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ral extrusion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9초

Comparison of treatment effects between four premolar extraction and total arch distalization using the modified C-palatal plate

  • Jo, Sung Youn;Bayome, Mohamed;Park, Justyn;Lim, Hee Jin;Kook, Yoon-Ah;Han, Seong H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24-235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keletal, dental, and soft-tissue treatment effects of nonextraction therapy using the modified C-palatal plate (MCPP) to those of premolar extraction (PE) treatment in adult patients with Class II malocclusion. Methods: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lateral cephalographs of 40 adult patients with Class II malocclusion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CPP group comprised 20 patients treated with total arch distalization of the maxillary arch while the PE group comprised 20 patients treated with four PE. Fifty-eight linear and angular measurements were analyzed to assess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reatment.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treatment effects within an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 MCPP group presented 3.4 mm of retraction, 1.0 mm of extrusion, and $7.3^{\circ}$ lingual inclina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In comparison, the PE group displayed greater amount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retraction and retroclination, mandibular incisor retraction, and upper lip retraction (5.3 mm, $14.8^{\circ}$, 5.1 mm, and 2.0 mm, respectively; p < 0.001 for all). In addition, the MCPP group showed 4.0 mm of distalization and 1.3 mm of intrusion with $2.9^{\circ}$ distal tipping of the maxillary first molars.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e MCPP is an effective distalization appliance in the maxillary arch. The amount of incisor retraction, howev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E group. Therefore, four PE may be recommended when greater improvement of incisor position and soft-tissue profile is required.

안모의 성장유형에 따른 경부견인 헤드기어의 효과에 대한 두부방사선계측학적 연구 (Cephalometric study of the effect of cervical pull headgear based on facial growth patterns)

  • 강은하;장종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03-510
    • /
    • 1999
  • 이 연구의 목적은 II급 부정교합의 치료를 위해 경부견인 헤드기어(cervical pull headgear)를 사용할 때, 치료에 불리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언급되는 효과들이 실제로 발현되는지의 여부와 안모의 성장유형에 따라 그 차이가 존재하는 지를 알아 보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서 삼성서울병원 치과교정과에서 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경부견인 헤드기어로 치료받은 환자중, 성장기에 있으면서 비발치 치료를 받은 환자를 연구대상으로 선별하였다. 그리고 연구대상을 "후안면/전안면 고경비" 에 따라 수직성장군과 수평성장군으로 분류하였다. 수직성장군 15명(남자 5명, 여자 10명)과 수평성장군 11명(남자 4명, 여자 7명)의 치료전, 후의 두부방사선규격사진상에서 SN-PP angle, SN-GoGn angle, SN-MP angle, PFH/AFH ratio, SN to 6, PP to 6 등을 계측하고, 비교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수직성장군에서 구개평면이 전하방으로 경사되었다. 2)수평성장군에서 후안면/전안면 고경비가 증가하였다. 3)수직성장군과 수평성장군 모두에서 하악평면각은 변화하지 않았다. 4)상악대구치의 정출양에 있어서 수직성장군과 수평성장군의 차이는 없었다.

  • PDF

Changes in longitudinal craniofacial growth in subjects with normal occlusions using the Ricketts analysis

  • Bae, Eun-Ju;Kwon, Hye-Jin;Kwon, Oh-Wo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77-87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fine the Korean norm values for the Ricketts analysis. Methods: In this longitudinal study, lateral cephalograms of 31 subjects with normal occlusion were taken biennially from ages 9-19 years. Cephalometric measurements were performed. Parameters for which the 10-year change did not exceed one standard deviation were defined as unchanged.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for the measured parameters were determined for each age group. Results: No significant changes in growth were observed in the molar relationship, incisor overjet, incisor overbite, mandibular incisor extrusion, interincisor angle, lower incisor tip (B1) to A point-Pogonion (A-PO) plane, upper incisor tip (A1) to A-PO plane, B1 inclination to A-PO, A1 inclination to A-PO, B1 inclination to Frankfurt plane (FH), convexity, lower facial height, facial axis, maxillary depth, maxillary height, palatal plane to FH, cranial deflection, ramus Xi position, or porion location. Continual changes over the 10 years of growth were observed in the maxillary first molar distal position to pterygoid true vertical plane, facial depth, mandibular plane to FH, anterior cranial length, mandibular arc, and corpus length. Conclusions: Clinicians can apply the Korean norms at age 9 as determined in this study when using the Ricketts analysis. The patient's age at the beginning of treatment and their sex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drawing visual treatment objectives.

