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minated wood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19초

초산비닐수지계 접착제를 사용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복합집성재의 강도 성능 평가 (Strength Properties of GFRP Reinforced Glulam Beams Bonded with Polyvinyl Acetate-Based Emulsion Adhesive)

  • 박준철;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4호
    • /
    • pp.19-25
    • /
    • 2008
  •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FRP :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보강 집성재를 제작한 후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의 체적비에 따른 휨강도 성능을 평가하였다. 집성재 제작에는 평균함수율 8%, 비중 0.54의 국산 낙엽송(Larix kaempferi Carr.) 제재판($2cm(h){\times}10cm(b){\times}360cm(l)$)을 7층으로 적층하여 집성재($10cm(b){\times}14cm(h){\times}180cm(l)$)를 제작하였다.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은 인장응력을 받는 하층의 최외각층과 윗층 사이에 두께 0.1 cm (체적비 0.7%)와 0.3 cm (체적비 2.1%)로 보강하였다.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을 체적비 0.7% 보강한 집성재의 경우 Control 집성재보다 휨강도가 12% 정도 증가하였으며 체적비 2.1%를 보강한 집성재의 경우 휨강도가 28% 정도 증가하였다. 또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보강층이 파단의 진행을 억제하였으며 파괴되지 않은 부분은 약 90%의 휨강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접착성능 평가 결과 블록 전단 강도는 KS F3021의 합격기준 $7.1N/mm^2$를 만족하였으며 침지박리시험과 삶음박리시험 결과 박리율 5% 이하로 접착성능도 양호하였다.

한지벽지 제조에 관한 연구(II) - 한지벽지 제조 및 특성 - (A Studies on Wallpaper Making Using Hanji(II) - Making and Properties of Hanji Wallpaper -)

  • 윤승락;조현진;박상범;김재경;김사익;김효주;이문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5권4호
    • /
    • pp.17-21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Korean paper(Hanji) and find out new uses of machine-made Hanji produced on a a large scale by paper machine. Six kinds of Hanji were made and laminated with backpaper by acryl-based or vinyl acetate ethylene-based adhesive. Six kinds of wallpapers were made such as WH 1, WH 2-1, WH 2-2, WH 3-1, WH 3-2 and WH 4. Physical properties and quality test on the wallpapers were examined. Physical strength of the wallpapers was better than each strength of the Hanji and backpaper. It might be a roll of adhesive. And so, Production cost of the Hanji could be brought down if the Hanji was made thin to get strength not enough to cut during lamination of two papers(Hanji and backpaper). Hanji wallpapers of WH 3-1 and WH 4 are lower than a standard in sunlight resistance and WH 1 is in properties of opacity. WH 2-1, WH 2-2 and WH 3-2 were better than Korean standard in some quality tests. WH 2-2 and WH 3-2 were superior to other wallpapers as a whole. About, twenty kinds of wallpapers with surface treatment, are now being produced on the basis of these two types of wallpapers.

  • PDF

이수종 구조용집성재의 전단접착력 및 접착내구성 평가 (Evaluation of Shear Bond Strength and Adhesive Bond Durability of Mixed Species Structural Glued Laminated Timber)

  • 심상로;여환명;심국보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1호통권129호
    • /
    • pp.87-9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국산재의 구조용집성재 라미나로의 이용을 위해 국산 소나무, 잣나무와 낙엽송 공시판재에 대하여 육안품질을 평가한 후, 레조르시놀수지와 수성고분자 이소시아네이트수지 접착제로 접착하여 제조한 단일수종 및 이수종 혼합 구조용집성재의 전단접착력과 접착내구성을 평가하였다. 국산재의 구조용집성재 라미나로의 이용을 위해 공시판재에 대한 육안품질등급 구분을 실시한 결과, 소나무, 잣나무 및 낙엽송의 육안품질 종합등급은 재내 잔존하는 크고 많은 옹이와 함께 큰 목리경사각으로 인해 낮은 등급의 판재 비율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좀더 높은 등급의 판재를 생산하기 위하여 가지치기 등의 육림작업과 할렬 및 비틀림 등의 결함을 줄이기 위한 제재 및 건조공정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레조르시놀 수지 접착제와 수성고분자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접착제로 제조된 단일수종 및 이수종 혼합 집성재의 전단강도는 $7.9{\sim}9.9N/mm^2$ ($80.9{\sim}101.3kgf/cm^2$) 범위 내에 있어 A수종군의 KS규격 전단강도인 $7.1N/mm^2$ ($72kgf/cm^2$)을 훨씬 상회하는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내어 사용된 두 접착제 모두 강도적인 문제는 발생치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레조르시놀 수지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단일수종 집성재와 이수종 혼합집성재의 침지 및 삶음박리시험 결과 모든 시험편이 KS 기준을 상회하여 접착내구성에도 역시 문제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수성고분자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접착제로 제조된 단일수종 및 이수종 혼합 집성재의 침지와 삶음 박리율은 매우 높아 이 접착제를 구조용집성재용 접착제로 사용할 경우는 집성재의 사용환경을 신중히 고려하여야 할 필요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국산 소나무, 잣나무 및 낙엽송 단일수종 구조용집성재와 이수종 혼합집성재 제조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 및 품질 향상에 사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곡목가구의 제작 프로세스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aking Process of Bentwood Furniture)

