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val fish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18초

유도된 넙치와 범가자미간 잡종 자어의 생존 및 성장에 관한 연구 (Survival and Growth in Larval Stage of Induced Hybrid betwee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nd Spotted Flounder (Verasper variegatus))

  • 김경길;방인철;김윤;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9-76
    • /
    • 1995
  •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암컷과 범가자미(Verasper variegatus) 수컷간의 잡종을 유도하여 넙치, 범가자미 및 잡종을 대상으로 변태기 전인 부화후 25일째까지 자어의 생존율 및 성장을 비교 조사하였다. 실험 종료시 잡종의 생존율과 성장은 양친으로 사용된 두 종 중 넙치와 유사하였다(P>0.05). 부화자어의 형태에서 잡종은 난황의 길이 대 폭의 비에서 넙치와 좀 더 많이 닮았고, 수온 $17\pm1^{\circ}C$에서 유구가 완전히 소실되는 기간은 잡종이 18일, 넙치가 14일이었으며 범가자미에서는 유구가 관찰되지 않았다. 조사 결과 변태기전까지의 잡종은 그의 생존율 및 성장에서 범가자미 보다 넙치와 더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 PDF

COI 바코딩으로 동정한 남방표문쥐치(Naso hexacanthus) 치어의 첫 형태 기재 (First Morphological Description of a Larval Sleek Unicornfish Naso hexacanthus(Acanthuridae, Perciformes) Identified by COI Barcoding in the East China Sea)

  • 최해영;최희찬;김성;오현주;윤석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9-126
    • /
    • 2022
  • 본 연구는 동중국해에서 수집한 치어(체장 5.2 mm)의 종을 COI 바코딩을 통해 남방표문쥐치(Naso hexacanthus)로 동정하고, 형태를 처음으로 보고한다. 치어는 마름모꼴의 몸통으로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첫 극조는 길고 톱니가 나 있었다. 뒷지느러미 기저부에 네 개의 흑색소포, 미병부에 밀집한 흑색소포, 뇌 표면에 퍼져 있는 흑색소포가 있었다. 작은 가시 한 개가 각각 콧등과 눈 뒤에 있었고, 톱니 모양의 돌기가 머리, 눈 위, 전새개골 내부와 외부, 새개골 아래와 옆 부분에 발달하였다. COI 바코딩으로 동정한 남방표문쥐치 치어의 형태적 특징은 치어의 종 동정에 유용할 것이다.

한 해역에서 두 번 연속 채집된 동일연급 자치어군의 사망을 추정 (Estimates of Larval Mortality Based on one cohort Present During Two consecutive Surveys in the Sea)

  • 김수암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31-134
    • /
    • 1990
  • 일정한 기간동 한 해역에서 연속적으로 어류플랑크톤 재료를 수집하여 분석함 으로써, 그 시기에 존재하는 어류플랑크톤의 사망률을 추정할 수 있다. 이때 대상 어 종의 자치어군은 조사 해역내에 모두 존재하며, 다른 곳으로 이동되지 않았음을 전제 로 한다. 그러나 해양환경은 대단히 역동적이 기 때문에 플랑크톤들은 한 해역에만 계 속해서 머물러 있지 못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분포범위가 넓어진다. 본 연구는 kim and Bang(1990)에서 제시된 해양확산계내 자치어의 사망을 추정해에 대한 내용을 보충 설명하기 위해서 준비되었다.

  • PDF

진해만 동부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청베도라치(Parablennius yatabei) 후기자어의 소화관 내용물 조성 (Gut Composition of Post-larval Yatabe Blenny Parablennius yatabei in the Coastal Waters of Eastern Jinhae Bay)

  • 김현지;정재묵;박종혁;백근욱;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616-620
    • /
    • 2017
  • The feeding habits of post-larval Yatabe blenny Parablennius yatabei (2.0-9.8 mm SL) were examined on the basis of 158 individuals collected from June to October in the coastal waters of eastern Jinhae Bay, South Korea. Based on the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IRI), post-larval P. yatabei fed 94.4% on copepods and 5.6% on tintinnids. The preference of post-larval P. yatabei for copepods to other prey items results from ontogenetic changes. The dietary percentage of copepods increased as fish size increased and tintinnids became less important. The feeding rate of post-larval P. yatabei was consistent at all times of day.