입천장성형술 시 발생한 골 노출부의 피복을 위한 협지방대 유경피판의 경험 (Clinical Experience of Buccal Fat Pad Pedicled Flap for Denuded Area in Palatoplasty)

  • 김치선;박명철;박동하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1호
    • /
    • pp.31-36
    • /
    • 2010
  • Purpose: The primary goal of palatoplasty is to enable normal speech with harmonious growth of face. Some children who had palatoplasty display typical findings of transverse maxillary deficiency requiring orthodontic widening of the maxilla. Levi (2009) described a cleft palate repair coupled with pedicled buccal fat pad flaps to cover bone exposed areas of the hard palate. Hence we report clinical experiences of cleft palate repair using pedicled buccal fat pad flap. Methods: Four Veau class II and a Veau class I cleft palate patients underwent palatoplasty with buccal fat pad flap by single surgeon from April 2009 to August 2009. Two patients received 2-flap palatoplasty and three patients 1-flap palatoplasty, respectively. After the cleft palate repair, sharp mosquito scissors was placed in the superior buccal sulcus just lateral to the maxillary tuberosity and inserted directly through the mucosa resulting in buccal fat pad extrusion. The elevated flap was moved to cover mucoperiosteal defect in hard palatal area. Results: Five patients underwent primary palatoplasty using buccal fat pad flap. Flap harvest and inset took on average 9 minutes per flap. Mucosal epithelization took 18 days on average. No patients had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buccal fat pad flap. Conclusion: Buccal fat pad pedicled flap has significant potential to function as an added vascularized tissue layer in cleft palate repair and we can expect better growth of maxilla with this method although longer duration of follow-up was unavailable.

Evaluation of strategic uprighting of the mandibular molars using an orthodontic miniplate and a nickel-titanium reverse curve arch wire: Preliminary cephalometric study

  • Park, Jae-Hyun;Choo, HyeRan;Choi, Jin-Young;Chung, Kyu-Rhim;Kim, Seong-Hu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79-188
    • /
    • 2021
  • Objective: To evaluate the overall treatment effects in terms of the amount of uprighting with changes in the sagittal and vertical positions of mandibular molars after applying an orthodontic miniplate with a nickel-titanium (NiTi) reverse curve arch wire (biocreative reverse curve [BRC] system). Methods: A total of 30 female patients (mean age, 25.99 ± 8.96 years) were treated with the BRC system (mean BRC time, 10.3 ± 4.07 months). An I-shaped C-tube miniplate (Jin Biomed) was placed at the labial aspect for the alveolar bone of the mandibular incisors. A 0.017 × 0.025-inch NiTi reverse curve arch wire was engaged at the C-tube mini-plate anteriorly and the first and second premolars and molars posteriorly in the mandibular arch. Pre- and post-BRC lateral cephalograms were analyzed. A paired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treatment effects of BRC. Results: The mandibular second molars were intrusively uprighted successfully by the BRC system. Distal uprighting with a controlled vertical dimension was noted on the first molars when they remained engaged in the BRC and the distal ends of the arch wire were laid on the second molars. The mandibular first and second premolars showed a slight extrusion. The changes in the mandibular incisors were unremarkable, while the mandibular molar angulation improved significantly. The lower occlusal plane rotated counterclockwise (MP-LOP: 1.13° ± 2.60°). Conclusions: The BRC system can provide very effective molar uprighting without compromising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anterior teeth.

