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ser alignment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7초

진단용 CT-모의치료기 테이블의 효율적인 교정 방법 (An Efficient Correction Process of CT-Simulator Couch with Current Diagnostic CT Scanners)

  • 구은회;이재승;조정근;문성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254-261
    • /
    • 2009
  • 본 연구는 진단용 CT 장치를 이용한 CT-모의치료기의 테이블 및 레이저 정렬 시스템과 횡단면 영상의 중심간 정렬을 개선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원에서 제작한 팬텀을 이용하여 AAPM TG66에서 제시하는 일일 정도관리를 시행하고 기하학적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레이저 정렬 시스템을 교정하였으며 교정 전, 후를 비교함으로서 교정방법에 대한 효율성을 검토하였다. 교정 전 영상의 중심간 오차는 3.82mm, 테이블 종축은 $0.436^{\circ}$ 틀어져 진행하였다. 기하학적 삼각함수를 이용한 레이저 정렬 시스템의 교정 후 0.7mm의 중심간 오차가 발생하여 ${\pm}2mm$의 허용오차 범위를 만족하였다. 설치 가동 중인 진단용 CT 장치를 방사선치료 전용 CT-모의치료기로 활용하는 경우 기하학적 정확도를 만족시키기 위한 테이블 교정은 기술적인 한계 뿐 만 아니라 시간 및 경제적 손실에 비하여 매우 비효율적이다. 그러나 레이저 정렬 시스템을 이용한 교정 방법은 경제적이고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만족스러운 기하학적 정확도를 얻을 수 있어 임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라 사료된다.

KrF 엑시머 레이저를 이용한 웨이퍼 스텝퍼의 제작 및 성능분석

  • 이종현;최부연;김도훈;장원익;이용일;이진효
    • 한국광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5-21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설계제작된 KrF 엑시머 레이저 스텝퍼는 광원인 KrF엑시머 레이저, 조명광학계, 축소트영광학계, 정밀구동 웨이퍼 스테이지, 정렬시스템 및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계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KrFdprtlaj 레이저는 밴드폭 3pm, 반복주파수 200Hz, 평균축력 3W이고, 5:1 투영렌즈는 N.A. 0.42, 전체 필드영역 $\varphi$21.2mm, 왜곡수차 최대 60nm 이하이다. 또한 정밀구동 웨이퍼 스테이지의 재현성과 해상도는 각각 $\pm$0.08$\mu\textrm{m}$/200mm(3 sigma), 100mm 반경에서 0.05 $\mu\textrm{m}$이다. 자동 초점 시스템은 $\pm$50$\mu\textrm{m}$범위에서 0.1$\mu\textrm{m}$의 해상도를 나타냈으며, 자동수평시스템은 120 arcsec 범위에서 larcsec의 해상도를 나타냈다. OFF-AXIS 정렬방식에서는 0.2$\mu\textrm{m}$의 해상도를 가지며, 두빔의 간섭을 이용한 새로운 TTL 정렬은 0.1$\mu\textrm{m}$의 해상도를 나타냈다. 스텝퍼 패턴 실험결과 SAL603레지스트를 사용하였을 때 웨이퍼의 노광후 열처리 $105^{\circ}C$, 60초에서 0.3$\mu\textrm{m}$ Lines and Spaces(L/S)까지 해상되었으며, 0.34$\mu\textrm{m}$ L/S에서 1$\mu\textrm{m}$의 초점심도를 얻을 수 있었다. 마스크 패턴과 레지스트 패턴의 선형성은 0.4$\mu\textrm{m}$ L/S가지 유지 되었다. 또한 XP-89131레지스트의 경우 노광후 열처리 $110^{\circ}C$, 60초에서 0.34$\mu\textrm{m}$ L/S까지 해상됨을 알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Optical System for ARGO-M

  • Nah, Jakyoung;Jang, Jung-Guen;Jang, Bi-Ho;Han, In-Woo;Han, Jeong-Yeol;Park, Kwijong;Lim, Hyung-Chul;Yu, Sung-Yeol;Park, Eunseo;Seo, Yoon-Kyung;Moon, Il-Kwon;Choi, Byung-Kyu;Na, Eunjoo;Nam, Uk-Won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0권1호
    • /
    • pp.49-58
    • /
    • 2013
  • ARGO-M is a satellite laser ranging (SLR) system developed by the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with the consideration of mobility and daytime and nighttime satellite observation. The ARGO-M optical system consists of 40 cm receiving telescope, 10 cm transmitting telescope, and detecting optics. For the development of ARGO-M optical system, the structur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regard to the optics and optomechanics design and the optical components. To ensure the optical performance, the quality was tested at the level of parts using the laser interferometer and ultra-high-precision measuring instruments. The assembly and alignment of ARGO-M optical system were conducted at an auto-collimation facility. A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re separated in the ARGO-M optical system, the pointing alignment between the transmitting telescope and receiving telescope is critical for precise target pointing. Thus, the alignment using the ground target and the radiant point observation of transmitting laser beam was carried out, and the lines of sight for the two telescopes were aligned within the required pointing precision.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structural analysis, manufacture and assembly of parts, and entire process related with the alignment for the ARGO-M optical system.

