both matured and juvenile latewood than those of earlywood. Ray cell lumen diameter, ray length, number and diameter of endwall pit in ray cell, endwall pit, number and diameter of pit in lateral wall of one ray parenchyma cell, vessel ray pit number and diameter vary from juvenile early and latewood to matured wood.

  • PDF

Relationship between Anatomical Properties and Modulus of Rupture (MOR) of Larix kaempferi Carr

  • Oh, Seung-Won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1호
    • /
    • pp.9-14
    • /
    • 2011
  • Larix kaempferi is a tree with a major economic impact and is processed in large quantity every year in Ko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llect basic data for the reasonable use of Larix kaempferi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anatomical properties and modulus of rupture (MOR) for heartwood and sapwood. As the length of earlywood tracheid and the radial wall thickness of earlywood tracheid and latewood tracheid increased, the modulus of rupture (MOR) increased, but decreased with increasing microfibril angle. Statistical analysis by the stepwise regression technique shows that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modulus of rupture (MOR) of heartwood are the microfibril angle and the radial wall thickness of latewood tracheid, while those affecting MOR of sapwood are the length of earlywood tracheid and the microfibril angle.

목탄시비 수목의 재질 (Wood Quality of Trees Fertilized by Charcoals)

  • 김병로;신창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3호
    • /
    • pp.55-60
    • /
    • 2008
  • 본 연구는 목재의 재질에 대한 목탄 시용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묘목의 연륜폭은 대조구보다 목탄시용구에서 더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탄시용에 있어서, 낙엽송탄이 가장 큰 연륜폭을 나타냈고 다음으로 잣나무탄, 파티클보오드탄, 상수리탄 순으로 나타났다. 만재율과 비중은 목탄시용구가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낙엽송탄에서 가장 낮았다. 가도관장은 대조구보다 분말탄 시용구에서 길게 나타났지만 입상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도관폭은 목탄시용구와 무처리구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벽두께도 조재부의 경우 목탄시용구와 무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만재부의 경우는 목탄시용구가 무처리구 보다 큰 것으로 나타냈다. 마이크로피부릴 경각은 입상탄 시용구에서 대조구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분말탄 시용구와 입상탄 시용구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처리구에서 분말탄과 입상탄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진공주사현미경(LV-SEM)을 이용한 목재횡단면의 수축거동관찰 (Observation of Shrinkage Features of Cross Sectional Surface of Wood by LV-SEM)

  • 강춘원;마츠무라 준지;강욱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3호
    • /
    • pp.17-23
    • /
    • 2008
  • 목재의 수축거동을 짧은 시간 내에 세포수준에서 관찰하기 위하여 목재를 함수상태로 관찰할 수 있는 저진공 주사전자현미경(Low-Vacuu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의 경통 내에서 습윤상태의 소형시편을 탈습시켜 건조시키면서 횡단면에서의 목재수축거동을 관찰하였다. 또한 동일한 개체에서 수축율 시험편을 제작하여 실제목재의 수축율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경통 내의 탈습은 약 20여 분 정도에 완료되어 짧은 시간 내에 목재의 수축과정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며, 수축율 시험편의 수축율과 현미경 내의 탈습에 의한 소시험편의 수축율은 비슷하였다. 목재의 수축율에 기여하는 춘재와 추재의 수축율에 대한 개개의 관찰이 가능하였으며 양자의 수축량은 거의 비슷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목재의 수축과 세포벽수준에서의 수축을 비교해보면, 목재의 수축은 춘재보다 추재에 의해 좌우되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고(古)부재 잎갈나무 말뚝의 재질 특성 (Strength Properties of Old Korean Larch Pile)

