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e spare width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차량의 후사경 폭과 횡방향 이격거리를 반영한 차로여유폭 산정 (Lane Spare Widths Reflecting Vehicles' Rearview Mirror Widths and Lateral Wheel Paths)

  • 유혜민;한만섭;오흥운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41-48
    • /
    • 2014
  • PURPOSES : The lane width of the domestic highway is 3.5 ~ 3.6m and it has been designed nationwide. However, the distribution of the average vehicle widths, rearview mirror widths and lateral wheel paths by region appear different. Then, lane spare widths may differ by region followingly. Thus, the flexible design of freeway lane widths is required. METHODS : The methodologie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vehicle widths rearview mirror widths lateral wheel paths of vehicles driven four national expressways were measured. Second, lane spare widths by vehicle widths were calculated. Third, lane spare widths reflecting rearview mirror widths were calculated by using interval estimation. Additionally, lane spare widths reflecting vehicles lateral wheel paths were calculated.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lane spare widths by vehicle widths ranges 0.83 to 0.95m. Second, lane spare widths reflecting rearview mirror widths ranges 0.518 to 0.747m at the confidence interval 95%. Third, lane spare widths reflecting vehicles' lateral wheel paths ranges -0.022 to 0.322m at the curved sections and the confidence interval 95%. CONCLUSIONS :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present lane spare widths are relatively narrow at the curved section. Thus, there is a need to consider expanded lane widths at the curved sections. Additionally, there is a need to consider flexible design of lane widths by various conditions.

도시부가로 이단 횡단보도 교통섬 설치 준거에 관한 연구 - 보행자 안전과 서비스수준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Installation warrants of staggered crosswalk traffic island on Urban Streets - Focusing on pedestrian safety and service level -)

  • 심관보;김중효;박경우;하동익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97-107
    • /
    • 2013
  • 단횡단보도는 보행자가 도로를 두 번에 나누어 횡단하게 하는 횡단보도로 이는 보행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주방향 녹색시간 비율을 증가시켜 신호주기감소 및 차량지체 감소에 효과적이다. 또한 보행자의 횡단거리 감소와 교통섬을 제공하는 기능으로 보행자의 안전 측면에서도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 기하구조와 보행자의 행동패턴들을 고려한 보행섬의 폭과 길이 등 단일로 상의 이단횡단보도의 설치 준거를 마련하고, 이단횡단보도와 기본형 횡단보도의 사고율을 비교 분석하여 보행자 교통안전 대책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이단횡단보도의 1억대 km당 사고율은 18.3으로 기본횡단보도 사고율 28.3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사고발생위치 및 유형분석을 통해 이단횡단보도의 위험지역이 횡단 시작 지점임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보행자 안전지대(여유공간)설치 준거를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이단횡단보도의 설치준거는 4차로이상 도로에 설치하며 설치시 보행섬의 폭은 유효 보도폭 2.0m 이상이 되도록 차로폭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보행섬의 최소길이는 횡단 보도폭의 2배 길이, 최대길이는 보행자 대기 시간을 고려하여 설치하는 것이 보행자 안전과 이용측면에서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