Effects of single-dose, low-level laser therapy on pain associated with the initial stage of fixed orthodontic treatment: A randomized clinical trial

  • Qamruddin, Irfan;Alam, Mohammad Khursheed;Abdullah, Habiba;Kamran, Muhammad Abdullah;Jawaid, Nausheen;Mahroof, Verda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90-97
    • /
    • 2018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analgesic effect of a single application of low-level laser therapy (LLLT) on spontaneous pain and pain on chewing after placement of initial archwires. Methods: Forty-two patients (26 women, 16 men) were randomly recruited for this split-mouth randomized clinical trial. Each patient received super-elastic nickel-titanium (NiTi) initial archwires (0.012, 0.014, 0.016, and 0.018-inch [in]) in the maxilla for leveling and alignment for an interval of 4 weeks between archwires. One side of the mouth was randomly designated as experimental, while the other side served as placebo. After insertion of each archwire, the experimental side was irradiated with a diode laser for 3 seconds each on 5 points facially and palatally per tooth, from the central incisor to first molar. On the placebo side, the laser device was held the same way but without laser application. A numerical rating scale was used to assess the intensity of spontaneous and masticatory pain for the following 7 days. The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compare pain scores between sides. Results: Patients in the LLLT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mean scores for spontaneous pain after insertion of the initial two archwires (0.012-in and 0.014-in NiTi; p < 0.05),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0.016-in and 0.018-in wires between the LLLT and placebo groups. LLLT significantly reduced chewing pain scores (p < 0.05) for all archwires. Conclusions: A single dose of LLLT considerably lessened postoperative pain accompanying the placement of super-elastic NiTi wires for initial alignment and leveling.

일일 정도관리를 위한 Daily check device 의 제작 및 효율성 평가 (Daily check device manufacture and efficiency Evaluation for daily Q.A)

  • 김찬용;제영완;이제희;박흥득
    • 대한방사선치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9-22
    • /
    • 2005
  • 방사선 종양학과에서 실시하고 있는 일일 정도관리 항목인 out put laser alignment, field size, SSD indicator 점검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phantom 모양의 daily check device를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본 장치를 사용하여 4개월(2005. $2\~5$)월 동안 4대의 선형가속기 일일 정도관리에 사용한 곁과 측정과정이 편리하고 시간이 단축되어 일일점검의 효율성이 향상 되었고, 출력선량 측정은 각 장비별로 ${\pm}\;2\%$ 이내였으며 laser, field size, SSD indicator 는 ${\pm}\;1mm$ 이내의 범위에서 측정되었다. 일일 정도관리 기록을 기초로 하여 월간, 연간 정도관리의 객관적인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었다. 제작된 daily check device는 기존 상품화된 고가의 측정 장비를 대체 사용가능하게 함으로써 비용절감 효과가 기대되며, 향후 장치 재질의 견고성 및 가벼운 소재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가시광 레이저를 이용한 수광소자의 수동정렬 및 플립칩본딩 (Passive Alignment of Photodiode by using Visible Laser and Flip Chip Bonding)

  • 유정희;이세형;이종진;임권섭;강현서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7-13
    • /
    • 2007
  • 광통신용 광모듈에서 광소자와 광섬유 또는 도파로를 정밀하게 정렬 및 접합하기 위하여 플립칩본딩 방법 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때 광소자를 정확한 위치에 정렬시키기 위하여 기판과 광소자 양쪽에 정렬용 마크를 제작하고 플립칩본더 등을 사용하여 정렬마크를 관찰하며 광소자를 정렬 및 본딩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정렬마크의 제작비용을 줄이고 광섬유와 수광소자(PD 칩)의 수동정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He-Ne 레이저(파장 633nm)인 가시광을 이용한 정렬 및 플립칩본딩 방법을 연구하였다. 광섬유에서 방출되는 레이저 광을 육안으로 관찰하면서 수광소자를 정렬하므로써 패키징에 소요되는 시간과 경비를 절감하고 광모듈의 저가격화를 실현 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다. 광섬유에 가공되어 있는 V-노치를 경유하여 가시광이 광섬유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방출되고 이것을 수광소자와 정렬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결과 광정렬을 위해 입사된 633 nm파장의 가시광 레이저와 통신용 레이저인 1550 nm 파장사이의 파장 차이에 의한 광경로 차이는 약 4m으로 무시가능하고 최대 광세기 지점에서 ${\pm}20\;{\mu}m$ 범위내에서는 광결합효율 변화는 약 2%이었으며 최대 광결합효율은 약 23.3%이었다.

