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val development

검색결과 555건 처리시간 0.028초

북방대합, Spisula sachalinesisr 유생의 발생단계별 냉동-해동후 생존율 (Survival Rates of Frozen-thawed Surf Clam, Spisula sachalinensis Larvae in Five Developmental Stages)

  • 김영신;최윤희;이정용;장영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1호
    • /
    • pp.35-38
    • /
    • 2001
  • 동해안산 북방대합의 유생을 냉동보존하기 위한 적절한 유생단계를 선택하기 위해, 담륜자, 초기 D상 유생, 후기 B상 유생, 초기 각정기, 후기 각정기 유생에 대한 냉동실험을 실시하였다. 동해방지제로는 dimethyl sulfoxide와 ethylene g1yco1를 사용하였다. 동해방지제에 각 단계의 유생을 10분간 두어 평형상태에 달하게 한 다음, 냉동하여 액체질소에 보존하였다. 해동결과, 가장 높은 생존율을 나타낸 유생은 담륜자로서 동해방지제 2.0 M BMSO와 2.0 M ethylene glycol에서 생존율은 각각 97.4%와 85.0%였다. 발생이 진행된 유생일수록 생존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 PDF

낙동강 하구역에 출현하는 꼼치(Liparis tanakae) 자치어의 식성 (Feeding Habits of Larval Liparis tanakae from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 최희찬;허성회;박주면;백근욱;서영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68-376
    • /
    • 2015
  • The Feeding habits of larval Liparis tanakae collected from the Nakdong River estuary were studied. L. tanakae [3.8-10.6 mm notochord length(NL)] was a carnivore thatconsumed mainly copepods. Its diet also included small numbers of free-living flatworms (Macrostomida), tintinnids, cladocerans, and polychaetes larvae. To evaluate ontogenetic changes in dietary composition, three size groups were designated: 3-5, 5-7, and >7 mm. Copepods were the most important prey items for all size groups. The smallest size group frequently preyed on polychaete and bivalve larvae, along with copepods. As notochord length increased, the numbers of cladocerans and Macrostomida increased relative to those of polychaete and bivalve larvae.

A Technique of Segment Expression and RNA Interference (SERI) Reveals a Specific Physiological Function of a Cysteine-Rich Protein Gene Encoded in Cotesia plutellae Bracovirus

  • Barandoc, Karen;Kim, Yong-G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6호
    • /
    • pp.610-615
    • /
    • 2009
  • As a provirus, polydnavirus has a segmented DNA genome on chromosome(s) of host wasp. It contains several genes in each segment that presumably play critical roles in regulating physiological processes of target insect parasitized by the wasp. A cysteine-rich protein 1 (CRP1) is present in the polydnavirus Cotesia plutellae bracovirus (CpBV) genome, but its expression and physiological function in Plutella xylostella parasitized by the viral host C. plutellae is not known. This CpBV-CRP1 encoding 189 amino acids with a putative signal peptide (20 residues) was persistently expressed in parasitized P. xylostella with gradual decrease at the late parasitization period. Expression of CpBV-CRP1 was tissue-specific in the fat body/epidermis and hemocyte, but not in the gut. Its physiological function was analyzed by inducing transient expression of a CpBV segment containing CpBV-CRP1 and its promoter, which caused significant reduction in hemocyte -spreading and delayed larval development. When the treated larvae were co-injected with double-stranded RNA of CpBV-CRP1, the expression of CpBV-CRP1 disappeared, whereas other genes encoded in the CpBV segment was expressed. These co-injected larvae significantly recovered the hemocyte-spreading capacity and larval development rate. This study reports that CpBV-CRP1 is expressed in P. xylostella parasitized by C. plutellae and its physiological function is to alter the host immune and developmental processes.

두점박이민꽃게(갑각강, 단미목, 꽃게가)의 유생발생 (Complete Larval Development of the Swimming Crab, Charybdis bimaculata (Miers, 1886) (Crustacea, Brachyura, Portunidae), Reared in Laboratory)

  • 황상구;김창현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65-482
    • /
    • 1995
  • 두점박이민꽃게의 유생을 수온 22$^{\circ}C$, 염분농도 33.3%의 해수에서 사육하고, 전체 유생기의 형태적인 특징을 상세히 기재 및 도시하였다. 본 종은 7 단계의 zoea유생기와 1 단계의 megalopa유생기를 가지며, 부화로부터 megalopa까지는 최저 32일이 걸렸다. 두점박이민꽃게의 제 1 zoea 유생은 갑측극이 있고, 미절과 제2촉각의 형태가 각각 A와 B형이며, 제1소악과 제2소악의 내지가 각각 1+6, 6의 강모식을 가지는 점에서 이미 보고된 민꽃게속 내의 다른 종들의 유생들의 특징과 일치하고 있다. 두저박이민꽃게의 유생들과 이미 보고된 민꽃게 속의 다른 종들의 zoea 및 megalopa 유생 사이에 서로 구별될 수 있는 형태적인 특징들에 대하여 토의하였다.

