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ge-scale test

검색결과 1,424건 처리시간 0.034초

화강암-안산암 접촉부 대규모 사면의 붕괴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large-scale slope failure in Granite - Andesite contact area)

  • 이수곤;양홍석;황의성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03-508
    • /
    • 2003
  • In this study, we peformed ahead a field geological investigation, boring investigation for slope stability analysis in large scale slope failure area. But the geological stratum was not clearly grasped, because ground was very disturbed by large scale Granite intrusion. Furthermore, the existing test data was not pertinent to the large scale Granite intrusion site like here. Therefore, various kind of field test were performed to grasp clearly for geological stratum. And the results of back analysis, various kind tests used to slope stability analysis.

  • PDF

대형캐비테이션터널(LCT) 실물 구동펌프 성능시운전 (Performance Trial-Test of the Full-Scale Driving Pump for the Large Cavitation Tunnel(LCT))

  • 안종우;김건도;김기섭;박영하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2권6호
    • /
    • pp.428-434
    • /
    • 2015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trial-test for the full-scale driving pump, which is arranged in the LCT (Large Cavitation Tunnel). Firstly, the reasons of selecting the final design pump are introduced in terms of the performance analysis in model tests. The trial-test items for the full-scale driving pump are measurements of output current/voltage at the inverter of the main motor and the flow velocity in the LCT test section. The test results show the increase in flow rate of about 10.7% and the decrease in pump head of about 26%, compared with those of final design-pump specification. The motor power has the margin of about 22%. The performance analysis for the full-scale pump is conducted using the commercial code (CFX-10). The delivered power calculated with CFX-10 shows good agreement with that extracted from the full-scale pump test. It is found that CFX-10 is useful to analyze a full-scale pump.

굵은 입자가 포함된 풍화토의 전단강도 평가에 대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valuation of Shear Strength of Weathered Soil Containing Coarse Particles)

  • 김준석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69-176
    • /
    • 2024
  • 연구목적: 본 논문에서는 직접전단시험에서 시험시편의 규모 때문에 부득이 굵은 입자가 제외되는 문제 때문에 발생되는 전단강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직접전단시험을 실시하는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최대직경 50mm의 굵은 골재가 포함된 3개의 풍화토를 대상으로 대형직접전단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굵은 골재가 제외된 최대직경 5mm 시료를 이용하여 소형직접전단시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소형직접전단시험의 경우 큰입자가 포함된 대형직접전단시험의 결과에 비하여 내부마찰각은 약2.3% 작은 값을 도출하여 비교적 큰 차이가 없었다. 점착력에서는 대형직접전단시험에 비하여 소형 직접전단시험이 약 80.3% 작은 값을 도출하여 비교적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 대형직접전단시험에서 굵은 입자가 내부마찰각보다는 점착력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굵은 입자를 포함한 화강풍화토는 수직응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점착력과 같은 전단강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굵은 입자를 제외한 소형직접전단시험은 굵은 입자의 효과를 제외함으로서 안전측의 결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형삼축압축시험을 이용한 북제주현무암 사석재의 강도정수 산정 (Evaluation of Strength Parameters of North-Cheju Basalt Rubble Using Large-Scale Triaxial Test)

  • 정철민;김종수;채영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89-196
    • /
    • 2002
  • According to the Korean Design Code for port and harbor facilaties, bearing capacity of rubble mound under eccentric and inclined load is calculated by the simplified Bishop method, and strength parameters are recommended to be c=0.2kg/$\textrm{cm}^2$ and ø=35$^{\circ}$for standard rubble if the compressive strength of parent rock is greater than 300kg/$\textrm{cm}^2$, quoting from research results by Jun-ichi Mizukami(1991), But this facts have never been certified in Korea because there was not large-scale triaxial test apparatus until 2000 in Korea. Firstly in Korea, the large-scale triaxial test (sample diameter, 30cm and height, 60cm) on the rubble originated from porous basalt rock in North-Cheju was accomplished. Then strength parameters for basalt rubble produced in North-Cheju are recommended to be c=0.3kg/$\textrm{cm}^2$ and ø=36$^{\circ}$if the compressive strength of parent rock is greater than 400kg/$\textrm{cm}^2$.