치은연하 파절로 치조골 소실을 동반한 상악측절치에서 orthodontic extrusive remodeling후 임플란트 식립을 통한 심미수복: 증례보고 (ANTERIOR ESTHETIC IMPROVEMENT THROUGH ORTHODONTIC EXTRUSIVE REMODELING AND SINGLE-UNIT IMPLANTATION IN A FRACTURED UPPER LATERAL INCISOR WITH ALVEOLAR BONE LOSS: A CASE REPORT)

  • 황수연;손원준;한영철;배광식;백승호;이우철;금기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1호
    • /
    • pp.39-44
    • /
    • 2008
  • 심미적으로 중요한 전치부에서 단일치아 임플란트를 이용한 보철수복은 임상의에게 새로운 도전과제중의 하나가 되었다. 그러나 전치부에서 single-unit implant는 식립할 부위의 치조골 상태가 양호해야 하는데 치은연하 파절로 인해 치아 주위에 골 손실이 있는 경우 immediate implant는 심미적으로 문제를 야기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증례는 "orthodontic extrusive remodeling"을 통해 파절치와 주위 조직을 교정적으로 정출시켜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연조직과 경조직을 증대시킨 후 임플란트 식립을 통해 상악측절치에서 성공적 인 심미수복을 이룬 증례에 관한 것이다.

Lingual sliding mechanics의 lever arm 효과에 대한 유한요소분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lever arm in lingual sliding mechanics)

  • 김경희;이기준;차정열;박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24-336
    • /
    • 2011
  • 전치의 후방 견인 시 적절한 치아 이동 상태 조절은 필수적이다. 설측 장치를 이용한 레버 암 길이의 조절을 통하여 치아 이동에 관한 연구는 있었으나 3차원적인 변위 양상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상악 전치부의 레버 암(lever arm)의 길이를 5 mm 단위로 20 mm까지 증가시켰으며 대구치와 TPA (trans palatal arch) 상에 있는 견인 훅(hook)의 위치를 달리 하여 200 gm의 후방 견인력을 가했을 때 나타나는 치아 변위 양상과 응력분포를 3차원적 유한요소분석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아시아 성인의 표본조사를 통해 제작된 치아모형(Nissan Dental Product, Kyoto, Japan)을 3차원적으로 스캐닝한 후 상악치아, 치주인대, 치조골에 대한 유한요소 모델을 제작하였다. 각 치아의 절단연과 치근첨의 이동량을 x, y, z 좌표에서 각각 계산하여 치열의 변위 양상을 분석하고 von Mises 응력 분포를 계측하였다. 연구 결과, 정상 교합 모형의 레버 암 길이가 15 mm, 20 mm인 경우 전치 절단연과 치근첨의 설측 변위가 유도되었다. 본 실험의 조건 중 20 mm에서 치근첨의 설측 변위는 최대로 나타났다. 구치부 견인 훅이 치근첨에 있을 때 대구치 치관은 원심 방향으로 변위되었다. 또한 레버 암의 길이가 20 mm인 경우 전치부의 정출은 미약하였고 견치 치관은 협측 방향으로 전위되었다. 이 때 구치부 견인 훅의 위치가 TPA의 구개 중앙 측에 있을 때보다 가장자리 측에 있을 때 견치 치관은 더 많이 전위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설측 장치를 이용한 상악 6전치의 후방 견인 시 레버 암의 길이가 길고 구치부 견인 훅의 위치가 구개 중앙부에 있을 때 전치부 절단연(incisal edge)의 정출 없이 견치의 측방 전위 및 전치부 절단연과 치근첨의 설측 변위가 공히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Miniscrew implant를 이용한 상악 구치부 압하와 개방교합 치료의 효과 및 안정성 (Treatment and posttreatment changes following intrusion of maxillary posterior teeth with miniscrew implants for open bite correction)