미토콘드리아 전장 유전체로 동정한 아귀목 Himantolophus groenlandicus 자어의 형태적 특징 (Morphology of a Larval Atlantic Footballfish Himantolophus groenlandicus Reinhardt, 1837 (Lophiiformes: Himantolophidae) Identified by Complete Mitochondrial DNA)

  • 최해영;장요순;김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7
    • /
    • 2022
  • 북서태평양 표층에서 채집한 후기 자어 (2.2 mm BL)의 미토콘드리아 전장 유전체를 근거로 Himantolophus groenlandicus로 동정하였다. 후기 자어는 둥근 몸통, 작은 이빨, 발달하기 시작한 등 지느러미, 아래 부분이 들어간 눈, 그리고 지느러미, 정수리, 등 부분에 분포하는 흑색소포를 가졌다. 이러한 특징은 크기가 유사한 동종으로 보고된 자어(2.1 mm BL)와 차이가 컸다. 본 연구 자어의 유전적, 형태적 특징은 유사종의 동정에 유용할 것이다.

부산 자갈치 어시장에서 시판되는 방어의 Anisakid 유충 감염상 (Infection Status of the Yellw Tail (Seriola quinqueradiata), with Anisakid Larvae Purchased from the Jakalchi Fish Market in Busan City)

  • 전계식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67-69
    • /
    • 2000
  • Yellow tails (Seriola quinqueradiata) were purchased from the Jakalchi fish market located in Busna and examined for anisakid larvae. The collected larvae were classified by their morphologicaltypes. Of the 16 yellow tails exmained, seven (43.8%) were infected with the larvae. Among 90 larvae, 81 were collected from the omentum and 9 from the muscle. Anisakids were classified into five larval types, anisakis type I (56 larvae in number, 62.2%), Contracaecum type A (8, 8.9%) and type D (7, 7.8%) and Contracaecum type C (19, 21.1%).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Anisakis type I was the most common among the five larval types in the yellow tails caught in the South sea of Korea peninsula.

  • PDF

경북(慶北) 대가천(大駕川)에서 채집(採集)된 담수어(淡水魚)에 있어서 흡충류(吸蟲類) 피낭유충(被囊幼蟲) 기생상(寄生狀)의 변화(變化) (Changing Patterns of Infect ions with Digenetic Larval Trematodes from Fresh-water Fish in River Taega, Gyeongsangbuk-do Province, Korea)