  • 한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140-149
    • /
    • 2004
  • The bentwood technique was introduced for the Windsor chair for the first time in the 18th Century. It was Michael Thonet who produced the bentwood chair in Austria around the 1870's, and it has changed the perception of architects and designers since then. The bentwood chair suggested a new and eccentric way of manufacturing furniture and the process of producing materials for it. Moreover, the method of furniture assembling, with screw nails, made a positive contribution not only to the convenience of transport and distribution of furniture to anywhere in the world, but also to the development of mass production of furniture for the multitudes. The bentwood technique of Michael Thonet was developed much further by Alvar Aalto, who inferred a soft curve from nature and developed the beauty of modern laminated bentwood by using birch, a plentiful resource of Finland. This study will help us to understand the functions and process of bentwood furniture, and help to develop technical skills for diverse furniture design. It will also confirm that diverse bentwood furniture design will be possible by applying materials, technical skills and the design process of bentwoo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concept of furniture design.

알바 알토와 아느 야콥슨의 의자 디자인 특성 비교연구 - 목재성형기법을 이용한 의자 디자인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air design of Alvar Aalto & Arne Jacobsen - Focusing on the bentwoods chair design -)

  • 한민정;김진우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1-102
    • /
    • 2003
  • Modern design background of Scandinavia counts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functionalism of Deustscher Werkbund and Bauhaus. However, Scandinavian has created their characteristic 'Scandinavian Modern Furniture' as an adaptation to their environment which are organic form based on their nature, affection of natural material, and handicraft tradition. Finish architect Alvar Aalto and Danish architect Arne Jacobsen rendered great contribution to worldwide reputation of Scandinavian furniture design. Both of them have hold tradition shared historically and culturally in common, brought the weighty traditional thoughts enable to develope their unique design. Especially they had continuous experiment of wood shaping and renovation of manufacturing technique so that they could made their chair design -the laminated bentwoods chair and moulded plywood chair- functionally comfortable. In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ir design of Alvar Aalto and Arne Jacobsen, focusing un their bentwoods chair. For this purpose, the background of bentwoods chair design was investigated and in the philosophical, formative, and technical aspect, their bentwoods chair design were compared and analyzed.

  • PDF

CLT 건축물의 외벽 및 지붕 구조체 레이어 구성 유형 분석 (Analysis of the Types of External Wall and Roof Structure Layer Composition of CLT Building)

  • 유동완;이태구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71-78
    • /
    • 2020
  • Today, the whole world is going through a big chaos due to the COVID-19, but paradoxically, the emergence of COVID-19 has been leading to the need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uch as Green New Deal that can improve global warming and carbon emissions, and the need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is growing bigger and bigger in the architectural field as well. The level of CLT buildings in Korea is at a very rudimentary stage, while CLT buildings remedying existing wooden buildings are getting the spotlight among European countries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ategorize structure layer compositions of overseas CLT buildings and analyze architectural techniques and materials appli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information about CLT structure layer compositions of overseas CLT building-related institutions, companies and cases. When classifying structure layer compositions of foreign CLT buildings depending on the roles of layers. it was revealed that exterior wall structure layers were combined and organized within a sequence of external finishing, ventilation, waterproof, board, external insulation, airtightness, structure, airtightness, interior insulation, interior finishing, sloped roof structure layers were external finishing, ventilation, waterproof, board, external insulation, airtightness, structure, airtightness, interior insulation, interior finishing, flat roof structure layers were external finishing, ventilation, waterproof, planking wood, external insulation, waterproof, external insulation, airtightness, structure, airtightness, interior insulation, interior finishing.

