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va

검색결과 807건 처리시간 0.03초

Whole Structure of the Photoreceptors in the Ascidian Larva Visualized by an Antibody Against Arrestin (Ci-Arr)

  • Horie, Takeo;Nakagawa, Masashi;Orii, Hidefumi;Tsuda, Motoyuki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9권2호
    • /
    • pp.272-274
    • /
    • 2002
  • The anterior brain vesicle of ascidian larvae contains two distinct pigment cells. Ultrastructure of these pigment cells has been shown that the anterior pigment cell is an otolith for perception of gravity and the posterior pigment cell is an ocellus for light reception. The larva has remarkably simple central nervous system (CNS) composed of about 330 cells. We focused to study neural networks of visual systems. In the present paper, we report the whole structure of the photoreceptors of the ascidian larva visualized by an antibody against arrestin. Visual arrestin is the key protein for the termination of phototransduction and one of the abundant proteins in photoreceptors. Recently, we cloned an arrestin homologue gene, Ci-arr and the expression of Ci-arr was found to be restricted to the photoreceptors in the ocellus. To study the whole structure of the photoreceptors in the larva, we prepared an antibody against Ci-Arr. It is found that anti Ci-Arr antibody specifically stains the photoreceptors, including the cell bodies, the axons, and the nerve terminals. The photoreceptor cell bodies lies in row outside the pigment cup which penetrate the pigment cell and is continuous with the outer segments of the photoreceptor cell, inside the concavity of the pigments. The axons form bundle into a single tract. The tract extends toward the midline, where the nerve terminals diverge and seem to form synapses

  • PDF

아산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화 (Seasonal Fluctua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Asan Bay, Korea)

  • 최근형;박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24-437
    • /
    • 1993
  • 아산만 동물플랑크톤 변이의 약 3/4 가량이 계절에 따른 변이로 파악되었으며 만의 안쪽과 바깥쪽의 차이는 상대적으로 매우 작았다. 그러나 만의 안쪽과 바깥쪽에서의 주요종의 조성율 차이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 커지고 있어 방조제 건설 등에 따른 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 같았다. 조사 기간 3년 동안 종별로 가장 많이 출현하는 계절이 서로 달랐으나 각종이 가장 많이 출현하는 계절은 3년 계속 일치하고 있었다. Calanus sinicus와 Acartia bifilosa는 봄철에, Sagitta crassa, Paracalanus parvus, Acartia pacifica, Tortanus spinicaudatus, Corycaeus affinis 및 Decapoda larva는 여름철에, Labidocera euchaeta와 Bivalve larva는 가을철에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겨울철에 가장 많이 나타난 종은 없었다. 대체로 가을철에는 많은 종류가 적게 출현하고, 겨울철에는 종수와 양이 모두 적었고, 이들은 모두 봄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여름철에는 많은 종이 모두 다량 출현하는 변화양상 이었다. 지지하는 증거는 불충분하지만 이러한 변화양상에 대한 가설을 제기하였다.

  • PDF

Oligota kashmirica benefica (딱정벌레목:반날개과)의 응애류 포식량과 포식선호성 (Predatory Preference and Predation Amount of Oligota kashmirica benefica (Coleoptera: Staphylinidae) about Spider Mites)

  • 최덕수;김규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97-201
    • /
    • 2003
  • 포식성 천적 O. kashmiricabenefica의 식식성 응애류 3종에 대한 포식량, 포식선호성 그리고 동족포식을 조사하였다. 성충의 일평균포식량은 먹이인 응애의 밀도와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25^{\circ}C$ 항온조건하에서 O. kashmirica benefica 성충의 일평균포식량은 귤응애, 점박이응애, 차응애 성충을 각각 21.9, 13.5, 14.1마리씩 포식하였다. 유충의 포식량은 영기가 증가할수록 많아져서, 1령, 2령, 3령 유충이 각각 2.8, 11.2, 25.4마리의 귤응애 성충을 포식하였다. O. kashmirica benefica 유충은 귤응애, 점박이응애, 차응애 성충을 유충기간(5일, $25^{\circ}C$)동안 각각 77.7, 61.3, 73.0마리씩 포식하였다. O. kashmirica benefica 유충과 성충은 글응애, 점박이응애, 차응애 중에서 특정한 종을 선호하는 경향은 없었으며, 먹이가 없을 때에도 동족포식 정도는 매우 낮았다.

