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paroscopy

검색결과 291건 처리시간 0.034초

진행위암의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 - 개복 위 전절제술과의 후향적 비교 - (Laparoscopy-assisted Total Gastrectomy for Advanced Upper Gastric Cancer - Comparison with Open Total Gastrectomy -)

  • 이준현;남유희;허훈;전해명;김욱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8권3호
    • /
    • pp.141-147
    • /
    • 2008
  • 목적: 상부 진행위암 환자에서 시행된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의 초기 경험을 개복 위 전 절제술과 비교 분석하여 수술결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4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복강경 보조 위 전 절제술과 $D1+{\beta}$ 이상의 림프절 절제술이 시행된 47명의 환자 중, 수술 후 진행위암으로 확진된 29명의 환자(LATG군)를 같은 시기에 개복 위 전 절제술을 시행한 35명의 환자(OTG군)와 임상병리학적 특징, 수술 후 결과, 재발 및 생존기간 등을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두 군의 성비, 나이, 체질량 지수 및 병기 등에서 차이는 없었으나, 암종의 크기는 LATG군이 평균 6.1 cm로 OTG군의 9.2 cm에 비해 유의하게 작았으며, 근위부 절제연은 평균 3.6 cm로 OTG의 2.1 cm에 비해 유의하게 길었다. 수술시간은 LATG군이 평균 361.3분으로 OTG군의 289.0분보다 유의하게 길었으나, 출혈량, 합병증, 장 운동 회복일, 음식 섭취 시작일과 재원일에는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추적기간은 18.8개월(범위 3~46개월)이었으며 평균 생존기간은 LATG군 31개월과 OTG군 32개월, 무병 생존기간은 평균 28개월과 24개월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재발률은 LATG 군이 30.8%, OTG군은 34.3%였으며 재발부위는 두 군 모두 복막과 림프절이 가장 많았다. 결론: 대상 환자가 적은 후향적 연구지만 복강경 보조 위전 절제술은 진행위암의 치료에서 개복 위 전 절제술과 비교 시 수술과 연관된 합병증이나 생존기간, 재발율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환자의 예후에 대한 장기 추적 관찰과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2004년 전국 복강경 위 수술 현황 (Nationwide Survey of Laparoscopic Gastric Surgery in Korea, 2004)

  • 김형곤;김곤홍;김동헌;김민찬;김병식;김영우;김용일;김용호;김욱;김원우;김진조;김태봉;류성엽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4호
    • /
    • pp.295-303
    • /
    • 2005
  • 대한복강경위장관연구회가 2004년 전국에서 시행된 복강경 위 수술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모두 36개의 기관으로부터 38명의 외과의가 설문에 응답하였다. 2004년 한 해 동안 시행된 복강경 위 수술은 총 1,089예였고 1995년부터 2004년까지 시행된 복강경 위 수술을 누적하면 모두 2,386예였다. 2004년에 위선암 환자에서 시행된 복강경 위 수술은 2003년보다 약 2배 많은 754예였다. 위선암에 대한 근치적 위절제술인 복강경보조위아전절제술 및 복강경보조위전절제술은 2001년도를 전환점으로 급속히 증가하였다(2001년 55예, 2002년 150예, 2003년 364예, 2004년 738예). 특히 복강경보조위전절제술은 작년에 폭발적 인 증가를 보였다. (2003년 20예, 2004년 112예). 그러나 복강경보조유문부보존위절제술 및 복강경보조근위부위절제술과 같은 복강경보조기능보존위절제술은 작년 각각 1예씩 시행되어 아직 보편화되지 않았다. 위 점막하종양에 시행된 복강경위쐐기절제술은 142예였다. Hand-assisted laparoscopic surgery는 2001년 39예, 2002년 55예, 2003년 49예가 시행되었으나 2004년에는 단 5예만 시행되어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고도비만수술은 2003년도에 시작되어 2004년에는 49예로 증가하였다. 위선 암에서 복강경위수술의 적응증에 대한 견해로서 19명이 조기위암에서 시행한다고 하였고 7명은 적응증을 T2N0까지 넓히고 있었다. 앞으로 보험문제가 해결이 되고 장기 성적이 나온다면 위선암에 대한 복강경 위 수술은 널리 보편화될 것이다.