  • PDF

지상 레이저 스캐닝 기법에 의한 도로선형정보 추출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lignment Information Extraction System on Highway by Terrestrial Laser Scanning Technique)

  • 김진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97-110
    • /
    • 2007
  • 레이저 스캐닝 기법은 새로운 위치정보 획득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높은 위치정확도, 고밀도 자료 취득의 자동화 등으로 지오매틱스 분야를 비롯한 광범위한 분야에서 응용될 전망이다. 본 연구에서는 레이저 스캐닝 기법의 장점을 이용하여 도로의 기하정보를 정확히 해석하고, 이를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도로선형정보 추출 시스템 개발을 위해, 도로 평면선형을 직선, 완화곡선, 원곡선 구간으로 자동 분리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자동화되지 않은 이전의 방식에 비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다. 그리고 도로의 평면 및 종단선형의 설계요소를 자동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대상도로에 적용한 결과, 실용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도로선형 설계요소 추출에 관련한 기존 연구와 비교해 볼 때 더욱 정확한 값으로 결정되었다. 또한 추출된 설계요소를 이용하여 대상 도로에 대한 가상 주행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형과 구조물이 3차원적으로 조화되는 시각적 판단 자료를 제공할 수 있었고, 계절에 따른 결빙구간 판단 및 입체시거를 해석할 수 있는 자료 제공이 가능하다. 향후 도로에 관련한 다양한 자료의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웹기반의 운영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효율적인 도로 유지 관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앞으로 있을 도로안전진단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힘측정판과 레이저 광을 이용한 정적 의족정렬장치의 개발 (Development of a Static Prosthesis-Alignment Device Using a Force Plate and a Laser Light)

  • 이기원;김기완;김영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85-390
    • /
    • 2000
  • 의족착용자의 보행에 있어서 의족의 정렬은 매우 중요하나, 정량적이고 다양한 의족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정렬방법이 아직 소개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load cell, 레이저, 이송 가이드로 구성되는 정적 의족정렬시스템을 개발되었다. 개발된 시스템을 24명의 남자성인과 4명의 하퇴의족착용자에게 적용하여 직립자세와 전방, 후방ㅇ로 기운 자세에서 족관절, 슬관절, 대전자, 어깨관절등과 하중선과의 상대적 위치를 측정하였다. 정상인의 중립자세에서 하중선의 위치는 외과, 슬관절, 견관절에서는 앞쪽에 그러나 대전자에서는 뒤쪽에 있었다. 정상인이 앞쪽으로 최대한 기운 자세에서 외과와 슬관절, 대전자는 하중선의 뒤쪽에 위치하였으나 견관절은 앞쪽에 위치하였다. 그러나 뒤쪽으로 기운 자세의 경우, 하중선은 견관절을 제외한 모든 곳의 뒤쪽에 위치하였다. 의족착용자의 환측의 하중선은 족관절, 슬관절, 대전자, 견관절 모두의 전방에 위치하였으며, 의족착용자의 건측에서의 하중선의 위치는 정상인의 경우와 통계적으로 유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개발된 정적 의족정렬시스템은 의족 착용자는 물론, 정상인들의 하중선과 주요 관절과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테일러드 블랭크용 박판 강재의 레이저 용접성 (II) -이음 형상이 용접성에 미치는 영향- (Laser Weldability of Sheet Steels for Tailored Blank Manufacturing (II) -Effect of Joint Configuration-)

  • 김기철;이기호;이목영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16권2호
    • /
    • pp.100-110
    • /
    • 1998
  • In this paper, the laser weldability of thin gage steels for automobile application is discussed. Welding was carried out with a high power carbon dioxide laser system, and the laser energy was concentrated through a plano-convex lens.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joint gap in the butt welding proved to be one of the critical conditions for an acceptable weld. In the case where the ratio of the gap clearance to the material thickness was slightly bigger than optimal value, the weld strength was reduced showing weld metal fracture. It was possible to obtained a weld penetration ratio of 0.91 when the vertical offset ratio was controlled to be 0.4 or smaller. Results also demonstrated that the weld strength of the lap joint was influenced by travel speed. At the travel speeds lower than 37 mm/s, the weld strength indicated higher value than that of class A recommendation strength of a resistance spot weld based on the KS code. It was clear that the complicated effect of specimen alignment should be considered so as to make a sound weld with high integrity when the laser process was applied to the long weld line.

  • PDF

Bistable Liquid Crystal Device Realized on Microscopic Orientational Pattern

  • Kim, Jong-Hyun;Yoneya, Makoto;Yokoyama, Hiroshi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5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vol.I
    • /
    • pp.187-190
    • /
    • 2005
  • Alignment pattern of checkerboard was constructed by the stylus of atomic force microscope. Orientational bistability of the nematic liquid crystal was realized on that frustrated surface alignment. Macroscopic orientational switching between two perpendicular directions took place by an appropriate in-plane electric field. The threshold electric fields decreased in both switching directions as temperature increased. The focused laser heated up only the limited domains in the cell including a light-absorbing medium. Irradiating the laser concurrently with an appropriate electric field, we switched the selected unit domains in the alignment pattern. The switched domains maintained stably the switched direction without the disturbance from the exterior. Extending and repeating this process, we realized extremely fine devices of bistable switch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