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fill stabilization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1초

불량매립지 폐기물의 고형화를 위한 기초적 연구 (A Basic Study of Solidification for the Waste in the illegal(Open) Bumping Landfill)

  • 이재영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5-81
    • /
    • 1998
  • 대부분의 고형화/안정화에 대한 연구는 작은 column(5cm $\times$ 10cm)을 사용하여 흡착 또는 침출(용출)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이러한 자은 기구의 실험은 현장 적용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장 적용성을 감안하여 큰 정방형(100cm$\times$100cm$\times$100cm)의 Lysimeter를 제작하여 불량폐기물을 벤토나이트와 직접 혼합하여 폐기물의 안정성 및 환경적인 면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 실험을 하였다. 실험 결과, 벤토나이트의 혼합비에 따라 중금속 농도는 미세한 변화를 보였다. 침출수의 중금속 및 오염물질농도는 벤토나이트의 혼합비에 따라 중금속 및 오염물질의 농도가 감소되었으며, 특히 오염물질 중 CODcr은 25~30% 제거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불량폐기물에 의한 잔여토사 발생은 전체부피의 약 80%(40$\times$40mm screen) 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 PDF

매립지 복토재로의 활용을 위한 하수슬러지 내 중금속의 고형화/안정화 (Solidification/Stabilization of Heavy Metals in Sewage Sludge Prior to Use as a Landfill Cover Material)

  • 박연진;신원식;최상준;이훈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665-67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하수슬러지를 매립지 복토재로 재활용하기 위해 래들슬래그, 시멘트, 인회석, 소석회를 첨가하여 하수 슬러지 내 중금속(Cd, Cu, Ni, Pb, Zn)의 용출을 평가하였다. 하수슬러지의 용출 평가는 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추출법과 TCLP (Toxicity Characteristic Leaching Procedure)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중금속 결합 기작은 연속추출(sequential extraction)을 통해 평가하였다. EDTA 용출 결과 하수슬러지에 래들슬래그/시멘트/소석회의 투입량이 증가할수록 하수슬러지 내 중금속의 용출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인회석을 투입했을 때는 중금속 용출의 감소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EDTA가 인회석에 의한 중금속 고정화를 방해하였기 때문이다. TCLP 용출 결과 하수슬러지 내 슬래그, 시멘트 또는 소석회의 투입량이 증가하여 용출액의 pH가 7 이상일 때는 Cu의 용출 농도가 원하수슬러지의 용출농도보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회석은 투입량이 증가할수록 중금속의 용출 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합 고화제를 투입한 하수슬러지의 중금속 용출 결과, 하수슬러지의 중량비 100%를 기준으로 래들슬래그 20%와 소석회 10%를 투입한 혼합물이 최적의 고화 혼합 비율이며, 이 때 EDTA 추출법과 TCLP로 용출한 중금속의 농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하수슬러지 내 중금속 결합이 약한 결합인 exchangeable fraction과 carbonate fraction에서 강한 결합인 organic fraction으로 이동하였음을 연속추출(SM&T, formaly BC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하수슬러지와 고화제를 최적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폐기물공정시험법으로 중금속 용출을 평가한 결과 Cu가 기준농도 이상으로 검출되었다. 그러나 TCLP에 따른 하수슬러지의 용출시험 결과 Ba, Cd, Cr, Pb의 항목에서 미국 환경보호청의 용출 기준을 만족하였다.

LFG(Landfill Gas) 혼합가스의 연소속도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Burning Velocity of LFG Mixing Gas)

  • 정익산;오창보;이창언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1999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1-180
    • /
    • 1999
  • In this study, the burning velocity of LFG and LFG mixing fuels related with flame stabilization have been analyzed numerically using C3 reaction mechanism which consists of 92 species and 621 reaction for using LFG. The results show that the burning velocities of LFG and LFG mixing fuels are obtained as a function of CH$_4$ and LFG percent in stoichiometric conditions. Also, a correlation of the burning velocities LFG and LFG mixing fuels are obtained over a wide range of equivalence ratio. The comparison of burning velocity from correlation with that calculated numerically show good agreements. From these results, the proposed burning velocity correlations for LFG and LFG mixing fuels can be applied for the practice of LFG.