  • PDF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과 개복 위절제술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Laparoscopy-assisted Gastrectomy versus Open Gastrectomy)

  • 임정택;김병식;정오;김지훈;육정환;오성태;박건춘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7권1호
    • /
    • pp.1-8
    • /
    • 2007
  • 목적: 정기 검진을 통한 위암의 조기 발견으로 조기위암은 늘어나는 추세이며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맞춤 수술로서 국내에서도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본 교실에서도 2004년 4월부터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을 시작하였으며, 2005년 1년간 122예의 복강경보조 위절제술을 시행하여 임상병리적 특징과 수술결과에 대하여 개복술과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교실에서 조기위암으로 2005년도에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을 시행한 119예와 2005년도 1~3월까지 개복 위절제술을 받은 126예를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징, 수술 후 경과, 합병증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양 군 간에 환자들의 연령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복강경군에서 여성의 비율이 더 많았고 신체비만지수가 더 높았다. 수술에 소요된 평균시간은 복강경군이 더 오래 걸렸으며(239.2 vs 123.3분, P<0.001), 첫 번째 가스배출은 복강경군에서 빨랐고(3.05 vs 3.70일, P<0.001), 식이의 진행도 복강경군에서 빨랐다(물: 2.86 vs 3.22일, 미음: 3.87 vs 4.19일, 죽: 4.84 vs 5.26일, P<0.001). 합병증 발생은 복강경군에서 4.9%로 개복군의 9.5%보다 적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고(P=0.179), 퇴원도 복강경군에서 빨랐으나(7.73 vs 8.25일)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229). 절제된 림프절의 수는 복강경군에서 평균 23.9개, 개복군에서는 23.1개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63). 복강경 수술 중 개복술로 전환 한 예와 양 군 모두 합병증으로 재수술 한 경우와 사망한 경우는 없었다. 결론: 복강경보조 위절제술이 개복술에 비해 수술 시간이 길지만, 기타 식이의 진행이나 획득한 림프절의 수나 합병증의 발생 등에서 우세하거나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복강경보조 위절제술도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는 술식이며, 종양학적으로 용인될 수 있다고 생각되나, 표준수술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무작위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복강경을 이용한 자궁내장치 사용자의 복강세균학적 연구 (Pelvic microbial flora in the users versus the nonusers of intrauterine device determined by laparoscopic method)

  • 한원보;곽현모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1권1호
    • /
    • pp.17-32
    • /
    • 1984
  • 자궁내장치 사용군에 있어서 비사용군에 대한 골반장기염의 상대위험도는 많은 논란의 대상이 되고있으며 정확한 골반장기염의 진단을 위하여는 복강경을 통한 골반장기의 관찰 및 그 원인균을 규명하기 위한 병소인 난관으로부터의 균주 채취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에 저자는 1982년 11월 1일부터 1985년 5월 31일까지 만 6개월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병원 수태조절실 및 서울시내 성가병원에 복강경을 통한 영구불임술을 시술받기 위하여 내원한 여성중 내원 1개월이내에 항생제나 질정의 사용이 전혀 없는 자궁내장치 사용군 30명과 자궁내장치 비사용군 35명을 대상으로 복강경을 통한 골반장기의 관찰 및 난관에서의 가검물 채취와 동시에 자궁경관에서도 세균검사를 병행하여 균주배양을 시행하므로써 골반장기염의 상대위험도를 연구하고 그 관련 균주를 규명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자궁내장치 사용군과 비사용군의 평균 연령은 각각 31.8세, 30.7세이었고 평균 임신의 횟수는 양군이 3.4회이며 경제적 상태도 양군의 모든 예에서 중류이하로 양군의 차이가 없었다. 2. 복강경을 통한 골반장기염의 소견을 보인 예는 자궁내장치 사용군에서 2예로 6.6%였으며 비사용군에서는 골반장기염의 소견을 볼 수 없었으나 이들사이의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으며(p>0.005) 자궁내장치 사용군의 적혈구 침강속 는 30%에서 16mm/hr 이상으로 증가를 보였으나 백혈구수의 증가는 3.3%에서 있었다. 3. 복강경을 통한 난관에서의 가검물채취로 균주를 배양한 결과 자궁내장치 사용군 30예와 비사용군 35예의 전예에서 배양된 균주는 없었다. 4. 자궁경관의 균주 배양결과는 자궁내장치 사용군과 비사용군에 있어 골반장기염의 원인균이ㅍ될 수 있는 Hemophilus sp. 가 각각 3예, 1예, alpha-Streptococcus 2예, 1예, Corynebacteria 1예, 0예, Bacteroides 는 4예, 1예로 사용군에서 더욱 자주 배양되는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p>0.005).