  • PDF

세라믹의 마멸기구에 관한 파괴역학적 연구 -마멸실험 결과의 고찰- (Fracture Mechanics Study on Wear Mechanism of Ceramics -Discussions on Experimental Results of Wear Test-)

  • 김석삼;김재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636-645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전보에서 수행한 이론해석의 결과를 실험결과에 적용하여 세라 믹의 마멸형태를 파괴역학적 견지에서 고찰하고, 새로운 세라믹의 마멸이론과 마멸평 가를 위한 파라메타를 제안하고자 한다.

대형직접전단시험과 대형삼축시험을 통한 석산골재의 전단거동 특성 비교 (Comparison of Shear Behavior for Quarry Blasted Rocks Based on Large Scale Direct Shear Test and Large Scale Triaxial Test)

  • 이대수;김경열;오기대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5-14
    • /
    • 2008
  • 국내 석산에서 생산되는 골재를 사용하여 대형삼축시험과 대형직접전단시험을 동시에 수행한 후 전단특성을 비교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시험조건을 가능한 일치시켰으며, 상대밀도를 50%, 70%, 90%의 세 가지로 변화시켜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응력-변형률 거동은 두 가지 시험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며, 전단강도는 상대밀도의 크기에 따라 시험방법별로 추세가 달라진다. 즉, 낮은 상대밀도에서는 대형직접전단시험의 내부마찰각이 대형삼축압축시험 결과 값에 비하여 작게 나타나고, 높은 상대밀도에서는 이 현상이 역전됨을 확인하였다.

대형칼로리미터를 이용한 차량 화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ehicle fire property using the large scale calorimeter)

  • 유용호;김흥열;신현준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343-349
    • /
    • 2007
  • 터널 화재와 관련된 축소모형실험연구는 기본적인 데이터는 제공할 수 있지만, 축소모형과 실물화재간의 정확한 이론적 상사관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실물화재에 대한 직접적인 분석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산소소모율법을 적용하여 열방출율과 같은 물리량의 측정이 가능한 실물화재실험장치인 대형칼로리미터를 개발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화재시 열방출율을 측정하기 위한 실물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차량의 열방출율은 $2.3{\sim}3.4\;MW$로 측정되었다. 이는 PIARC에서 권고하는 차량의 열방출율과 유사한 범위로서 개발된 실물화재평가장치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향후 관련 연구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실대형화재평가장치의 개발 및 안정화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Development and Calibration for the Real Scale Fire Test Facility)

  • 유용호;김흥열;신현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37-44
    • /
    • 2008
  • 최근 화재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축소모형실험 등을 통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실물화재 실험과의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설명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실물화재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소소모율법을 적용한 10 MW급 라지스케일로리미터를 개발하였으며, 헵탄 풀 화재를 이용한 발열량 보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신뢰성 높은 보정결과를 얻었으며, 보다 진보적인 실물화재연구에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창고 모델 실물화재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Warehouse Mock-up Fire Test)

  • 권오상;유용호;김흥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47-5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창고 화재 사고의 위험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중규모 실물 화재 실험 장비인 룸코너 시험기(Room Corner Tester)를 통해 구축된 단위 구성품의 화재 특성 DB를 바탕으로 화재에 취약할 것으로 판단되는 의류 창고를 실험 모델로 구성하여 실물 화재실험 장비인 라지 스케일 칼로리미터(Large Scale Calorimeter)에서 실물 화재실험을 실시하였다. 창고 모델의($3m{\times}3m{\times}2.4m$) 벽체는 불연등급의 그라스울과 일반 스티로폼 샌드위치 패널로 구성하였다. 실험결과 최대 열방출률은 그라스울 샌드위치 패널 창고모델에서 5MW, 스티로폼 샌드위치 패널 창고모델에서 11MW를 나타내었다.

대형 공진주 시험 장비의 적용 (Adoption of the large scale free-free resonant column test)

  • 박인범;박철수;목영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626-633
    • /
    • 2009
  • A large scale resonant column testing equipment is under development. The would-be equipment is aiming to test 150mm-diameter specimens, which can contain as large a grain size as 25mm. Such a large specimen is hardly excitated with the existing fixed-free end condition because the torsional force cannot be effectively coupled to the specimen. The specimen will be rather resonated with free-free condition and the scheme is implemented with a rotational bearing installed between coil-magnet exciter and base pedestal. Presently the equipment was assembled and is under calibration with a cylindrical brass specime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