  • 주경화;김태형;주종윤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6권2호
    • /
    • pp.161-179
    • /
    • 2001
  • 성주(星州)댐(1994년(年) 담수(潭水) 시작(始作))이 건설(建設)되고, 가야산국민(伽倻山國民)호탤 등(等), 백운동(白雲洞) 집단시설지구(集團施設地區)가 들어선 이후(以後), 대가천(大駕川)에서 채집(採集)되는 담수어(淡水魚)에 있어서 흡충류피낭유충(吸蟲類被囊幼蟲) 기생상(寄生狀)의 변화(變化)를 알아보기 위해 1998년(年) 10월(月)부터 2000년 9월(月)까지 대가천(大駕川)의 상(上), 중(中), 하류(下流)5개처(個處)에서 투망(投網), 낚시, 사발모지 등(等)으로 담수어(淡水魚)를 채집(採集)하였다. 채집(採集)된 어류(魚類)는어종별(魚種別)로 분류(分類)한다음, 어체부위별(魚體部位別)로 흡충류피낭유충(吸蟲類被囊幼蟲)의 기생율(寄生率)을 조사(調査)함과 동시(同時)에 신선(新鮮)한 어육(魚肉)1g 당피낭유충수(當被囊幼蟲數)를 계산(計算)하여 감염도(感染度)를 추정(推定)하였다. 한편, 얻은 결과(結果)를 Lee(1993)의 조사성적(調査成績)과 비교(比較)하였다. 6과(科) 19종(種)의 어류(魚類)에서 8정(種)의 흡충류피낭유충(吸蟲類被囊幼蟲), 즉 간흡충(肝吸蟲), Centrocestus armatus, Cyathocotyle orientalis, Exorchis oviformis, Metagonimus sp ecies, Metacercaria hasegawai, Metorchis orientalis, Clinostomum complanatum, 및 소속미정(所屬未定) 흡충류(吸蟲類) 피낭유충(被囊幼蟲)A와 C를 검출(檢出)할 수 있었다. 대체(人體)에 기생(寄生)하는 간흡충(肝吸蟲)의 피낭유충(被囊幼蟲)은 7종(種)의 어류(魚類)에서 검출(檢出)할 수 있었고, 그 기생율(寄生率)은 1993년(年) Lee의 조사성적(調査成績)에 비(比)해 낮았으며, 기생도(寄生度)는 적었다. Metagonimus species 피낭유충(被囊幼蟲)은 1993년에서는 11종(種)의 어류(魚類)에서 검출(檢出)할 수 있었으며 그 율(率)은 최소(最小)1.2%, 최대(最大)33.3%의 감염율(感染率)을 나타내었는데 비(比)하여, 이번 조사(調査)에서는 6종(種)의 어류(魚類)에서 검출(檢出)할 수 있었으며, 그 율은 4.3- 20.0%이였다. 기생도(寄生度)는 1993年의 조사성적(調査成績)에 비(比)해 낮았다. Exorchis oviformis 유충(幼蟲)은 5종(種)의 어류(魚類)에서 검출(檢出)할 수 있었으며, Cyathocotyle orientalis는 7종(種), Metacercaria hasegawai는 9종(種), Centrocestus armatus는 3종(種), Clinostomum complonatum은 2종(種)의 어류(魚類)에서 검출(檢出)할 수 있었으며, 그 기생율(寄生率)과 기생도(寄生度)는 어종별(魚種別)로 큰 차이(差異)를 나타내었다. 비늘, 지느러미와 꼬리에 있어서 흡충류(吸蟲類) 피낭유충(被囊幼蟲)의 기생율(寄生率)은 너무 변동(變動)이 심(甚)하여 1993년(年)의 그 율(率)과 비교(比較)할 수 없었으나, 대체(大體)로 낮았다. 이상(以上)의 성적(成績)으로 보아 성주(星州)댐 건설(建設)과 가야산국민(伽倻山國民)호탤 등(等), 백운동(白雲洞) 집단시설지구(集團施設地區)가 들어선 이후(以後), 대가천(大駕川)에 서식(棲息)하고 있는 담수어(淡水魚)에 있어서 간흡충(肝吸蟲)을 위시(爲始)한 각종(各種) 흡충류(吸蟲類) 피낭유충(被囊幼蟲) 기생율(寄生率)과 기생도(寄生度)는 댐 담수(潭水)를 시작(始作)하기 전(前)(1994년)보다 낮음을 알았다.

  • PDF

미립자사료에 효모, Kluyveromyces fragilis와 Candida utilis의 첨가가 은어 자어의 성장과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Larval Ayu (Plecoglossus altivelis) Fed the Micro-diets Containing Kluyveromyces fragilis and Candida utilis)

