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val development

검색결과 559건 처리시간 0.025초

세로줄 따개비(Balanus kondakovi)의 유생발생에 관한 연구 (The Larval Development of a Fouling Organism Balanus kondakoui Tarasov & Zevina(Cirripedia, Thoracica))

  • Lee, Chu;Kim, Chang-Hyun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1-92
    • /
    • 1991
  • Nauplii and cyprid la%ae were cultured in the laboratory at a temperature of 25'c of 33 parts per thousand. La%al development includes the six nauplius and a cyprn'dstage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antennules, antennae and mandibles as well as the general pattern of the thoracican Cirripedia are described and illustrated. All the nauplius larvae have trilobed labra which are typical in balanoides, with numerous slender hairs.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setation of larva of Balanus kondakoui with those of B. albicostatus, B. amphitrr'te, 9. trigonus, B. uariegatus, and Chthamafus rhallengerl' by plotting of numerical setation of the antennae against the mandibles.

  • PDF

Zoeal Development of Telmessus acutidens (Crustacea: Decapoda: Brachyura: Atelecyclidae) Reared in the Laboratory

  • Ko, Hyun-Soo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2권2호
    • /
    • pp.127-138
    • /
    • 2006
  • An ovigerous hair crab, Telmessus acutidens, was collected in South Korean waters and its larvae were reared in the laboratory. The larval development consists of four zoeal (including an extra zoeal stage) and one megalopal stages. Four zoeal stages are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detail. The zoeas of the present material show some differences from Kurata (1963)'s plankton-collected zoea of T. acutiden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rapace spines, an endopod and an exopod of the antenna, and the posterolateral process of the abdominal somite. Kurata's zoea agreed well with that of T. cheiragonus. So, it is suggested that Kurata's zoea may be the second zoea of T. cheiragonus.

Intrinsic and Extrinsic Regulation of Hematopoiesis in Drosophila

  • Koranteng, Ferdinand;Cho, Bumsik;Shim, Jiwon
    • Molecules and Cells
    • /
    • 제45권3호
    • /
    • pp.101-108
    • /
    • 2022
  • Drosophila melanogaster lymph gland, the primary site of hematopoiesis, contains myeloid-like progenitor cells that differentiate into functional hemocytes in the circulation of pupae and adults. Fly hemocytes are dynamic and plastic, and they play diverse roles in the innate immune response and wound healing. Various hematopoietic regulators in the lymph gland ensure the developmental and functional balance between progenitors and mature blood cells. In addition, systemic factors, such as nutrient availability and sensory inputs, integrate environmental variabilities to synchronize the blood development in the lymph gland with larval growth, physiology, and immunity. This review examines the intrinsic and extrinsic factors determining the progenitor states during hemocyte development in the lymph gland and provides new insights for further studies that may extend the frontier of our collective knowledge on hematopoiesis and innate immunity.

한국에서 이화명나방(Chilo suppressalis Walker) 발생상의 지역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Occurrence of the Rice Stem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in Korea)

  • 박창규;현재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57-268
    • /
    • 1990
  • 본 연구는 1965년부터 1988년까지 전국 39개 병해충발생예찰소에서 수집된 이화명나방의 유살성적을 이용하여 그의 지역간 발생상의 특성을 분석하고 대표적 생태종이 분포하고 있는 4개 지역에서 채집된 월동유충의 몇가지 생태학적 특성을 조사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화명나방의 총유살량이 1969년 이후 전국적으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이것은 봄나방 유살량의 감소에 따른 것으로 여름나방외 그것은 큰 변동이 없어 1970년 이후 8월중순부터, 다음해 6월 상순까지의 환경조건이 크게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유살량의 지역간 차는 1960년대에는 컸으나 1970년대에는 크게 감소하였으며 최근 10년간에 다소 증가하고 있으며 그 변동상은 지역적으로 차가 있다. 전체적으로 50% 유살일은 화기와 관계없이 빨라지고 있으나 지역에 따라 그 양상에는 차가 있다. 월동유충을 $25^{\circ}C$, tkdxotmqeh 90%에서 가온사육한 결과 지역별 사망율은 수원 21.07%, 이리 43.06%, 진주 63.51%, 광주 27.04%였다. 월동유충의 사망율은 체중에 따라 차가 있어서 39 mg 이하는 45.44%, 40 ~ 49 mg은 37.61%, 50 ~ 59 mg는 37.28%, 60 mg 이상은 30.17%였다. $25^{\circ}C$, 상대습도 90%에서 가온하였을 때, 휴면후 평균 유충발육기간은 수원지역은 17.0 $\pm$1.5일, 이리지역은 22.0$\pm$ 1.8일, 광주지역은 23.2 $\pm$ 2.5일, 진주지역은 20.8 $\pm$ 2.8일이 걸렸다. 체중별 후면후 유충발육기간은 39 mg 이하가 1806 $\pm$ 1.2일, 40 ~ 49 mg이 20.4 $\pm$ 3.3일, 50 ~ 59 mg이 21.4 $\pm$ 3.2일, 60 mg 이상이 21.8 $\pm$ 3.2일이 걸렸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1970년대 이후의 벼의 재배법의 변화는 이화명나방 발생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은 화기에 따라 차가 있었고 휴면상태에 특징을 갖고 있는 생태종의 분포에 따라 차가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 PDF