  • PDF

정량 PCR을 이용한 비위생 매립지의 특정 세균 및 효소 유전자와 수질인자와의 상관관계 평가 (Comparative Assessment of Specific Genes of Bacteria and Enzyme over Water Quality Parameters by Quantitative PCR in Uncontrolled Landfill)

  • 한지선;성은혜;박헌주;김창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895-903
    • /
    • 2007
  • 매립지를 직접 생태학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매립지 내의 생화학적 반응에 관여하는 세균들과 효소의 양을 정량함과 동시에 지하수 수질인자와 상호 연관성을 조사하여 생태학적 인자와의 연계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4개의 매립 종료된 비위생 매립지(천안(C), 원주(W), 논산(N), 평택(P) 매립지)에서 계절별로 지하수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동시에 16S rDNA 방법을 사용하여 미생물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매립지에서 주로 발견되는 세균과 효소를 대표하는 유전자를 정량하기 위한 특이 프라이머 쌍을 제작하였으며 상관계수에 기초하여 수질인자와 유전자 지표 인자간의 정량적 관련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DSR(황환원 세균) gene과 BOD(생화학적 산소요구량)사이의 상관관계는 0.8 이상인데 반해 NSR(질산화 세균-Nitrospira sp.) gene과 질산성 질소는 0.9 이상이었다. 안정화지표(BOD/COD)와 MTOT(메탄 산화 세균), MCR(Methyl coenzyme M reductase), Dde(Dechloromonas denitrificans) gene들은 0.8 이상의 상관관계를 가졌으나 3가 철과 Fli(Ferribacterium limineticm) gene은 0.7로 낮았다. MTOT gene의 경우, BOD/COD과의 관련성이 100%에 가깝게 높았다. 또한, 혐기성 유전자들(nirS-아질산 환훤효소, MCR, Dde, DSR)과 DO 역시 0.8 이상으로 나타나 일반적인 매립지 혐기성 반응들이 DO에 크게 의존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분자생물학적 조사와 수질인자가 높은 상호연관성이 있었으며 real-time PCR이 전통적인 모니터링 인자들과 동시에 상호 보완적으로 모니터링에 사용됨으로써 매립지안정화 및 주변 영향을 평가하는데 효율적으로 사용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omparison of Solid Waste Stabilization and Methane Emission from Anaerobic and Semi-Aerobic Landfills Operated in Tropical Condition

  • Sutthasil, Noppharit;Chiemchaisri, Chart;Chiemchaisri, Wilai;Wangyao, Komsilp;Towprayoon, Sirintornthep;Endo, Kazuto;Yamada, Masato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261-268
    • /
    • 2014
  • Leachate quality and methane emission from pilot-scale lysimeters operated under semi-aerobic and anaerobic conditions were monitored for 650 days. Two semi-aerobic lysimeters were filled with un-compacted and compacted municipal solid wastes whereas two anaerobic lysimeters containing compacted wastes were operated with leachate storage at 50% and 100% of waste height, respectively. Despite having high moisture in wastes and operating under tropical rainfall events, leachate stabilization in semi-aerobic lysimeters took place much faster resulting in BOD reduction by 90% within 60 days, significantly shorter than 180-210 days observed in anaerobic lysimeters. Nitrogen concentration in leachate from semi-aerobic lysimeter could be reduced by 90%. In term of gas emission, semi-aerobic lysimeter with un-compacted wastes had much lower methane emission rate of $2.8g/m^2/day$ compare to anaerobic lysimeters ($62.6g/m^2/day$) through seasonal fluctuation was observed. Nevertheless, semi-aerobic lysimeter with waste compaction has similar performance to anaerobic lysimeter.

벤토나이트 첨가시 불량폐기물매립지의 침출수에 미치는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for the Leachate of Open(Illegal) Dumping Waste Landfill Mixing with Bentonite)

  • 이재영;노회정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5-83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불량 매립된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침출수의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는데 있다. 불법 투기된 쓰레기를 각각의 모형 매립조 속에 벤토나이트를 중량비로 0. 5. 10. 15%씩 혼합한 뒤 침출수의 CODcr, ${NO_3}^-$, ${SO_4}^{2-}$, $Cl^-$, 중금속을 모니터링 하였다. 그 결과, 모든 Lysimer에서 CODcr 농도 감소가 보여졌으며, 중금속은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벤토나이트 혼합율의 증가에 따라 ${NO_3}^-$, ${SO_4}^{2-}$, $Cl^-$, 의 제거율이 증가하였다.

  • PDF

CHARACTERIZATION AND STABILIZATION OF WASTE DUSTS FROM SHREDDED AUTOMOBILES INDUSTRIES

  • Takashi, Furuyama;Abel, Bissombolo;Sukeyuki, Mori;Masamichi, Hata;Yoshitsugu, Koga;Tetsuo, Ikejiri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The 6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East Asian Resources Recycling Technology
    • /
    • pp.699-704
    • /
    • 2001
  • Until recently, disposal to landfill has been the most convenient way to deal with the increasing amount of residues the shredding industries produce. But the shortage of such disposal sites and the risk that liquid drained from these waste dusts may pollute ground water have increased the environmental pressures to find more effective solutions. The present study is an alternative approach that suggests identifying waste dusts characteristics and selecting an appropriate binder for hazardous materials to reduce the amount of contaminants (mainly lead) that were leaking into the soil. Investigat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automobiles waste dusts show that these materials are composed mainly of cottons and sponge like substances, plastics, rubber, glasses and gravel, metals, and electric wires. Besides, the percentage in weight of organic (inflammable) materials is about 70% and the lead contamination, which has not a ionic but a particulate nature, is particularly remarkable in cottons and sponge like materials. Binding additives such as K-20 and sodium carbonate were not effective but the addition of 5 % of cement (in weight of the investigated sample) followed by a 3-minute stirring and a 4-hour storage could drastically reduce the run off of lead below the maximum authorized level. No addition of water was necessary in this method.