  • 이상민;김동주;김경덕;김중균;이종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0-24
    • /
    • 2000
  • 은어 자어 배합사료에 효모의 첨가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K. fragilis, protoplasted K. fragilis, C. utilis, protoplasted C. utilis 및 맥주효모를 각각 $5{\%}씩$ 첨가한 6종류의 실험사료를 미립자 크럼블 형태로 제조하여 평균체중 l00 mg 전후의 자어를 대상으로 사육 실험하였다. 사료별 3반복으로 7주간 사육 실험한 후의 생존율은 protoplasted K. fragilis, C. utilis 및 protoplasted C. utilis 첨가구가 $93{\~}94{\%}$로 효모 무첨가구인 대조구의 $87{\%}$보다 유의하게 높은 경향이었으며 (P<0.05), K. fragilis 및 맥주효모 첨가구는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증체율은 protoplasted K. fragilis 첨가구가 $149{\%}$로 대조구의 $78{\%}$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P<0.05), 그 외 실험구들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전어체의 단백질과 회분 함량은 모든 실험구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P>0.05), 지질 함량은 K. fragilis와 맥주효모 첨가구들이 대조구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P<0.05). 전어체의 아미노산 조성중 Asp는 효모 첨가구들이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으며 (P<0.05), 그 외 아미노산들은 실험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C. utilis보다는 K. fragilis를 외벽 처리하여 첨가하는 것이 은어 자어의 성장과 어체 지질 성분을 더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PDF

여름철 대한해협의 전선구조에 따른 자치어의 분포 특성 (Distribution of Fish Larvae and the Front Structure of the Korea Strait in Summer)

  • 김성;유재명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2-85
    • /
    • 1999
  • 전선역 주변해역의 자치어 종 조성에 관한 조사가 대한해협을 대상으로 1993년 8월에 실시되었다. 북위 $35{\sim}36^{\circ}$의 대륙사면 주변해역에 전선이 형성되어있었다. 총 125 종류의 자치어가 출현하였다. 우점종은 멸치와 앨퉁이였으며 두 종의 출현량 비율은 각각 84.3%와 7.7%였다. 출현 빈도가 높은 종은 망둑어과, 돛양태과 그리고 자리돔과 둥이다. 위의 5종은 크게 모든 조사해역에서 출현하는 멸치와 돛양태과, 전선역을 경계로하여 수온이 높은 전선역의 남부해역에 주로 출현하는 망둑어과와 자리돔과 그리고 전선역을 포함한 전선역의 북부해역에 주로 출현하는 앨퉁이로 크게 구분되었다. 본 연구해역에서 자치어의 종 조성과 지리적인 분포는 어류의 종별 산란생태 뿐만 아니라 대마난류수와 동해고유수의 접촉으로 형성된 전선의 지리적인 분포와 구조등과 같은 물리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난황형성기 모체내 3,5,35-triiodo-L-thyronine ($T_3$) 주사에 의한 조피볼락 자치어의 성장과 생존율 향상 (Improvement of Growth and Survival Rate in Larval and Juvenile Rockfish (Sebastes schlogeli) from Mother Fish in Vitellogenesis Injected with 3,5,35-triiodo-L-thyronine($T_3$))

  • 강덕영;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03-310
    • /
    • 1998
  • 난황형성 단계에 있는 암컷 어미에게 갑상선 호르몬인 3,5,3'-triiodo-L-thyronine ($T_3$)를 20 mg $T_3$/kg 체중으로 주사하여 출산된 조피볼락 자어를 대조구인 sham구 및 control구 자어와 함께 30일간 사육하면서 성장과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자어에게는 출산후 5일째까지 rotifer를 공급하였고, 6~15일까지 rotifer와 Artemia nauplii를, 이후 30일까지 Artemia nauplii와 넙치용 배합사료를 혼합공급하였다. 출산후 자어의 성장은 대조구들에 비해 $T_3$구에서 유의하게 빨랐으며, 생존율 역시 T하(3)구가 대조구들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실험종료시 치어의 비만도는 $T_3$구가 control구에 비해 다소 낮았고, sham구에 비해서는 유의하게 낮았다. 이상의 결과, 조피볼락에 대한 $T_3$의 모체주사는 모체에서 유래된 외인성$T_3$가 초기 출산자어의 생리활성을 증진시켜, 자치어의 성장과 생존율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