가시납지리의 난발생(卵發生)과 자어(仔魚)의 발육(發育) 및 자어(仔魚)의 표피상돌기(表皮上突起) (Development of the Bittering, Acanthorhodeus(=Acheilognathus) gracilis (Cyprinidae), with a Note on Minute Tubercles on the Skin Surface)

  • 영목신양;전상린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69-181
    • /
    • 1990
  • 전북(全北) 김제군(金堤郡) 죽산면(竹山面) 죽산리(竹山里) 죽산천(竹山川)서 채집(採集) 가시납지리친어(親魚)를 사육(飼育)하던 중 1989년(年) 4월(月) 11일(日)에 인공수정(人工受精)을 시켜 난발생(卵發生), 자어(仔魚)의 발육(發育) 및 자어(仔魚)의 표피상돌기(表皮上突起)를 관찰(觀察)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완숙란(完熟卵)의 형태(形態)는 동물극(動物極)쪽이 조금 뾰족하고 그 주위(周圍)에 둥그스럼한 3∼4개(個)의 돌기(突起)가 있으며 그 중심부(中心部)에 난문(卵門)이 있다. 난막(卵膜)은 얇으나 제리상(狀)인 점액물질(粘液物質)로 덮여 있어서 흐리고 반투명(半透明)이며 약(弱)한 점착성(粘着性)이 있다. 전장(全長) 89.40 mm인 자친어(雌親魚)로부터 배를 눌러 얻은 완숙란(完熟卵)의 크기는 $2.09{\pm}0.04{\times}1.26{\pm}0.02mm$로 한번에 평균(平均) 304립(粒)이 얻어졌다. 자어(仔魚)의 발육형태(發育形態)는 대체(大體)로 큰납지리와 유사(類似)했다. 즉(卽) 자어(仔魚)의 표피상돌기(表皮上突起)는 몸 전체(全體)의 표피상(表皮上)에 사면형돌기(斜面型突起)가 분포(分布)되었고 S자형(字型)으로 몸을 꿈틀거리는듯한 운동(運動)을 한다. 이러한 형질(形質)은 납지리, 큰납지리, Pseudoperilampus typus, Acheilognathus longipinnis등(等)과의 공유형질(共有形質)인 점(點)으로부터 이들 종(種)과 근연관계(近緣關係)에 있다고 추정(推定)된다. 또 위의 4 종중(種中) 큰납지리를 제외(除外)한 3 종(種)을 모두 추계산란형(秋季産卵型)인데 본(本) 종(種)과 큰납지리는 봄에서 초여름에 걸쳐서 산란(産卵)을 한다. 따라서 본(本) 종(種)과 큰납지리의 개체발생(個體發生)이 추계산란형(秋季産卵型)의 개체발생(個體發生)과 유사(類似)한 점(點)이 많다는 사실(事實)은 추계산란형(秋季産卵型)의 출현(出現)을 고찰(考察)하는데 매우 중요(重要)하다고 생각된다.한편 본(本) 종(種)과 큰납지리는 배기기조수(背??條數) 차리외(差異外)에도 완숙란(完熟卵)의 형태(形態) 차리(差異) 그리고 치어(稚魚)의 배기(背?)의 흑색(黑色) 반문(斑紋)이 큰납지리는 타원형(楕圓形)인데 본(本) 종(種)은 삼각형(三角形)인 점등(點等)의 형질(形質)로도 식별(識別)된다.

  • PDF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수정란과 부화자어의 발달에 미치는 3,5,3'-triiodo-L-thyronine (T3)의 침지처리 효과 (Effects of 3,5,3'-triiodo-L-thyronine (T3) Immersion on Development of Fertilized Egg and Newly Hatching Larva of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 강덕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4-41
    • /
    • 2003
  • The hatching of fertilized egg and early development of larval black seabream, Acanthopngrus schlegeli by immersion of 3,5,3'-triiodo-L-thyronine ($T_3$) with doses of 0.01~0.5 ppm in tank were examined for early development periods and compared with control fish immersed by 0.1 N NaOH and 99% alcohol. Larvae were fed with rotifers for first 5 days during experimental period. Yolk absorption of larvae from $T_3$ immersion groups were significantly faster than that of control. Although hatching times among each group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the hatching rates of larvae in higher doses (0.1 ppm and 0.5 ppm $T_3$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The results of $T_3$ immersion experiments to newly hatching larvae indicated that exogenous $T_3$induced significant faster the absorption of yolk and oil globule, faster the development of myotome and digestive duct and higher the growth rate of larvae than larvae of contro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_3$ immersion supplements appear to confer a distinct advantage to eggs and larvae of black seabream, which is in early fragile developmental stage.