Ply-lam CLT의 합판 접합방식에 따른 휨 성능 평가 (Evaluation of Flexural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lywood Bonding Method of Ply-Lam CLT)

  • CHOI, Gyu Woong;YANG, Seung Min;LEE, Hyun Jae;KIM, Jun Ho;CHOI, Kwang Hyeon;KANG, Seog G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2호
    • /
    • pp.107-12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층재 수종과 길이방향의 합판 접합방식과 접합부의 접착제 도포 여부에 따른 휨 성능 및 파괴 양상 분석을 통하여 합판을 코어로 사용한 CLT에 적합한 합판의 접합 방식을 최적화 하고자 하였다. 더글라스 퍼 층재의 경우 길이방향 접합에 의해 휨탄성계수 약 11.5% 감소, 휨강도는 접착제 도포 및 접합방식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하였다. 접착제 미도포 butt joint, 접착제 도포 half lap joint, butt joint 조건이 최적조건으로 도출 되었다. 낙엽송 층재의 경우 길이방향 접합에 의해 휨강도는 약 15%, 휨탄성계수는 약 40% 감소하였으며 접합방식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half lab joint와 tongue & groove joint 사용 시 합판 층의 접합부에서 휨에 파괴를 1차적으로 방지해줌으로써 중층의 층재로 전달되는 하중을 감소시켜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Ply-lam CLT 제조과정에서 낙엽송 층재를 사용하는 경우 접합방법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더글라스퍼 층재를 사용할 경우 butt joint와 half lap 접합 방식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리기다소나무 단판적층재(單板積層材)의 제조조건(製造條件)에 따른 물리적성질(物理的性質) 및 도장성능(塗裝性能) (Suitable Conditions of Producing the LVL from Pitch Pine and its Paint Film Durability)

  • 박상범;공영토;조재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7권1호
    • /
    • pp.3-11
    • /
    • 1989
  • 리기다소나무 단판적층재(單板積層材)(LVL)의 가구용재(家具用材)로서의 적합성(適合成) 여부(與否)를 판단(判斷)하기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提供)하고자 요소 멜라민수지(樹脂)와 페놀수지접착제(樹脂接着劑)를 사용(使用)하여 단판적층재(單板積層材)를 제조(製造), 그 물리적(物理的), 기계적(機械的) 성질(性質), 접착내구성(接着耐久性) 및 제조성능(製造性能)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리기다소나무 LVL 제조(製造)를 위한 적정압체시간(適正壓締時間)은 단판(單板)두께 1mm당(當) 45초(秒) 이상이 요구(要求)되었다. 2. 휨강도(强度)는 소재(素材)에 비(比)해 낮았으나 압축강도(壓縮强度)는 비슷하였고 단판(單板)의 두께가 얇을수록 강도(强度)는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였다. 3. 충격(衝擊)휨흡수(吸收)에너지는 두께 2.5cm의 경우(境遇) 섬유직각방향(纖維直角方向)(상(上))이 $0.03kg{\cdot}m/cm^2$, 섬유방향(纖維方向)이 $0.24kg{\cdot}m/cm^2$으로 $0.68kg{\cdot}m/cm^2$인 소재(素材)에 비(比)해 매우 낮았다. 4. 열압체시간(熱壓締時間)을 45초(秒)/mm 이상(以上)으로 하면 침지박리(浸漬剝離) 및 한열반복시험시(寒熱反復試驗時), 접착층(接着層)의 박리(剝離), 표면할열(表面割裂), 부풀음, 변색(變色) 등(等)이 발생(發生)하지 않았다. 5. 진공침수시험(眞空侵水試驗)은 결과(結果), 섬유방향(纖維方向)으로서 수축율(收縮率)은 약(約) 1.0%, 섬유직각방향(纖維直角方向)(횡방향(橫方向))은 약(約) 3%였으며, 1~4개(個) 정도(程度)의 표면할제(表面割裂)이 관찰(觀察)되었다. 6. 온냉건고시험(溫冷乾燥試驗)에 의한 리기다소나무 LVL의 도막할열(塗膜割裂)은 전혀 관찰(觀察)되지 않았다. 7. 리기다소나무 LVL을 내장용(內粧用)으로 사용(使用)할 경우(境遇), 부착용화장단판(付着用化粧單板)으로서는 단판자체(單板自體)의 할열(割裂)이 적은 단판(單板)을 사용(使用)하여야 하며 부착용화장단판(付着用化粧單板)과 LVL의 표면(表面)이 서로 직교(直交)되도록 접착(接着)해야 표면할열(表面割裂)의 발생(發生)이 적고 표면부착성(表面付着性)이 향상(向上)되었다. 결론적(結論的)으로 리기다소나무 LVL은 접착성(接着性)은 매우 양호(良好)하였으며 휨강도(强度), 압축강도(壓縮强度) 및 충격(衝擊)휨흡수(吸收)에너지 등(等)은 가구재료(家具材料)로써 적정수준(適正水準)이었으나 단판자체(單板自體)의 옹이 및 할열(割裂)로 인(因)해 가구재료(家具材料)로 사용(使用)할 경우(境遇), 품질(品質)이 좋은 단판(單板) 즉, 화장단판(化粧單板) 등(等)으로 표면(表面)해양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내화처리(耐火處理) 파티클보오드의 COMPLY접착(接着)이 휨강도(強度)와 전단강도(剪斷強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Bonding on Bending and Shear Strength of COMPLY Composed of Fire Retardant Treated Particleboard)