  • PDF

학습곡선을 기준으로 한 복강경 보조 원위절제술에 대한 결과 (The Learning Curve of Laparoscopy-assisted Distal Gastrectomy (LADG) for Cancer)

  • 김갑중;육정환;최지은;정오;임정택;오성태;김병식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8권4호
    • /
    • pp.232-236
    • /
    • 2008
  • 목적: 최근 조기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이 널리 시행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최선의 표준화된 수술방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조기 위암으로 진단된 32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복강경 보조 원위절제술의 결과를 보고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4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을 받은 374예 중 원위절제술을 받은 329예를 학습곡선을 극복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나누어 임상병리적 특성, 수술 소견, 수술 후 경과 및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결과: 329명의 환자 중 남자가 196명, 여자가 133명이었다. 평균 BMI는 23.6이고, 평균 수술 시간은 180.9분이며, 30예 이전은 287.9분이었고, 30예 이후는 170.2분으로, 30예 이후에 평균 수술 시간이 감소하였다(p<0.01). 림프절 절제는 30예 이전에는 D1절제가 5예(16.7%), D1+$\beta$이상이 25예(83.3%)였고, 30예 이후에는 D1절제가 16예(5.4%), D1+$\alpha$가 4예(1.3%), D1+$\beta$이상이 279예(93.3%)였다. 절제된 림프절의 개수는 22.7개, 30예 이전에는 18.6개, 30예 이후에는 23.1개로 30예 이후에 절제된 림프절의 개수가 많았다(P=0.02). 수술 후 평균 재원 기간은 $7.6\pm4.8$일이었으며, 30예 이전에는 9.3일, 30예 이후에는 7.4일로 30예 이후에 재원 기간이 줄어 들었다(P=0.04). 수술 전과 수술 후의 혈색소 차이는 평균 1.6 g/dl였고, 30예 이전에는 2.3 g/dl, 30예 이후에는 1.6 g/dl로 30예 이후 수술 중 출혈 양이 의미있는 감소를 보였다(P=0.02). 합병증은 출혈, 복강 내 농양, 문합부 누출, 문합부 협착, 수술 상처 감염, 폐렴 등 24예에서 나타났으며 30예 이전에는 3예, 30예 이후에는 21예에서 나타났다(P=0.45). 결론: 학습곡선의 극복 이후 수술시간이 단축되었고, 수술중 출혈양이 감소하였으며, 더 작은 절개창을 이용한 수술이 가능하게 되었다. 복강경 보조 원위절제술은 조기 위암 환자의 치료로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한다.