  • PDF

주사전자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이용한 제주 북부 연안에 서식하는 가시굴 (Saccostrea kegaki Torigoe & Inaba, 1981)의 초기 유생발달관찰 (First observation on the early embryonic and larval development of spiny oyster Saccostrea kegaki Torigoe & Inaba, 1981 (Bivalvial: Ostreoida)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on the north coast of Jeju, Korea)

  • 이희중;강현실;정희도;홍현기;최광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97-103
    • /
    • 2013
  • In the present study, we monitored the early development of Saccostrea kegakia subtropical oyster species distributing on rocky intertidal off the northern Jeju Islan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he female oyster collected in early August, 2012 were fully mature exhibiting relatively small eggs ($46.5{\pm}1.4{\mu}m$ in diameter) in the gonad, while testis of the mature male oysters were filled with fully developed sperms of 36.9 ${\mu}m$ in length. The fertilized eggs developed into 2-cell stage with polar body after 1 hr 20 min of fertilization, then followed by Morula stage (3 hr 20 min), Blastula stage (4 hr 50 min), Gastrula stage (7 hr), and trochophore larvae stage (9 hr 30 min). The observed early development of S. kegaki in this study was similar the early development of other oysters, although size of the fertilized eggs were somewhat smaller.

연무자리돔, Chromis fumea (Pisces: Pomacentridae)의 산란보호, 난발생 및 자어의 형태발달 (Male Parental Care, Egg and Larval Development of the Smoky Damselfish, Chromis fumea (Pisces: Pomacentridae))

  • 김진구;김용억;박진우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66-172
    • /
    • 2001
  • 1995년 8월 제주도 근해에서 스쿠바 다이빙하여 연무자리돔의 산란보호행동을 관찰하였으며, 채집된 연무자리돔의 난은 부경대학교로 운반하여 부화, 사육하였다. 연무자리돔의 난은 평탄하고 단단한 기질의 산란소에 한층으로 부착되어 있었고, 수컷은 산란소 주위에서 접근해오는 다른 어종을 공격하는 산란보호행동을 나타내었다. 수정난은 무색투명하고, 타원형을 띠며, 부착사를 가진 침성부착난으로 난경은 장경이 0.73~0.88 mm, 단경이 0.50~0.56 mm이었다. 시간의 경과에 따른 난경의 변화는 T-test 결과 장경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p<0.01) 단경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수정난은 $23.0{\sim}25.5^{\circ}C$ 수온 범위에서 사육되었으며, 부화까지는 4~5일이 소요되었다. 부화자어는 척색장 1.10~1.61 mm로 21개의 근절을 가지고 있고 입은 닫힌 상태이나 항문은 열려 있으며, 항문전장은 척색장의 45.8%에 달하였고, 흑색소포는 두정부, 눈, 복강의 등쪽 및 꼬리의 배쪽 가장자리에 분포하였다. 부화자어의 난황과 유구는 부화 후 3~4일만에 완전히 흡수되어, 이 시기에 후기자어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3일째 자어는 척색장 1.9~2.4 mm로 25개의 근절을 가지며, 빠르게 성장하였고, 부화 후 9일째 자어는 척색장 2.9 mm로 복부 등쪽에 처음으로 부레가 출현하였으며, 흑색소포는 형태적으로 커지면서 수적으로는 감소하였다.

  • PDF

엘리뇨/라니냐와 정상 기간 동중국해 북부해역의 자치어의 군집구조 비교 (Comparison of Community Structure of Fish Larvae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in Normal and El Niño/La Niña Periods)

