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fill gas and leachate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2초

매립가스 발생량 및 폐기물 안정화 촉진을 위한 메탄생성균 활성 침출수 재순환 공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thanogenic Bacteria-Activated Leachate Recirculation Method for Enhancing Waste Stabilization and Landfill Gas Production from a Solid waste Landfill)

  • 박진규;강정희;정용길;이남훈
    • 유기물자원화
    • /
    • 제20권2호
    • /
    • pp.66-7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매립지에서 매립가스 및 폐기물 안정화 촉진을 위한 메탄생성균 활성 침출수 재순환 공법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기존 매립공법(Lys-A), 침출수 재순환 공법(Lys-B), ASBR 전처리 후 침출수 재순환 공법(Lys-C, Lys-D)을 묘사하기 위해 4개의 모의매립조를 만들어 4년 이상 운영하였다. Lys-D는 전처리된 침출수의 재순환 양을 Lys-C의 2배로 하였다. 침출수 재순환 공법과 ASBR 전처리 후 침출수 재순환 공법의 경우 600일까지 메탄발생량이 증가하였으나 600일 이후에는 침출수 재순환이 메탄발생량 증가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분해 가능한 유기물질이 부족할 경우 침출수의 재순환 효과가 없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Lys-C와 Lys-D는 폐기물의 안정화촉진 뿐만 아니라 누적메탄수율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누적메탄수율의 경우 Lys-C(35.51 mL $CH_4/g$ VS)와 Lys-D(36.12 mL $CH_4/g$ VS)는 Lys-A(28.37 mL $CH_4/g$ VS)와 Lys-B(30.07 mL $CH_4/g$ VS)보나 높게 나타났다. 침출수 재순환율이 동일한 Lys-B와 Lys-C의 경우 Lys-C의 COD 농도가 Lys-B보다 더욱 빠르게 감소하였다. 이는 메탄생성균 활성 침출수에 의해 저해물질의 희석뿐만 아니라 메탄생성균의 존재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ASBR 전처리 후 침출수 재순환 공법은 폐기물 안정화 및 매립가스 증대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Applying methane and carbon flow balances for determination of first-order landfill gas model parameters

  • Park, Jin-Kyu;Chong, Yong-Gil;Tameda, Kazuo;Lee, Nam-Hoo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5권3호
    • /
    • pp.374-383
    • /
    • 2020
  • Landfill gas (LFG) emissions from a given amount of landfill waste depend on the carbon flows in the wast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more accurately estimate the first-order decay parameters through methane (CH4) and carbon flow balances based on the analysis of a full-scale landfill with long-term data and detailed field records on LFG and leachate. The carbon storage factor for the case-study landfill was 0.055 g-degradable organic carbon (DOC) stored per g-wet waste and the amounts of DOC lost with the leachate were less than 1.3%. The appropriate CH4 generation rate constant (k) for bulk waste was 0.24 y-1. The the CH4 generation potential (L0) values ranged 33.7-46.7 m3-CH4 Mg-1, based on the fraction of DOC that can decompose (DOCf) value of 0.40. Results show that CH4 and carbon flow balance methods can be used to estimate model parameters appropriately and to predict long-term carbon emissions from landfills.

대청호 상류유역 매립지의 침출수 분석 및 평가 (Assessment of Leachate from Solid Waste Landfills in Daechong Lake Upper Drainage Basin)

  • 홍상표
    • 환경영향평가
    • /
    • 제12권3호
    • /
    • pp.161-170
    • /
    • 2003
  •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17 solid waste landfills in the upper drainage basin of Lake Daechong, the landfill sites were surveyed, the leachate of these landfills were analyzed,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assessed from standpoint of water contamination. Sanitary landfills which are now being operated are relatively well equipped with facilities such as leachate collection, daily soil cover and landfill gas treatment devices. But a few of open-dumping landfills were leaking leachate apparently and were supervised improperly and neglectfully by local governments. Some of sanitary landfills exceeded the COD permission criteria of leachate effluent, and some of open-dumping landfills exceeded SS, T-P, Pb, As, Fe, Mn permission criteria of leachate effluent.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Lake Daechong which is utilized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agricultural water, and industrial water to the great part of Chungchong area, the adequate and prompt measures for preventing Daechong Lake water contamination from landfills leachate is necessary.

도시폐기물 매립지의 LFG 특성이 침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nicipal LFG Characteristics on Settlement)

  • 안태봉;진한규;박대효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461-468
    • /
    • 2004
  • The amount of $CO_2$ and $CH_4$ that were produced during biodegradation with were measured as function of time. Also, the settlements of landfill lysimeters were measured at the same time, and the relation with LFF(landfill gas) production wa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eachate recycle on the acceleration of settlement were studied by comparing two lysimeters. The gas production rate constant, $^{\kappa}_{LFG}$ is obtained to predict future gas production and settlement. These will be key role factors to predict gas production patterns and residual long-term settlement.