  • PDF

Risk Stratification for Serosal Invasion Using Preoperative Predictors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 Park, Sung-Sil;Min, Jae-Seok;Lee, Kyu-Jae;Jin, Sung-Ho;Park, Sunhoo;Bang, Ho-Yoon;Yu, Hwang-Jong;Lee, Jong-Inn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2권3호
    • /
    • pp.149-155
    • /
    • 2012
  • Purpose: Although serosal invasion is a critical predisposing factor for peritoneal dissemination in advanced gastric cancer, the accuracy of preoperative assessment using routine imaging studies is unsatisfactor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high-risk group for serosal invasion using preoperative factors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3,529 advanced gastric cancer patients with Borrmann type I/II/III who underwent gastrectomy at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between 1991 and 2005. We stratified patients into low-(${\leq}40%$), intermediate-(40~70%), and high-risk (>70%) groups, according to the probability of serosal invasion. Results: Borrmann type, size, longitudinal and circumferential location, and histology of tumors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serosal invasion. Most tumors of whole stomach location or encircling type had serosal invasion, so they belonged to high-risk group. Patients were subdivided into 12 subgroups in combination of Borrmann type, size, and histology. A subgroup with Borrmann type II, large size (${\geq}7$ cm), and undifferentiated histology and 2 subgroups with Borrmann type III, large size, and regardless of histology belonged to high-risk group and corresponded to 25% of eligible patients. Conclusions: This study have documented high-risk group for serosal invasion using preoperative predictors. And risk stratification for serosal invasion through the combination with imaging studies may collaboratively improve the accuracy of preoperative assessment, reduce the number of eligible patients for further staging laparoscopy, and optimize therapeutic strategy for each individual patient prior to surgery.

원위부 위암에서 복강경 D2 림프절 절제술의 수술 성적 (Short-term Surgical Outcomes after Laparoscopic D2 Lymphadenectomy in Patients with Distal Gastric Cancer)

  • 정오;박영규;육정환;김병식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8권2호
    • /
    • pp.79-84
    • /
    • 2008
  • 목적: 복강경 기구의 발달과 시술자의 숙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로 조기위암 이상으로 복강경 위절제술을 확대 적용하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복강경 D2 림프절 절제술의 적절성 및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2월부터 2007년 8월까지 복강경 D2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 받은 22명의 원위부위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성, 수술 성적 및 수술 후 경과 등에 대하여 같은 시기에 시행된 38명의 개복 D2 림프절 절제술 환자와 비교하였다. 결과: 복강경 D2 림프절 절제술은 평균 수술시간이 오래 소요되었으나($160{\pm}25min$. vs. $135{\pm}21min$., P<0.001), 평균 근위부 절제연 거리($6.1{\pm}2.8cm$ vs. $5.8{\pm}2.5$, P=ns), 평균 림프절 절재 개수($25{\pm}11$ vs. $26{\pm}9$, P=ns)에서 개복 수술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경과는 복강경 수술군에서 식이개시, 재원일수 등이 유의하게 빨랐다. 복강경 D2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개복으로의 전환은 없었으며, 양군에서 유사한 수술 후 합병증 발생빈도를 보여주었다. 결론: 복강경 D2 림프절 절제술은 개복수술과 유사한 수술성적을 가지며, 양호한 수술 후 경과를 보인다. 향후 전향적 연구를 통해 복강경 D2 림프절 절제술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난소의 자궁내막종에 대한 다양한 치료적 적용에 따른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 결과의 비교 연구 (Comparison of IVF-ET Outcome after Various Therapeutic Approaches for Ovarian Endometriomas)