  • PDF

고형화 폐기물의 안정적 처분과 재활용을 위한 환경위해성 평가 체계의 연구 (Risk Assessment Framework for Safe Disposal and Reuse of Solidified/Stabilized Wastes)

  • 박주양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15-22
    • /
    • 2001
  • 고형화 폐기물의 처분에 대한 환경 위해성 평가의 핵심은 화학적 용출특성을 파악 후, 현장의 환경조건하에서 유해물질이 얼마나 주변환경으로 유출되는가를 예측하여 그 위해도를 산정하고, 그 위해도가 환경적으로 허용가능한 지를 판단하는 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형화폐기물을 매립지에 처분하거나 재활용시 다양한 현장조건하에서의 환경위해성을 평가하는 체계를 용출의 두 가지 극한적 경우에 입각하여 수립하였다. 수립된 위해성평가체계의 각 경우에 따른 폐기물 특성변수를 결정할 수 있는 두 종류의 특성평가기법을 개발하고, 시멘트 고화 처리된 도시쓰레기 소각재의 매립처분 현장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 PDF

생활폐기물의 호기성처리를 통한 유기물 분해안정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garadation stabilization of organic material through aerobic treatment before landfill of domestic waste)

  • 이현희;배재근
    • 유기물자원화
    • /
    • 제11권4호
    • /
    • pp.79-89
    • /
    • 2003
  • 본 연구는 생활폐기물을 호기성분해 개념에서 유기물을 분해 안정화시킬 때 적정한 환경인자들을 도출, 검토하기 위해서 가정에서 배출되는 일반생활폐기물을 각각의 비율에 따라 섞은 후 함수율을 55%, 60%로 조절하여 분해 안정화정도를 평가하였다. VS량의 변화는 6번 반응기를 제외하고는 모든 반응기에서 초기에 투입된 음식물량이 모두 분해가 된 것으로 판단되었고, 1, 2, 3, 4번 반응기는 비슷한 분해정도를 보여 비닐/플라스틱의 첨가가 통기개량제로서의 역할을 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반응기별 온도는 모든 반응기의 최고 온도가 약 $57{\sim}59^{\circ}C$정도로 측정되었고, VS량의 변화와 비슷하게 1, 2, 3, 4번 반응기가 최고온도에서 지속기간이 5, 6번 반응기보다는 약 2~4일정도 더 지속되어 분해반응이 더 잘 일어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CO_2$ 발생량도 온도 변화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함수율 변화는 미생물의 산화열로 증발된 수분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은 관계로 수분 감소율은 모든 반응기에서 낮게 측정되었다. pH는 음식물쓰레기로 인하여 초기에는 약산성이었으나,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pH가 상승하여 일반적인 경향과 비슷하게 측정되었다. 전기전도도와 C/N비는 전체적으로 소폭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침하량과 무게감소율도 위의 다른 인자들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즉, 1, 3번 반응기와 2, 4번 반응기가 더 큰 침하율과 무게감소율을 보였다.

  • PDF

벌크의 산소농도가 폐기물(廢棄物)의 질산화(窒酸化) 및 탈질(脫窒)에 미치는 영향 -Tracer 로서의 15N 동위원소(同位元素) 및 FISH법(法)을 이용한 아산화질소발생원(亞酸化窒素發生源)의 규명(糾明)- (Effects of oxygen in the bulk of refuses on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Study on sources of released nitrous oxide using 15N-isotope as a tracer and FISH method-)

  • 황선진;하나키 케이스케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2-61
    • /
    • 1998
  •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are important processes in the landfill site as they are deeply related with degradation and stabilization of refuse. Also nitrous oxide ($N_2O$) which is released from both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is known as greenhouse gas (GH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process by which $N_2O$ produced using $^{15}N$ isotope. Nitrate which was labeled to 10.08% with $^{15}KNO_3$ was used and $N_2O$ was analyzed with GC mass. Results was that even also when $O_2$ of bulk was 15%, $N_2O$ was released from denitrification. And as concentrations of $O_2$ increase, sum of $N_2O$ was released from denitrification. And as concentrations of $O_2$ increase, sum of $N_2O$ and $N_2$ was decreased and ratios of $N_2O$ in the reduced gases were increased. FISH technics also adaped to confirm whether which of nitrifiers existed in the substrates. When NEU was used of which the target was ammonia oxidizing bacteria, nitrifier was not detected at all. So it was confirmed that during the reaction denitrification was dominant process. Total bacteria distributions which were detected by EUB probe explained that as $O_2$ increase the number of bacteria also increase, but between the 10-15% of $O_2$ there was no any differen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