  • PDF

침출수 재순환에 따른 매립가스 변화특성 연구 (Effect of Leachate Recirculation LFG Generation Characteristics)

  • 원승현;박대원
    • 유기물자원화
    • /
    • 제26권2호
    • /
    • pp.19-32
    • /
    • 2018
  • 본 연구는 침출수 재순환에 의한 매립가스에 대한 메탄가스 농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실험대상 매립장 지역의 2010~2016년간 월평균 총강수량은 130.9mm, 2017년 6월 총강수량 73.7mm 이었다. 이러한 기상청 자료를 근거로 실험대상 매립장의 수분함수율은 낮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실험대상 매립장에 10개의 포집공을 선정하여 5톤의 침출수를 나누어서 투입하면서 매립가스 변화특성을 조사하였다. 침출수 투입하기 전 10개의 메탄가스 농도(평균) 투입전 30.14%, 투입후 메탄가스 농도(평균) 24.66%(6월 21일), 31.51%(6월 24일), 36.68%(7월 1일), 52.47%(7월 25일)로 메탄가스 농도가 증가하였다. 본 실험대상 매립장의 경우 5톤의 침출수를 투입한 결과 매립지의 유기물질 분해에 필요한 최적 함수율 50~65% 범위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생활폐기물 매립장내 토양가스 분포와 지하수수질 특성

  • 고경석;조춘희;김통권;김탁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377-380
    • /
    • 2004
  • To identify the effect of landfill waste for groundwater and unsaturated air environment, soil gas survey and hydrogeochemical study were executed. The geology of the study area is granite and aquifer is mainly composed of sandy soil. The results of spatial distribution from soil gas showed the boundary of buried waste and processes and degree of waste decomposition. Groundwater contamination by leachate from landfill is controlled by groundwater flow attributed by the original topography and liner.

  • PDF

사용종료매립지 정비방법 및 정비사례 분석 (Rehabilitation Method and Case of Closed Waste Landfill)

  • 정하익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1년도 지반환경 및 준설매립에관한 학술세미나
    • /
    • pp.85-95
    • /
    • 2001
  • There has been a steady increase in closed waste landfill. Sanitary and contamination prevention systems such as liner system, leachate treatment, gas treatment system were not installed in unregulated waste landfill.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troduce the rehabilitation method and case of unregulated closed landfill.

  • PDF

침출수 및 철킬레이트를 이용한 실규모 매립가스 내 황화수소 제거 (Hydrogen Sulfide Removal in Full-scale Landfill Gas Using Leachate and Chelated Iron)

  • 박종훈;김상현
    • 유기물자원화
    • /
    • 제27권2호
    • /
    • pp.51-56
    • /
    • 2019
  • 황화수소는 매립가스와 바이오가스 사용 전에 제거해야 하는 유해한 불순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기 산화를 활용한 황화수소 저감 방법을 연구하였다. C시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매립가스의 유량 조절이 가능한 실규모 황화수소 저감 장치를 운전하였다. 실험 결과, 세정액 내 용존 철 농도는 황화물 산화 효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매립지 발생 침출수 내 철 성분은 매립가스 내 황화수소 제거를 위한 용도로 철킬레이트와 혼용할 수 있었다. 철 농도가 90 mM 이상인 경우 9 초 이내의 접촉 시간에서 83 % 이상의 $H_2S$가 제거되었다. 따라서 촉매 산화 흡착법은 매립가스 및 바이오가스 정제를 위한 용도로서 충분히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매립장의 생분해로 인한 가스발생이 장기 침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s Generation due to Biodegradation on Long-term Landfill Settlement)

  • 안태봉;진한규;한운우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5-13
    • /
    • 2005
  • 매립장의 침하메카니즘은 매우 복잡하여 전통적인 토질역학적 방법으로만 해결하는 것은 적절한 방법으로 판단되지 않는다. 매립장은 다량의 유기물질이나 유기질토로 이루어졌기에 분해에 의한 침하방법도 고려하여야한다. 매립장의 유기물질 분해는 혐기성상태에서 분해가 이루어지는데 분해시 발생 가스는 이산화탄소($CO_2$)와 메탄($CH_4$)등의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매립장에서의 유기물질의 분해는 침하와 관계를 가지며 분해는 가스를 생성하므로 발생가스량에 따른 침하예측모델을 제안할 수 있었다. 또한 매립장의 조기안정화 방법으로 사용하는 침출수 재순환법을 적용하여 침출수를 재순환 한 매립조와 재순환을 하지 않은 매립조를 제작하여 가스발생과 침하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제안한 가스모델을 침출수가 재순환하지 않은 매립조와 재순환한 매립조에 적용할 때는 각각 보정계수 1.4, 1.7이 필요하며 재순환 매립조의 침하촉진효과는 2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폐기물매립지의 사후관리종료 평가를 위한 안정화 지수 산정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Stability Index for Defining the End of the Post-closure Monitoring Period for MSW Landfill)

  • 이남훈;한정현
    • 유기물자원화
    • /
    • 제14권2호
    • /
    • pp.63-7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매립지의 안정화 정도를 용이하게 평가하기 위하여 매립폐기물의 분해정도를 수치화 할 수 있는 매립지의 안정화 지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안정화 지수를 개발하기 위하여 50개소의 사용종료 매립지를 대상으로 침출수 수질, 매립가스 조성, 매립폐기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자료를 수집하여 이들의 매립연령별 환경특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들 환경지표중 폐기물매립지의 안정화와 상관도가 높은세부 환경지표로서 침출수의 BOD/CODcr, 발생가스중의 $CH_4$농도, 매립폐기물의 C/N가 안정화 지표로 선정하였다. 각 지표에 대한 매립연령별 추세선을 이용하여 지수화한 결과 매립지 안정화 지수로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었다. $$I_{LS}=S_L+S_G+S_W$$ $$S_L=-\{4.892+16.587{\cdot}ln[BOD/COD_{Cr]\}$$ $$S_G=53.872-12.782{\cdot}ln[CH_4]$$ $$S_W=79.382-20.013{\cdot}ln[C/N]$$ (단, $S_L$, $S_G$, and $S_W$는 각각 33.3점이 최대값이다.) 여기서, $I_{LS}$ : 매립지 안정화 지수 $S_L$ : 침출수의 안정화 점수 $S_G$ : 매립가스의 안정화 점수 $S_W$ : 폐기물의 안정화 점수.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