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use conversion index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3초

Estimating the Soil Volume Conversion Factor of Weathered Ground with Consideration of Field Situations

  • Jin, Kyu-Nam;Cho, Gye-Chun;Lee, Jung-Min;Ryu, Hee-Hwan;Park, Sung-Wook
    • 토지주택연구
    • /
    • 제2권2호
    • /
    • pp.145-155
    • /
    • 2011
  • It is very important for successful construction to estimate the soil volume conversion factor of domestic weathered ground accurately and reasonably.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quantify the weathering degree of weathered ground at the field, so that the soil volume conversion factor used in Korea is often dependent upon the standard of foreign countries. Besides, the soil volume conversion factor of domestic weathered ground has been rarely studied and the use and accuracy of the soil volume conversion factor have been questioned persistingly. This study suggests a simple but robust method for estimating the soil volume conversion factor and measuring the weathering degree reasonably, and attempts to establish the utilization of a soil volume conversion factor measurement system based on experimental and analytical results. We made relationship between electrical resistivity and weathering degree presented from weathering index obtained through laboratory tests using field samples, and an estimation method of in-situ weathering degree for granites and a calculation method of soil volume conversion factor using electrical resistivity. And also, we suggested the photogrametry measurement-equipment system for measuring the volume of cargo box and the application plan of stand equipment and RFID for calculating the earth volume and distinguishing buggies in order to design the measurement system for soil volume conversion factor applicable to the field. Ultimately, the Weathered Earth-work Management Program (WEMP) was developed, so field managers may easily obtain the information about earth volume and soil volume conversion factor at the weathered ground.

RS/GIS를 이용한 토지이용변화에 의한 녹지의 이산화탄소 (CO2) 흡착량 분포 추정 (Estimation of Carbon Absorption Distribution by Land Use Changes using RS/GIS Method in Green Land)

  • 나상일;박종화;박진기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2권3호
    • /
    • pp.39-45
    • /
    • 2010
  • Quantification of carbon absorption and understanding the human induced land use changes (LUC) forms one of the major study with respect to global climatic changes. An attempt study has been made to quantify the carbon absorption by LUC through remote sensing technology. The Landsat imagery four time periods was classified with the hybrid classification method in order to quantify carbon absorption by LUC. Thereafter, for estimating the amount of carbon absorption, the stand biomass of forest was estimated with the total weight, which was the sum of individual tree weight. Individual tree volumes could be estimated with the crown width extracted from digital forest cover type map. In particular, the carbon conversion index and the ratio of the $CO_2$ molecular weight to the C atomic weight, reported in the IPCC guideline, was used to convert the stand biomass into the amount of carbon absorption. Total carbon absorption has been modeled by taking areal estimates of LUC of four time periods and carbon factors for land use type and standing biomass.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LUC suggests that over a period of construction, 7.10 % of forest and 9.43 % of barren were converted into urban. In the conversion process, there has been a loss of 6.66 t/ha/y (7.94 %) of carbon absorption from the study area.

도시지역에서의 녹지상실의 환경적 경제적 효과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Effects of Green Area Loss on Urban Areas)

  • 김재익;여창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0-29
    • /
    • 2006
  • 토지이용의 전환에 따른 기후의 변화와 토지가격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은 도시민의 후생수준과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나 도시특성에 관한 정보가 부족하여 활발하게 연구되지 못하였다. 이제 원격탐사를 통한 위성영상의 구득이 쉬워졌고 또 통계청이 기초단위구 자료를 구축함에 따라 이 분야의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도시지역의 비도시용 토지가 도시적 용도로 전환됨에 따라 표면온도와 토지가격의 측면에서 어떠한 변화를 유발하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녹지 및 농경지로 사용되던 토지가 공업용토지로 전환된 경우 가장 큰 표면온도의 상승을 초래하였고 상업용지와 단독주택지가 그 뒤를 이었다. 식생지수의 변화도 표면온도의 변화와 비슷한 변화를 보였다. 토지가격의 전환측면에서는 상업용토지로 전환될 경우 가장 큰 가격상승을 초래하였고 그 뒤를 이어 주거지 공업용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도시지역의 토지이용의 전환은 표면온도를 상승시킬 뿐 아니라 토지가격도 상승시켜 사회적 부담을 주지만 그 혜택은 사회구성원 중 극히 일부에 한정되는 문제가 있다. 도시정책과 관련된 정책결정권자 및 계획가는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도시성장관리 정책의 확립 등 보다 효과적인 정책수단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산지전용타당성조사제도에서 산림파편화지수의 고려방안 연구 (Feasibility of Forest Land Conversion to Other Use by Considering Forest Fragmentation)