  • 유준택;최정화;김진영;김종빈;최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907-916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ommunity structure of larval fish specie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during normal meteorological conditions in autumn 2009, during the El Ni$\tilde{n}$o period in 2009-2010, and during the La Nina period in 2010. Fifty taxa were record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 most dominant species were Benthosema pterotum and Gobiidae spp. In October 2008 during the normal period, warm water from the Tsushima Warm Current (TWC) intruded more into the surface and middle layers, and cold water affected by the Yellow Sea Cold Water (YSCW) intruded into the bottom layer. In October 2009 during the El Ni$\tilde{n}$o period, intrusion of the China Coastal Water (CCW), which has low salinity (<32.2 psu), was more apparent than intrusion of the TWC or YSCW. In October 2010 during the La Nina period, intrusion of the TWC and CCW was relatively weak, resulting in the lowest temperature and highest salinity observed during the study period in the eastern part of the study area. Hierarchical cluster, one-way ANOSIM (analysis of similarities), and SIMPER (similarity-percentages procedure) analyses provided two main results. First, the abundance of the most dominant larval fish species in autumn of the normal period was greater than that in autumn of the El Ni$\tilde{n}$o/La Nina periods, resulting i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chthy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between the periods. The abundance of Benthosema pterotum increased in the normal period, possibly influenced by the intrusion of cold water from the YSCW; the abundance of species residing in Korean waters (e.g., Gobiidae spp.) probably decreased during the El Ni$\tilde{n}$o/La Nina periods. The second finding was that the abundance of subtropical larval fish in autumn of the normal period was generally larger than that during autumn of the El Ni$\tilde{n}$o/La Nina periods. This could have been induced by the stronger intrusion of warm water from the TWC during the normal period. Although differences in oceanographic conditions between El Ni$\tilde{n}$o and La Nina periods were observed, the differences in ichthy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between the two periods were not significant.

인공사료를 이용한 뒷흰가는줄무늬방나방(Mythimna loreyi) (나비목: 밤나방과)의 효율적인 대량 사육 방법 (Efficient Mass-rearing Method of Mythimna loreyi (Lepidoptera: Noctuidea) using Artificial Diets)

  • 백성훈;김은영;정진교;박창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4호
    • /
    • pp.287-293
    • /
    • 2023
  • 뒷흰가는줄무늬밤나방은 열대거세미나방 성페로몬 트랩에 지속적으로 상당수 유인되는 있는 비래해충이지만, 국내에서 뒷흰가는줄무늬밤나방에 대한 정보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향후 뒷흰가는줄무늬밤나방에 대한 다양한 연구 진행을 위해서는 대량사육에 관한 선행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뒷흰가는줄무늬밤나방 대량사육을 위한 인공사료 2종의 개별 및 조합 공급과, 집단 또는 개체사육이 발육 및 산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존 나방류 사육용 2종의 인공사료에 대한 발육특성을 비교한 결과, 검거세미나방 인공사료 제공시 유충은 높은 생존율과 빠른 발육을 보였으나, 번데기 무게는 감소하였다. 2종 인공사료 간 산란수에는 유의한(P < 0.05) 차이가 없었다. 집단사육은 개체사육에 비해 유충의 빠른 발육과 번데기 무게 및 생존율 감소를 야기하였다. 또한, 먹이와 사육 방법에 따라 암컷과 수컷에 미치는 영향이 달랐다. 뒷흰가는줄무늬밤나방의 대량 사육을 위해서는 부화 직후 검거세미밤나방 인공사료를 이용해서 집단 사육한 후, 2령 혹은 3령 이후에는 개체사육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영양과 염도가 토고숲모기 (Aenes togoi)의 난 및 유충발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ent and salinity in egg and larval development of Aedes togoi)

  • 이종수;홍한기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1호
    • /
    • pp.9-18
    • /
    • 1995
  • 토고숲모기의 산란주기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모기를 흡혈시켜 1마리씩 용기에 사육하면서 매시간 관찰한 바 흡혈 후 한번에 산란을 끝낸 개체는 53.9% 2회에 걸쳐 산란을 끝낸 개체 는 26.9%. 3회에 걸쳐 산란을 끝낸 개체는 19.2%였다 흡혈 후 산란을 2회 이상에 걸쳐 끝낸 개체 중 50%가 산란 간격이 6시간 이내였다. 유충시기 영양상태에 따른 무흡혈 산란율을 관찰한 바 유충 개체 당 먹이량이 0.8 mg군, 1.6 mg군, 2.4 mg군에서 각각 6.9%, 22.5%, 44.4%의 산란율을 보여 영양상태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염도 사이에서는 0%, 0.5%, 1.0%, 2.0%, 4.0% 군에서 각각 25.2%, 36.2%, 23.5%, 14.6%의 산란율을 나타내었다. 유충의 발육기간은 $25^{\circ}C$ 에서 숫모기가 10.73일로서 암모기의 11.85일 보다 단축되었다. 발육기간이 가장 빠른 염도는 1.0%로서 숫모기가 9.25일 암모기가 10.44일이었다. $20^{\circ}C$에서는 평균 9.3일 정도 길었다. 유충시기 영양상태에 따른 여포(follicle) 발육조사에서 여포수가 0.8 mg군은 180.7개, 1.6 mg군은 197.5개. 2.4 mg군은 202개였다. 10일째 관찰에서 0.8 mg, 1.6 mg, 2.4 mg의 3개 영양군은 각각 Christopher's stage IIa가 각각 71.0%, 61.9%, 39.9%로 대부분 Christopher's stage IIa였으며 무흡혈 산란개체도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