Phenotypic Diversity of Vibrio ichthyoenteri Isolated from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Larval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Han, Hyun-Ja;Lee, Deok-Chan;Kim, Do-Hyung;Choi, Hye Sung;Jung, Sung Hee;Kim, Jin W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6권2호
    • /
    • pp.125-129
    • /
    • 2013
  • Vibrio ichthyoenteri is a facultatively anaerobic gram-negative bacterium with straight or slightly curved rod morphology. The bacterium is an etiological agent of bacterial enteriti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Only a handful of studies, using a limited number of isolates, have investigated the phenotypic and genetic characteristics of V. ichthyoenteri. We isolated 40 V. ichthyoenteri strains, identified based on the 16S rRNA gene sequence, from the diseased flounder larvae and investigated the API 20E and ZYM profiles. The isolates exhibited highly divergent phenotypic characteristics regardless of sampling time point and location, and fish age. Essential enzymes produced by V. ichthyoenteri seemed to be alkaline phosphatase, leucine arylamidase, and N-acetyl-${\beta}$-glucosaminidase. This study reveals a much greater enzymatic and biochemical phenotype diversity than has been evident to dat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given population of V. ichthyoenteri could be heterogeneous in terms of its phenotypic characteristics.

Hemocyte-specific Promoter for the Development of Transgenic Silkworm, Bombyx mori

  • Park, Seung-Won;Goo, Tae-Won;Kim, Seong-Ryul;Choi, Gwang-H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5권1호
    • /
    • pp.111-114
    • /
    • 2012
  • In previous studies we have shown that a sw17255 gene was expressed in hemocyte-specific tissues of the silkworm, Bombyx mori L. (Lepidoptera: Bombycidae). It was verified that the sw17255 core promoter region contains elements that regulate the expression of this gene in hemocyte tissue; the selected promoter region spans nucleotides -1 to -2,112 upstream of the start codon. Each of the luciferase reporter gene expression vectors under the control of 4 different kinds of promoter candidates, (-2,112/-1), (-1,640/-1), (-1,169/-1) and (-579/-1), and the control reporter plasmid DNA, were introduced into B. mori larval coelom by direct injection using a syringe. The promoter candidate [E] (-579/-1) showed more than 1.67 fold transcriptional activity compared to control promoter activity. Higher productivity of an expressed gene in the transgenic silkworm by this promoter combination could be achieved in the near future. The foreign recombinant protein could be easily harvested from the blood of the transgenic silkworm.

화학적 불임유기물질 Hempa가 쌀바구미(Sitophilus oryzae L.)에 미치는 생물학적 영향 및 불임성의 전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Biological Effects of Chemosterilant, Hempa, on the Rice Weevil (Sitophilus oryzae 1.) and Transmission of Sterility)