  • 황권환;박병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23-30
    • /
    • 2007
  • 구 조선총독부 청사의 기초 말뚝으로 사용된 원주는 1916년 건물 기초를 다지기 위해 사용되었던 것으로 1996년 청사의 철거와 함께 건축 당시 사용되었던 만여 개 중 백여 개가 발굴되었다. 이 말뚝은 문서 및 수종 식별결과 잎갈나무(Larix gmelini var. principis-ruprechtii Pilger)로 확인되었으며 현재 남한에서는 축적량이 매우 적은 수종으로 청사 건립 당시 백두산 압록강변에서 벌채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발굴된 잎갈나무 말뚝에 대해서 만재율 분포와 강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주사(scanning)에 의한 횡방향 만재율 분포와 압축, 전단, 휨, 인장 시험을 행하여 그 강도 성능을 검토하였다. 만재율은 수로부터 수피 방향으로 연륜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다가 약 25연륜 이후에는 40% 정도로 안정적인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현미경에 의한 관찰에서는 심재부, 심변재 경계부, 변재부로 수령이 증가되면서 만재율은 감소하였다. 종압축강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휨강도는 오히려 다소 낮게 나타나 고부재의 경우처럼 열화, 손상 등에 의한 강도적 감소는 압축형 시험보다 인장형 시험에서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단강도와 인장강도에 있어서는 접선단면 시험편의 변이계수가 높게 나타나 안정적인 강도 성능 비교를 위해서는 방사단면 시험편에 의한 강도 값이 채택되어야 할 것으로 검토되었다.

The Effects of CO2 Enrichment on the Radial Growth of Pinus densiflora

  • En-Bi CHOI;Hyemin LIM;Jeong-Wook SE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3호
    • /
    • pp.289-299
    • /
    • 2024
  • The curr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O2 enrichment on the width of annual tree rings, earlywood and latewood, and the area of annual growth of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grown in open-top chamber (OTC). To this end, two CO2 enrichment cases were considered, namely 1.4 × increment (560 ppm in OTC-II) and 1.8 × (720 ppm in OTC-III) were compared with the current atmosphere (400 ppm in OTC-I). The CO2 enrichment conditions for a period of 12 years (2010-2021) were considered, and all measurements were done through image analysis. The study showed that the increment in CO2 concentrations positively affected the tree growth. The measurement data from the trees in OTC-III were considerably higher than those from OTC-I, whereas those from OTC-II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from OTC-I. Decreasing patterns of the measured widths and area in 6-7 years after the beginning of CO2 enrichment was found for all the OTCs. These patterns were possibly due to changes in the physiological features, such as aging.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can have potential uses as fundamental data for forest management considering CO2 concentrations.

국내산 주요 침엽수 3종간의 수간 내 목재셀룰로오스의 미세구조 변이 (Variation of Fine Structure of Wood Cellulose within Stems of 3 Commercial Softwood Species Grown in Korea)

  • 은동진;권성민;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12-20
    • /
    • 2008
  • 국내에서 성장한 주요 침엽수 3종(소나무, 잣나무, 리기다소나무)의 수간 내 셀룰로오스 상대결정화도와 결정폭에 대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변이를 X선 회절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각 수종의 상대결정화도 평균값은 소나무 60.6%, 잣나무 61.7%, 리기다소나무 49.4%로 리기다소나무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공시 수종의 상대결정화도는 약 10~15연륜까지 증가하다가 그 후 거의 일정한 값을 보여 주었고 만재부의 상대결정화도가 조재부의 상대결정화도보다 다소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소나무 상대결정화도는 수관부보다 기부에서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잣나무, 리기다소나무는 수고에 따른 차이를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각 수종의 셀룰로오스 결정폭은 3수종 모두 2.8~3 nm 정도로 거의 차이가 없었고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조만재 간에도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상대결정화도와 결정폭 중 상대결정화도는 국내산 주요 침엽수재의 미성숙재와 성숙재를 구분하는 재질 지표의 하나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섬잣나무(Pinus parviflora S. et Z.) 지재의 압축이상재, 측면재, 대응재에 관한 해부학적 특성 비교 (Anatomical Comparison of Compression, Opposite, and Lateral Woods in a Branch of Pinus parviflora S. et Z.)