  • 이방현;권혁찬;이재현;김보현;이상희;박민혜;이병관;임정애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1권2호
    • /
    • pp.95-103
    • /
    • 2004
  • Objective: To compare COH characteristics and IVF outcomes among IVF-ET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various therapeutic modalities for ovarian endometriomas and to propose effective pre-cyclic therapeutic modalities to improve IVF-ET outcomes in the patients with ovarian endometriomas. Methods: All cases that had undergone IVF-ET after laparoscopy between January 1997 to August 2003 were reviewed. Forty-eight patients with tubal factor were assigned to Group I. Twenty seven, 22 and 38 patients diagnosed as severe pelvic adhesion with ovarian endometriomas by laparoscopy received only medical therapy (Group II), cyst aspiration (Group III), and sclerotherapy (Group IV), respectively. Laparoscopic cystectomy was performed in 20 patients (Group V). Resistance index was measured on day administering hCG. Results: As compared with Group I, in Group II resistance index increased (p<0.05) but number of oocytes, good-quality oocyte ratio (mature and intermediate oocytes/total retrieval oocytes), fertilization rate, and embryo development rate decreased (p<0.05). In Group III fertilization rate and embryo development rate decreased (p<0.05).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 IV and Group I in all parameters except basal FSH which increased (p<0.05). In Group V basal FSH, and resistance increased (p<0.05) and number of oocytes and good-quality oocytes ratio decreased (p<0.05). Conclusion: Sclerotherapy is an effective therapeutic option which can be done prior to IVF-ET cycles in the patients with ovarian endometriomas. Further studies on a large scale are necessary to confirm these data.

자궁내막증이 있는 불임환자에서 복강액내의 Cytokine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ytokine in Peritoneal Fluid of Infertile Patients with Endometriosis)

  • 강정배;박제용;김범;김성주;손우석;김현태;장봉림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7권1호
    • /
    • pp.91-97
    • /
    • 2000
  • Objective: The presence of the various cytokines in human peritoneal fluid has been evaluated incompletely. Changes in cytokine levels may be related to activation of peritoneal macrophage and T-lymphocyte, development of endometriosis, and infertility. This study assesses peritoneal fluid levels of interleukin-6 (IL-6), interleukin-8 (IL-8), interleukin-10 (IL-10)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 infertile women with endometriosis and normal women without endometriosis. Design: Prospective and case-control study in university hospital. Materials and Methods: Cytokine levels in peritoneal fluid obtained during laparotomy or laparoscopy from 21 patients in infertile patients with endometriosis and 24 controls undergoing laparotomy or laparoscopy with no evidence of pelvic endometriosis were determin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ults: The mean levels of interleukin-6 in infertile patients with endometriosis and controls were $72.7{\pm}23.7$ pg/ml and $18.5{\pm}9.7$ pg/ml respectively (p=0.02). Similarly, the mean levels of interleukin-8 in infertile patients with endometriosi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s ($445.0{\pm}89.6$, vs $45.1{\pm}48.4$, p=0.04). The mean concentration of interleukin-10 in infertile patients with endometriosi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s ($1.09{\pm}0.04$ vs $2.19{\pm}0.03$, p=0.03). The level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study groups. Conclusions: Increased IL-6 and IL-8 and decreased IL-10 levels in the peritoneal fluid may be related to pathogenesis in the endometriosis and infertility, suggesting that partially contribute to the disturbed immune regulation observed in infertili women with endometriosis.

  • PDF

Design of a Compact Laparoscopic Assistant Robot;KaLAR

  • Lee, Yun-Ju;Kim, Jona-Than;Ko, Seong-Young;Lee, Woo-Jung;Kwon, Dong-Soo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3년도 ICCAS
    • /
    • pp.2648-2653
    • /
    • 2003
  •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a 3-DOF laparoscopic assistant robot system with motor-controlled bending and zooming mechanisms using the voice command motion control and auto-tracking control. The system is designed with two major criteria: safety and adaptability. To satisfy the safety criteria we designed the robot with optimized range of motion. For adaptability, the robot is designed with compact size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the staffs in the operating room. The required external motions were replaced by the bending mechanism within the abdomen using flexible laparoscope. The zooming of the robot is achieved through in and out motion at the port where the laparoscope is inserted. The robot is attachable to the bedside using a conventional laparoscope holder with multiple DOF joints and is compact enough for hand-carry. The voice-controlled command input and auto-tracking control is expected to enhance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system while reducing the control load imposed on the surgeon during a laparoscopic surgery. The proposed system is expected to have sufficient safety features and an easy-to-use interface to enhance the overall performance of current laparoscop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