  • 심재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21
    • /
    • 1973
  • 본 실험은 Hempa 처리가 쌀바구미 (Sitophilus oryzae L.)에 미치는 생물학적 영향과 부분불임성의 유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우화후 1-3일된 숫컷을 $0.0625\%,\;0.125\%,\;0.25\%,$$0.5\%$의 Hempa로 처리된 소맥에서 2일간 섭식처리하여 당대의 치사율, 수명 및 산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F_l,\;F_2,\;BC_1,\;F_3\;BC_2$ 세대에 미치는 처리효과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처리웅충의 평균수명은 대조구에 비하여 차가 없었으며 당대 치사율도 $0.5\%$ 처리시 보정 치사율은 $7.07\%$로 유의차가 없었다. (2) 처리웅충과 교배된 정상 자충의 3일간 평균 산란수는 무처리구 3.60에 비하며 $0.0625\%,\;0.125\%,\;0.25\%,\;0.5\%$구에서 각각 3.78, 4.05, 3.75 및 3.61개로 유의차가 없었으며 비교배자충 구에서는 1.91로 현저한 산란수의 감소를 보였다. (3) 처리웅충과 무처리자충의 교배에서 얻은 $F_l$대의 처리후 27일간 총평균 부화율은 대조구 $86.82\%$에 대하여 $0.0625\%,\;0.125\%,\;0.25\%,\;0.5\%$구에서 각각 $64.77\%,\;53.47\%,\;40.33\%,\;24.78\%$로 처리농도의 증가에 따라 부화율이 감소되었다. (4) 처리후 산란 시기별로 산하된 란의 부화율은 모든 처리구에서 처리후 10-12일까지는 부화율이 감소하다가 그후 다시 증가하는 회복현상을 보였다. (5) 고농도 처리구인 $0.5\%$구에서는 처리후 1-3일에 산하된 란의 부화율이 낮았고 10-12일 이후에도 회복의 속도가 느렸다. 이와같은 현상은 배우자 형성 과정에서 영향을 받는 시기의 범위가 넓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었다. (6) 유충기 치사율은 대조구 $6.55\%$에 비하여 $0.0635\%,\;0.125\%,\;0.25\%,\;0.5\%$구에서 각각 $17.89\%,\;27.40\%,\;35.43\%,\;52.17\%$로 처리농도의 증가에 따라 치사율의 증가를 보였다. (7) 난기 치사율과 유충기 치사율의 관계는 $0.125,\;0.25,\;0.5\%$ 처리구에서 상관계수가 각각 r=+0.89, +0.83 및 +0.85로 난기 치사와 유충기 치사는 동일형의 영향임을 알 수 있었다. (8) 치사인자 발현에 대한 난기와 유충기의 감수성은 각각 $SC_{50}=0.133\%$$LC_{50}=0.565\%$초 난기가 유충기보다 감수성이 쳤다. 또한 미우화에 미치는 영향은 이들 둘의 공동작용의 결과임으로 $LC_{50}=0.09\%$로 더욱 감수성이 컸다. (9) $F_1$대의 우화 성충은 $0.125\%,\;0.25\%\;,\;0.5\%$ 처리구에서 암컷대 숫컷의 비율이 100 : 125, 100 : 108 및 100 : 124로 숫컷의 출현빈도가 높은 듯 하였으나 우화 개체수가 적은 관계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10) $P_1$이 처리후 16-18일에 산하한 난에서 우화한 $F_l$ 웅충을 무처리 자충과 교배하였을 때 $0.0625\%$구에서는 $13.88\%,\;0.125\%$ 구에서는 $33.04\%$의 난기 치사율을 나타내었고 $F_2$도 각각 $31.01\%$$38.73\%$의 치사율을 나타내고 있어 염색체 이상의 결과라고 생각되었다. (11) $F_2$ 세대의 유충기 치사율은 자충 퇴교배구가 웅충 퇴교배구 보다 높았고 $F_l$ 형매교배에서 가장 높았다. (12) $F_2$$BC_1$ 세대의 유충발육은 산난후 제17일에 1-2영충이 대조구 $10.98\%$에 비해 자충 퇴교배구, 웅충 퇴교배구 및 $F_2$구에서 각각 $7.26\%,\;32.98\%$$15.73\%$로 분화의 지연작용을 나타내는 듯하였다. (13) $F_3$ 세대에서도 난기 및 유충기 치사율이 형매교배구가 퇴교배구 보다 높았다. 이는 열성치사인자가 영향한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14) Hempa 처리에 의하여 유기된 불임은 주로 전좌나 결실과 같은 염색체 이상로 유기되는 우성치사돌연변이에 기인된 것이라고 생각되었으며 이들 인자의 영향은 처리 후 제3세대에까지 전달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Ontogenetic Development of the Digestive System in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Larvae and Juveniles

  • Park, Su-Jin;Lee, So-Gwang;Gwak, Woo-Seo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8권3호
    • /
    • pp.301-309
    • /
    • 2015
  •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larvae and juveniles were reared from hatching to 35 days after hatching (DAH), and the development of their digestive systems was histologically investigated. The larvae were initially fed on rotifers and Artemia nauplii starting around 19 DAH, and thereafter on Artemia nauplii, fish eggs, and a formulated feed mixture. The primitive digestive system differentiated at 3 DAH; the digestive tract was distinctively divided into the buccopharyngeal cavity, esophagus, stomach, air bladder, intestines, and rectum. The gastric gland and pyloric caeca first appeared at 5 and 7 DAH, respectively. The stomach was divided into cardiac, fundic, and pyloric regions in the preflexion phase. The number of gastric glands and pyloric caeca, as well as the volume of the gastric blind sac increased markedly, with development continuing into the juvenile stage. The precocious development of the digestive system during the larval period might be related to the early appearance of piscivory, which is able to support high growth potential. The organogenesis results obtained for this precocial species represent a useful tool to aid our understanding of the physiological requirements of larvae and juveniles to ensure optimal welfare and growth under aquaculture conditions, which will improve current rearing practices of this scombrid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