  • 이한아;박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1-40
    • /
    • 2008
  • 최근 절대적인 고정원의 등장으로 다른 부작용 없이 구치부 압하 치료를 가능하게 하였고, 비수술적으로 개방교 합의 심미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법의 장기적인 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iniscrew implant 를 이용하여 상악 구치를 압하시켜 치료한 성인 개방교합 환자 11명(남자 1명, 여자 10명) 을 대상으로 치료 전후, 그리고 유지기의 골격성, 치아 치조성 변화를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계측치의 치료 전후 변화량간의 상관관계와 치료에 의한 변화량과 재발량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상악구치의 압하를 통해서 개방교합을 치료할 때에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로 상악 구치는 2.22 mm 압하 (p < 0.001) 가 일어났고, 평균 17.4 개월 유지 후 0.23 mm 의 정출 (p = 0.359) 이 나타났으며, 재발율은 10.36%로 나타났다. 전치부의 수직피개는 평균 5.47 mm 의 증가 (p < 0.01) 가 나타났고 평균 17.4 개월 유지 후 0.99 mm의 감소 (p < 0.05) 가 나타나서, 재발량은 18.10%로 계산되었다. 치료 전후 수치 변화량의 상관분석을 통해 상악 구치 압하량과 하악 평면각 변화량이 상관관계 (p < 0.05) 가 있었다. 치료 전의 개방교합량, 하악 평면각, 전하안면고 경과 치료 후의 수직피개 재발량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상악 구치 압하량과 수직피개 개선량에서 치료에 의한 변화량과 재발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이를 토대로 재발량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성인 개방교합 환자에서 miniscrew implant를 이용한 상악구치부의 압하는 비수술, 심미적 접근방법으로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치료방법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비대칭 헤드기어의 적용시 상악제 1 대구치에 나타나는힘과 변위 및 초기 응력분포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A THREE-DIMENSIONAL FEM COMPARISON STUDY ABOUT THE FORCE, DISPLACEMENT AND INITIAL STRESS DISTRIBUTION ON THE MAXILLARY FIRST MOLARS BY THE APPLICATION OF VAR10US ASYMMETRIC HEAD-GEAR)

  • 김종수;차경석;주진원;이진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5-38
    • /
    • 2001
  • 편측성 II급 부정 교합 환자를 만나는 것은 임상에서는 흔한 일이지만, 치료 방법은 제한적 인 것이 사실이다. 그 중에서도 asymmetric head-gear는 그 사용의 횟수에 비해 정확하고 완전한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며,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장치의 디자인에 대한 정보 역시 아직도 논란이 많고, 그 동안의 연구들도 확실한 해답을 주지는 못하고 있다. 더욱이 asymmetric iace-bow를 유한요소법을 통해 해석한 것은 그 예를 찾아볼 수 없었기에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발치나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는 정상교합자를 대상으로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여 편측성 II급 부정교합의 상악 치열궁을 모델링하고, RMO사의 Face-Bow($Penta-Form^{TM}$/Medium size)를 기본 모델로 오른쪽의 outer-bow가 15mm, 25mm, 35mm씩 짧은, 세 개의 asymmetric face-bow를 모델링한 후, 편측성 II급 부정교합 상악 치열궁 모델의 좌,우측 상악 제 1대구치에 세 종류의 asymmetric face-bow를 적용, 편측당 0.3kgf의 힘으로 견인하여 비교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양쪽 제 1 대구치가 받는 힘의 총합은 세 경우 모두에서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근심위치된 치아가 받는 힘의 크기는 증가하였고, 정상 위치된 치아가 받는 힘의 크기는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2. 양쪽 제 1 대구치가 받는 측방력은, 정상 위치된 치아에서는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협측으로의 힘이 커졌고, 근심 위치된 치아에서는 협측으로의 힘이 작아지는 경향을 보여,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전체적인 측방력이 정상 위치된 치아의 협측으로 이동되는 경향을 보이긴 했지만, 양쪽 제 1 대구치 모두 협측으로 힘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Archial Expansion Effect"를 보였다. 3. 양쪽 제 1 대구치가 받는 원심력과 정출력, 그리고 distal tipping의 양은, 정상 위치된 치아에서는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감소하였고, 근심 위치된 치아에서는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4. 양쪽 제 1 대구치의 rotation은, 정상 위치된 치아에서는 distal-in의 rotation을 보였으며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그 양이 증가하였고, 근심 위치된 치아에서는 두 가지의 결과를 나타냈는데, outer-bow가 15mm 짧은 경우에는 distal-in의 rotation을 보였으나, 25mm와 35mm 짧은 경우에는 distal-out의 rotation을 보여 15mm와 25mm 사이에 변환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치근 분지부 직하방에서 치근막의 초기 응력분포를 관찰한 결과, 정상 위치된 치아의 원심협측 치근에서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압축응력이 구개측에서 원심측으로, 그리고 협측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6. 치근 분지부 직하방에서 치근막의 초기 응력분포를 관찰한 결과, 정상 위치된 치아의 원심협측 치근을 제외한 근심협측 치근과 구개측 치근, 그리고 근심 위치된 치아의 세 개의 치근 모두는,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응력의 크기만 변할 뿐 전체적인 응력분포의 양상에는 변화가 없었다.