  • 김민아;최재용;이상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3-6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mpacts of the forest fragmentation caused by development project. Furthermore,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landscape indicator when 'Feasibility of forest land conversion to other use' is conducted. The study site was consisted of golf course development and road construction. It is to compare before and after impacts of areal and linear development. As for the methods, selecting landscape indices, clustered into 3 Categories have been utilized. Category I was concerned with 'size of forest patches', II as 'shape of forest patches', and III as 'Core Area' These were calculated by FRAGSTATS, the program for analyzing fragment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linear development caused more fragmented than areal development projects. Also, patch size, patch shape and core area are related to impacts of development, while Patch size decreased, patch shape and core area increased after develop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impacts of forest by considering fragmentation when development project is planned.

경기도 접경지역 환경부하의 공간적 특성 분석 (Spatial Pattern of Environmental loadings on Border Region of Gyeonggi Province)

  • 류호상;김상빈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7-170
    • /
    • 2004
  • 경기도 접경지역은 저개발로 인해 청정한 환경을 유지해 왔으나 개발압력과 주민들의 개발 욕구로 인해 환경훼손에 취약한 지역이다. 이 논문은 경기 접경지역의 토지이용 변화패턴과 지역정서, 환경관리 기반시설의 현황을 분석하여 이 지역이 직면한 환경부하의 실태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김포, 파주, 동두천, 양주 등 서울과 근접한 서남부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개발 압력이 높아지고 있으며, 토지규제 기반의 생태서식지 보전정책에 대한 저항 정서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오염배출 시설의 입지가 서부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높아지고 있으나 수질$.$폐기물 관련 환경관리 기반시설이 미비하여 환경훼손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접경지역의 환경부하에 대한 체계적인 대책이 요청된다.

  • PDF

MODIS 다중시기 영상을 이용한 북한 다락밭 분류 (Terrace Fields Classification in North Korea Using MODIS Multi-temporal Image Data)

  • 정승규;박종훈;박종화;이동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3-83
    • /
    • 2016
  • Forest degradation reduces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forest and could lead to change in composition of species. In North Korea, there has been significant forest degradation due to conversion of forest into terrace fields for food production and cut-down of forest for fuel woods. This study analyzed the phenological changes in North Korea, in terms of vegetation and moisture in soil and vegetation, from March to Octorber 2013, using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images and indexes including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SI (Normalized Difference Soil Index), and NDWI (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In addition, marginal farmland was derived using elevation data. Lastly, degraded terrace fields of 16 degree was analyzed using NDVI, NDSI, and NDWI indexes, and marginal farmland characteristics with slope variable. The accuracy value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which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the observation and analyzed value, was 84.9% and Kappa value was 0.82. The highest accuracy value was from agricultural (paddy, field) and forest area. Terrace fields were easily identified using slope data form agricultural field. Use of NDVI, NDSI, and NDWI is more effective in distinguishing deforested terrace field from agricultural area. NDVI only shows vegetation difference whereas NDSI classifies soil moisture values and NDWI classifies abandoned agricultural fields based on moisture values. The method used in this study allowed more effective identification of deforested terrace fields, which visually illustrates forest degradation problem in North Korea.

Land Cover Change and Urban Greenery Prediction in Jabotabek by using Remote Sensing

  • Zain, Alinda-Medrial;Takeuchi, Kazuhiko;Tsunekawa, Atsush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 /
    • 제1호
    • /
    • pp.59-66
    • /
    • 2001
  • The tremendous growth of population and physical development in the largest urban agglomeration in Indonesia -the Jakarta Metropolitan Region, also known as Jabotabek (Jakarta, Bogor, Tanggerang, Bekasi)- has created many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land use conversion, increasing urban temperature, water and air pollution, intrusion of seawater, and flooding. These problems have become more serious as the urban green space (trees, shrubs, and groundcovers) has decreased rapidly with the urbanization process. Urban green space directly benefits the urban environment through ameliorating air pollution, controlling temperature, contributing to the balance of the hydrological system, and providing space for recreation and relaxation. Because there is little hard data to support the claim of decreasing greenery in Jabotabek,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amount of urban green space. The paper describes the spatial analysis of urban green space within Jabotabek through the use of a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We used GIS and remote sensing to determine land cover change and predicted greenery percentage. Interpretation of Landsat data for 1972, 1983, 1990, and 1997 showed that Jabotabek has experiences rapid development and associated depletion of green open space. The proportion of green open space fell by 23% from 1972 to 1997. We found a low percentage of urban green space in the center of Jakarta but a high percentage in fringe area. The amount of greenery is predicted by the Ratio Vegetation Index (RVI) model: predicted greenery (%) = [146.04] RVI - 134.96. We consider that our result will be useful for landscape planning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Jabotabek.