개회충에 의한 유충 내장 이행증 1예 (A Case of Pulmonary Infiltration with Eosinophilia in Visceral Larval Migrans by Toxocara Canis)

  • 김영찬;신성준;이재형;김미옥;손장원;양석철;윤호주;신동호;박성수;류재숙;정명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1호
    • /
    • pp.71-78
    • /
    • 2002
  • Human toxocariasis is a zoonotic parasitic disease caused by the larva of toxocara canis or cati. It is one of the most commonly reported zoonotic helminth infection in the world. Human are infected mainly by the accidental ingestion of embryonated eggs due to the pica, geophagia, the consumption of contaminated raw vegetables and poor personal hygiene particularly in childhood. In adults, the consumption of raw meat from potential paratenic hosts e.g. chickens, lambs, rabbits and dogs is a major cause of human toxocariasis. The larva can reach various organs such as the liver, lung, brain, and eye by the hematogenous spread and cause visceral larva migrans. We experience a case of pulmonary infiltration with eosinophilia by visceral larva migrans after eating the raw liver and kidney of a dog.

Allomyrina Dichotoma Larva 추출물이 췌장 ${\beta}$-세포에서 streptozotocin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Allomyrina Dichotoma Larva Extracts Protect Streptozotocin-induced Oxidative Cytotoxicity)

  • 김덕송;허진;유근창;채수철;이오선;이황희;이종빈;김종선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2권4호
    • /
    • pp.349-355
    • /
    • 2007
  • 장수풍뎅이 유충(Allomyrina dichotoma larva, ADL)은 중국의 전통 약재로서, 특히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여 항당료 제재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ADL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헴스터 췌장의 ${\beta}$-세포(HIT-T15)에서 Streptozotocin에 의해 유발된 산화적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및 그 작용기전을 조사하였다. ADL추출물은 처리농도 의존적으로 Streptozotocin에 의해 유발된 지질과산화 및 세포 내 자유산 소종의 양을 억제함으로서 ${\beta}$-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손상을 보호하였다. 또한 DNA laddering 방법을 사용하여 Streptozotocin에 의해 유발된 DNA 손상을 조사한 결과, ADL추출물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Streptozotocin에 의해 유발된 DNA 손상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산화적 손상의 억제능 관련 작용 기전을 조사하기 위해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ADL추출물 자체가 DPPH 자유 레디컬 소거능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플라스미드를 이용한 Single-strand break 방법을 통한 DNA 손상 보호능을 측정한 결과도 $Fe^{3+}$$H_2O_2$에 의해 유발된 DNA 손상이 ADL추출물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장수풍뎅이 유충의 추출물들이 자체의 레디컬 소거능 및 산화적 손상에 의한 DNA손상을 억제함으로써, Streptozotocin에 의해 유발된 산화적 손상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Screening of Medicinal Plants Against the Infection of Antheraea mylitta Cytoplasdmic Polyhedrosis Virus (AmCPV) in Tropical Tasar Silkworm, Antheraea mylitta Drury

  • Singh, Gajendra Pal;Sahay, Alok;Kulshresth, Varun;Kumar, Phani Kiran;Pallavi, Saumya;Ojha, Nand Gopal;Prasad, Bhagwan Chandra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0권1호
    • /
    • pp.13-17
    • /
    • 2010
  • Ten numbers of plants, based on their medicinal value, were used to test their efficacy against virosis (caused by cytoplassmic polyhedrosis virus) in tasar silkworm, Antheraea mylitta Drury. in indoor rearing conditions. The aqueous extracts of leaf of Azadirichita indica (neem), Acharanthus aspera, Psoralea corylifolia, Asparagus racemosus, Adhatoda zelanica (Basak), Andrographis paniculata (Kalmegh), Moringa oilephera (sahjan), whole plant of Phyllanthus urinaria (Bhuiamla), Centella asiatica (Veng sag) and Curcuma longa (Haldi powder) in different concentrations were used for containment of virosis in silkworm larvae. The tasar silkworm larvae were orally inoculated with PIBs ($1\times10^6$) of AmCPV in $2^{nd}$ instar and treated with plant extracts in each instar ($2^{rd}$ instar onwards). The mortality due to virosis was recorded during larval period. The plant extracts, irrespective of their concentrations, were found effective in suppressing the virosis where P. urinaria reduced the virosis to 56.90% followed by A. paniculata (53.82%) and least in C. asiatica (5.15%). The lowest pooled larva mortality 36.99% was recorded in the treatment of P. urinaria. Comparatively higher larva mortality 39.91% was observed with the treatment of A. paniculata. The highest larva mortality in treatment was with C. asiatica (81.99%). In treated control larva mortality was 86.50%.