  • PDF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상악 6전치 후방 견인시 힘의 적용점 변화에 따른 치아 이동 양상에 관한 유한 요소법적 분석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initial tooth displacement according to force application point during maxillary six anterior teeth retraction using skeletal anchorage)

  • 김찬년;성재현;경희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39-35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활주법을 이용한 전치부 후방 견인시 micro-implant의 다양한 수직적 위치와 전치부에서 힘의 적용점에 따른 치아 이동 양상을 관찰하여 공간 폐쇄시 전치부의 설측 경사와 정출력을 방지할 수 있는 micro-implant의 위치와 전치부 힘의 적용점의 위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한 요소 모델을 이용하여 제1소구치가 발거된 상악 치열궁 형태를 제작하고 $.022"{\times}.028"$ 슬롯 브라켓을 모형화하여 치아에 부착시켰다. $.019"{\times}.025"$ stainless steel 선재를 3차원 beam모형으로 제작하고 상악 측절치와 견치 브라켓 사이의 선재 상에 $.032"{\times}.032"$ 크기의 stainless steel hook을 수직으로 8mm의 높이로 형성하였으며, 선재로부터 2mm높이에서 1mm간격으로 8mm까지 힘 적용점을 설정하였다. 지름 1.2mm,길이 6mm의 micro-implant를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사이의 치조골에 선재로부터 4mm에서 10mm까지 2mm간격으로 4개를 위치시켰다 각각의 micro-implant와 전치부 hook에 150gm의 힘을 적용시켜 다양한 힘 적용점에 따른 치아의 초기 변위를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Micro-implant 높이가 4m일 경우 5mm이하의 전치부 hook 높이에서는 전치부 설측 경사 이동이 일어났으며 전치부 hook 높이가 6m이상 되었을 때 전치부 순측 경사 이동이 일어났다. 2. Micro-implant높이가 6mm일 경우 5mm이하의 전치부 hook높이에서 전치부 설측 경사 이동이 일어났으며 전치부 hook 높이가 6mm 이상 되었을 때 전치부 순측 경사 이동이 일어났다 이것은 4mm micro-implant에서의 실험결과와 유사한 이동 양상을 나타내었지만, micro-implant높이가 6mm일 때 전치부 설측 경사 이동이 좀더 감소하였다. 3. Micro-implant높이가 8m일 경우 전치부 hook높이가 2mm일 때 전치의 설측 경사 이동이 일어났으며 3mm이상의 전치부 hook 높이에서 순측 경사 이동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4. Micro-implant높이가 10mm일 경우 전치부 hook 높이가 2mm 이상에서 전치의 순측 경사 이동이 비례적ㅇ로 증가하였다. 5. 전치부 hook 높이가 증가할수록 전치의 순측 경사 이동이 증가되지만 선재의 뒤틀림에 의한 변형이 증가되므로 견치와 소구치 부위에서 정출력이 발생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치아 이동 양상이 일어났다. 6. Micro-implant를 이용한 상악 5전치 후방 견인시 구치부의 이동은 선재와 브라켓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서 원심경사 이동이 발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