  • 이필우;권진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4권1호
    • /
    • pp.26-32
    • /
    • 1984
  • 본(本) 연구(硏究)는 COMPLY의 core에 사용(使用)되는 파티클보오드를 내수처리(耐火處理)파티클보오드로 사용(使用)하였을 때 COMPLY의 강도적(強度的)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규명하고져 실시(實施)하였다. Ammonium sulfate의 경우 COMPLY의 MOR은 약액농도(藥液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약액농도(藥液濃度)가 10%까지는 증가(增加)하나 그 이후(以後)는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고 있으며 Minalith의 경우는 ammonium sulfate의 경우와는 반대경향(反對傾向)을 나타내고 있다. COMPLY의 MOE는 약액농도(藥液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고 있지만 약액농도간(藥液濃度間)에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는 나타내고 있지 않다. COMPLY의 전단강도(剪斷強度)는 약제(藥劑)의 처리농도증가(處理濃度增加)에 따라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고 있으나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는 없으며 ammonium sulfate보다는 Minalith가 더 양호(良好)한 결과(結果)를 나타내고 있다. COMPLY의 목피율(木破率)은 15%농도(濃度)까지는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이고 있으나 그 이후(以後)는 감소현상(減少現象)을 나타내고 있다. 평행(平行) 및 교호적층재(交互的層材)의 결과(結果)는 COMPLY 결과(結果)보다 대체로 좋은 결과(結果)를 나타내고 있으나 무처리(無處理)파티클보오드의 결과(結果)는 저조(低調)한 결과(結果)를 나타내고 있다. 약제처리(藥劑處理) COMPLY의 MOR, MOE는 무처리(無處理) 파티클보오드의 결과(結果)보다 136%, 170%로 각각(各各) 증가(增加)하였다. 따라서 내수처리(耐火處理)로 인(因)한 파티클보오드의 강도감소현상(強度減少現像)은 COMPLY를 제조(製造)함으로서 강도적(強度的) 특성(性質)을 개선(改善)시킬 수 있다.

  • PDF

집성재의 강도적 성질 예측에 대한 핑거 조인트와 라미나의 강도의 영향 (Effects of Finger Joint and Strength of Lamination on the Estimation of Strength Properties of Glulam)

  • 김광철;이전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8-17
    • /
    • 2000
  • 낙엽송을 이용하여 구조용 집성재를 제조하였다. 핑거 조인트나 라미나의 강도 등의 인자들이 집성재의 강도적 성질에 영향하는 바를 조사하였다. 집성재의 강도적 성질 예측을 위해 입력변수로 라미나의 MOE만을 사용하였을 때는 실측치와 예측치 사이의 차이가 라미나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커졌는데 이것은 라미나의 성질의 변이가 집성재의 강도에 영향하는 바가 라미나의 개수 증가에 따라 누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집성재의 MOR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좀더 신중한 접근법이 필요하였다. 입력변수의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라미나의 MOE와 MOR을 동시에 입력변수로 사용하였다. 핑거접합을 실시한 라미나가 인장측에 배치되었을 때 집성재의 MOE는 라미나의 MOE 값에 상당한 변이가 존재하고 옹이에 대한 자료가 충분치 않아서 약간의 영향을 받았다. 핑거 접합을 실시한 라미나가 인장측에 배치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인장측에 배치된 경우보다 더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핑거 접합과 옹이를 동시에 고려하였을 경우 좀 더 정확한 집성재의 강도적 성질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