감마선과 Methyl Bromide 처리가 녹두의 살충 및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Comparative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and Methyl Bromide Fumigation on Disinfest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ng Bean)

  • 노미정;권중호;권용정;허은엽;권용순;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44-449
    • /
    • 2001
  • 녹두의 가해해충 살충방법을 연구할 목적으로 현행 검역해중 살충방법인 methyl bromide(MeBr) 훈증처리와 감마선 조사에 의한 살충효과와 몇 가지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국내산 녹두의 가해해충은 팥바구미(Calloso-bruchus chinensis Linne)로 확인되었으며, 살충처리 후 5일째에 MeBr 처리는 완전한 살충효과를 보였다. 같은 시기에 3 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는 유충에 대하여 완전한 살충효과를 보였고, 2 kGy 조사구에서도 약 90%의 살충률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녹두의 성충은 유충에 비해 방사선 감수성이 큰 것으로 나타나 처리 후 10~15일 경에 두 충태 모두 1 kGy 조사구에서도 100%의 누적살충률을 보였다. 살충조건에서 녹두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비교해 본 결과, 질소용해도, TBA가, 총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과 함량은 25 kGy 조사구 및 MeBr 처리구에서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녹두의 기계적 색도는 MeBr 훈증처리에 의해 명도의 감소와 적색도 및 황색도의 증가로 전반적인 색차(${\Delta}E$)에서 느끼는 정도(NBS 2.61~2.94)의 색 변화를 가져왔다.

  • PDF

Potassium dichromate에 대한 새뱅이 유생, 물벼룩 및 송사리 치어 급성독성 민감도 비교 (Comparison of Acute Toxicity Sensitivity of Potassium Dichromate to the Larva Neocaridina denticulata, Daphnia magna and the Juvenile Oryzias latipes)

  • 이재우;김경태;조재구;김지은;이재안;김필제;류지성
    • 환경생물
    • /
    • 제30권4호
    • /
    • pp.314-318
    • /
    • 2012
  • The aim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stimate the possibility for toxicity test and compare acute toxicity of potassium dichromate in the larva stage of Neocaridina denticulata, Daphnia magna and the juvenile stage of Oryzias latipes. N. denticulate, a freshwater shrimp lives in Korea, is an indigenous species and considered to be useful for toxicity test. D. magna and O. latipes were recommended as a test species for the OECD test guideline. The 96 h-$LC_{50}$ potassium dichromate value was 0.62 mg $L^{-1}$ for the larva stage of N. denticulata and 168.44 mg $L^{-1}$ for the juvenile stage of O. latipes. The 48 h-$EC_{50}$ value was 1.27 mg $L^{-1}$ for the D. magna. The study was confirmed higher sensitivity of the larva stage of N. denticulata to potassium dichromate compared to the D. magna and the juvenile stage of O. latipes.

볼락류 Sebastes spp.에 있어서 선충류 아니사키스 유충의 감염 (Infection of Parasitic Anisakis Type Larvae (Nematoda) from Some Rockfishes, Sebastes spp.)

  • Chun, Kae-Shik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06-209
    • /
    • 2002
  • 2002년 2월부터 3월까지 오레건 주에 위치한 오레건 해안 수조와 뉴포트 어시장으로부터 16마리의 볼락류 Sebastes spp.를 채집하여 검사한 결과, 3종의 볼락류로부터 총 157개체의 아니사키스 유충이 검출되었으며 50.0%의 감염률을 나타내었다. 3종의 볼락류인 Sebastes flavidus, S. crameri, S. pinniger로부터 Anisakis simplex유충 110 개체, Contracaecum app. 유충 30개체 그리고 Pseudoteryanova decipiens 유충 17개체가 각각 검출되었다. 아니사키스 유충의 감염부위는 장관, 장간막과 위벽이었다. A. simplex 유충은 S. crameri에서 60%, S. flavidus와 S. pinniger에서 각각 33.3%의 감염률을 나타내었다. Contracaecum spp. 유충과 P. decipiens 유충은 S. pinniger에서 33.3%의 감염률을 나타내었다. A. simplex 유충의 감염강도는 5. flavidus, S. crameri 그리고 S. pinniger에서 1에서 87이었고 Contracaecum spp.유충과 P. decipiens 유충은 S. pinniger에서 0에서 30까지 나타내었다.

씨고자리파리(Delia platura (Meigen))에 의한 대두의 피해정도와 생산성 변화 (Delia platura (Meigen) as a Soybean Insect Pest)

  • 김태홍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74-181
    • /
    • 1992
  • 씨고자리파리(Delia platura) 유충의 피해가 차후 대두 생육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기상생태형별로 조사하고 또 해충종합관리의 방안으로서 토양내 유기물함량, 토양의 종류, 피복등과 피해정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콩 초생단엽의 피해로 영양생장이 지연되었는데 일장에 의해 유도되는 개화기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인위적으로 적엽한 구 보다는 충접종에 의한 피해구에서 생육지연 현상이 두드러졌는데 이는 초생단엽 피해 외에 지하 경.근부가 함께 피해를 받은 때문이었다. 생산량은 초생단엽이 25% 피해를 받은 구부터 크게 감소하였다. 콩의 출현속도는 무피복구에 비해 피복구에서 빨랐는데 투명비닐의 촉진 효과가 가장컸다. 식양토와 식토구에서 재배한 콩의 피해가 적었으며 토양내 부엽토 함량이 증가하면 출현속도가 빨라져 초생단엽의 피해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