  • 허광수;엄영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1호통권129호
    • /
    • pp.38-47
    • /
    • 2005
  • 본 연구는 섬잣나무(Pinus parviflora S. et Z.) 지재에 발달되어 있는 압축이상재, 측면재 및 대응재의 조직학적 특성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조재로부터 만재로의 가도관 이행은 압축이상재가 측면재나 대응재보다 상대적으로 더 점진적이었다. 그리고 연륜폭과 만재율은 압축이상재가 측면재 혹은 대응재보다 큰 경향을 보였다. 횡단면상 만재 가도관의 형상에 있어 정방형 내지 다각형을 나타내는 측면재 및 대응재와는 달리 압축이상재는 원형을 나타냈다. 세포간극, 나선강, 나선째짐 및 슬릿형 벽공구는 압축이상재에만 발달하였다. 그러나 우상층은 측면재 및 대응재뿐만 아니라 압축이상재 가도관에서도 모두 관찰되었다. 압축이상재의 교분야벽공은 정상적인 창상형 벽공이 아니라 심한 변형을 통해 편백형 내지 삼나무형 벽공을 나타내기 때문에 식별 인자로 이용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방추형방사조직의 폭과 높이는 압축이상재가 측면재 및 대응재의 것보다 넓고 낮은 모습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압축이상재의 해부학적 특징은 측면재나 대응재와 상이한 특성을 나타냈으나 대응재와 측면재 사이에는 해부학적 차이가 거의 없었다.

글루티노사오리나무의 생장과 재질 - 해부학적 성질 - (Studies on Wood Quality and Growth of Alnus glutinosa in Korea - Anatomical Properties -)

  • 김민지;김병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295-301
    • /
    • 2016
  • 본 연구는 4개 종자산지(Yugoslovia, ltaly, United Kingdom, Bulgaria)의 글로티노사오리나무(Alnus glutinosa)를 대상으로 목섬유 길이, 도관 길이 및 직경인 해부학적 성질을 조사하여, 이들의 종자산지 간 및 생장속도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글로티노사오리나무는 산공재, 계단상천공, 교호상벽공으로 나타났다. 접선단면에서 방사조직 높이는 9~11, 횡단면에서 방사조직 수는 16~26개로 나타났다. 산지 간의 목섬유 길이, 도관 길이 및 직경에서 만재부에서는 차이가 없었고, 조재부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개 산지는 생장이 좋을수록 만재부의 목섬유 및 도관 길이가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고슬로비아산은 생장이 좋으면서 목섬유 및 도관길이도 긴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主要) 침엽수(針葉樹) 조림목(造林木)의 재질변이(材質變異)에 관한 연구(硏究)(I) - 잣나무, 낙엽송(落葉松), 편백(扁栢)의 해부적(解剖的) 성질(性質) - (Variations in Properties and Qualities of Major Plantation-grown Softwoods in Korea(I) - Anatomical Properties of Pinus koraiensis, Larix leptolepis, and Chamaecyparis obtusa -)

  • 이찬호;박정환;김영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5권2호
    • /
    • pp.117-126
    • /
    • 1997
  • In fast grown softwood, there are very large changes in material properties going outward from the pith to bark such as anatomical, phys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Some of variations in anatomical properties with annual ring were then examined from Pinus koraiensis, Larix leptolepis, and Chamaecyparis obtusa, which are major softwoods of plantation in Korea. The large variations of annual ring width during young age of tree tended to stabilize after 25year through the transitional period in 17~23year. The ring density was 1.5~2.4 in 1~10year period, and 3.5~6.3 in 30~35year period, in which juvenile and mature wood were certainly assumed to be formed, respectively. Variations of tracheid length showed functional relationships with annual rings as logarithm. Demarcation between juvenile wood and mature wood could be 16~19year, which was determined from increase rate of tracheid length of 0.2%. Cell wall thickness increased with increase of annual ring even though large variations were observed as well. Variations of cell wall thickness within species were pronounced in latewood than earlywood. The increase of cell wall thickness from juvenile wood to mature wood was predominant in Larix leptolepis as 2.0times, and least in Chamaecyparis obtusa as 1.1 times. Cell diameters showed trends of increase during young age of 1~15year, and consistent afterward. The variations of cell diameter between radial and tangential direction were greater in latewood, and most pronounced in Chamaecyparis obtus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