  • PDF

FRAGSTATS 모형을 이용한 도암댐 유역의 산림 파편화 분석 (Landscape Analysis of the Forest Fragmentations at Doam-Dam Watershed using the FRAGSTATS Model)

  • 허성구;김기성;안재훈;윤정숙;임경재;최중대;신용철;유창원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21
    • /
    • 2007
  •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도암댐 유역은 인간의 개발행위에 따른 산림지역 파편화로 인해 산림지역의 상당부분이 농업/도시 지역으로 변화되어 왔다. 이러한 토지이용변화로 인해 하류 수역에서는 많은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토지이용변화가 도암댐 유역내 경관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인 분석 툴을 이용하여 수계단위로 분석한 예는 그리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림의 파편화가 경관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경관분석 프로그램인 FRAGSTATS를 이용하였다. 복잡한 계산식으로 구성된 경관지수를 자동으로 산출해주는 FRAGSTATS 프로그램은 경관분석에 많이 이용해 왔으나, 각 경관지수별 설명이 충분하지 않아 FRAGSTATS를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여 정량적 경관분석을 수행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관 파편화가 발생하기 전과 후의 가상적이면서 단순화된 경관을 구성하여 경관지수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기술된 경관지수를 이용하여 도암댐 유역내에서 산림 파편화가 경관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총 19개 소유역중 S1 유역이 1985년부터 2000년까지 가장 많은 산림 파편화가 진행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산림지역의 파편화, 이에 따른 토지이용변화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수계단위로 평가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되며, FRAGSTATS과 같은 경관분석 프로그램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환경친화적 토지이용계획 을 수립하는데 매우 유용하리라 판단된다.

  • PDF

실거래가를 이용한 서울시 오피스텔 가격지수 산정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Officetel Price Index in Seoul Based on Transaction Data)

  • 류강민;송기욱
    • 토지주택연구
    • /
    • 제12권2호
    • /
    • pp.33-45
    • /
    • 2021
  • 최근 정부 정책의 변화와 맞물려 오피스텔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사무실과 아파트 가격이 급등하면서 새로운 대체 투자 대안이 되고 있다. 그러나 오피스텔의 선행연구 부재와 더불어 지표를 공표하는 민관기관 역시 표본샘플 부족으로 정확도 저하의 한계를 지녔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시세에 기반한 가격지수를 활용하는데, 시장보다 후행하고 변동성이 적어 평활화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토교통부가 최초 공개한 시점부터 지난해까지 실거래가 이루어진 매매(2006~2020), 전·월세(2011~2020) 데이터 자료를 이용하여 서울시 오피스텔 가격지수를 산출하는 것이다. 이를 규명하기 위한 실증방법론으로 반복매매모형을 채택하여 주요 지표인 매매, 전세, 월세지수를 각각 산정하고, 그 외에 보조지표에 해당하는 전월세전환율도 개선된 형태로 함께 개발하였다. 수집된 자료결과 및 통계해석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한 지원도구는 SAS 9.4로 일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2020년말 서울시 오피스텔 매매지수는 132.5P, 전세지수는 163.9P(2011.1Q=100.0P)이며, 월세는 원점인 100.0P선에서 밑돌았다. 오피스텔의 지수 유형별 월세가 공실 위험으로 비교적 보합세를 유지한 가운데, 수요가 풍부한 매매가와 전세금 상승세가 지속되는 차이를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주택유형별 매매가 증가폭은 오피스텔이 아파트, 연립다세대 등 다른 주택유형보다 낮은 자산으로 드러났다. 모형의 설명력은 표준오차 평균이 0.02 이하로 적합도가 뛰어난 것으로 판명되었다. 셋째, 본 연구가 추정한 가격지수를 한국부동산원, KB국민은행 등 유사 발표기관의 지표와 상호 비교하면, 변이가 크게 나타나 고질적인 평활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코로나 19와 같이 경기 불확실성이 큰 상황 하에서, 서울시 오피스텔 실거래가 지수 산정 제시와 시험 모의적용을 새롭게 시도함으로써 향후 시장참가자들이 가격동향 및 변화를 예측하는데 유의미한 의의를 둘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