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ic acid concentration

검색결과 727건 처리시간 0.029초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Streptococcus mutans from Korean Children with Caries

  • 강경희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41-347
    • /
    • 2007
  • Streptococcus mutans, one of a major causal agents of dental caries, is component of the dental plaque and produces various organic acids such as lactic acid as the end-product of glycolysis. In this study, we isolated S. mutans from Korean children with caries and also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protein under acid stress. S. mutans was identified at the species level using a 16S ribosomal DNA sequencing comparison method. The primer specificity was tested on eleven S. mutans strains isolated from Korean children with caries. The data showed that eleven strains are S. mutans. At treatment of concentration of 20 mM lactic acid in the mid-log phage, K-7 exhibited the highest maximum culture OD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groups. As a consequence, we examined the expression of protein under 20 mM lactic acid stress using S. mutans K-7. The results of 2D gel electrophoresis by image analysis showed that thirteen proteins are up-regulated under the stress. Further study is being focused on amino acid analysis by mass spectrometry in order to analyze those spots.

  • PDF

배추김치의 숙성에 미치는 Mono Sodium Glutamate의 영향 (Effect of Mono Sodium Glutamate on the Fermentation of Korean Cabbage Kimchi)

  • 장경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42-348
    • /
    • 1990
  • Effects of various monosodium glutamate(MSG_ concentration (0-400mg%) on the quality of Korean cabbage 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2$0^{\circ}C$ were investigated.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titratable acidity pH content of thiamine ascorbic acid $\beta$-carotene and sensory evaluation were observed in the presencve of MSG. Titratable acidity was increased in the kimchi contained MSG during the fermentation.l Wheeas the changes of pH in the kimchi contained MSG were similar to those in control, Maximum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was observed after 49 hour of fermentation in kimchi contained with 200mg MSG. The might be due to the fact that MSG was given optimum pH for acid bacteria growth because of its buffering action. Therefore the periods of kimchi fermentation were reduced by addition of MSG, MSG also affected on the stability of ascorbic acid thiamine and $\beta$-carotene. According of MSG. MSG also affected on the stability of ascorbic acid thiamine and $\beta$-carotene. According to sensory evaluation MSG reduced sour taste in kimchi which increased edible periods.

  • PDF

Effects of Temperature and Supplementation with Skim Milk Powder on Microbial and Proteolytic Properties During Storage of Cottage Cheese

  • Oh, Nam Su;Lee, Hyun Ah;Myung, Jae Hee;Joung, Jae Yeon;Lee, Ji Young;Shin, Yong Kook;Baick, Seung Ch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6호
    • /
    • pp.795-802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supplementation with skim milk powder (SMP) on the microbial and proteolytic properties during the storage of cottage cheese. Cottage cheese was manufactured using skim milk with 2% SMP and without SMP as the control, and then stored at $5^{\circ}C$ or $12^{\circ}C$ during 28 day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cottage cheese and the survival of the cheese microbiota containing starter lactic acid bacteria (SLAB) and non-starter culture lactic acid bacteria (NSLAB) were evaluated. In addition,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of lactose and lactic acid were analyzed, and proteolysis was evaluated through the measurement of acid soluble nitrogen (ASN) and non-protein nitrogen (NPN), as well as electrophoresis profile analysis. The counts of SLAB and NSLAB increased through the addition of SMP and with a higher storage temperature ($12^{\circ}C$), which coincided with the results of the lactose decrease and lactic acid production. Collaborating with these microbial changes, of the end of storage for 28 days, the level of ASN in samples at $12^{\circ}C$ was higher than those at $5^{\circ}C$. The NPN content was also progressively increased in all samples stored at $12^{\circ}C$. Taken together, the rate of SLAB and NSLAB proliferation during storage at $12^{\circ}C$ was higher than at $5^{\circ}C$, and consequently it led to increased proteolysis in the cottage cheese during storage. However, it was relatively less affected by SMP fortification.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storage temperature is the important factor for the quality of commercial cottage cheese.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식감과 식품보존료의 영향 (The effect of Salt and Food Preservatives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안숙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9-50
    • /
    • 1988
  • 가정용 통배추김치와 동치미를 시료로 하여, 김치 발효의 최적기에 관여하는주요 유산균종을 분리, 동정한 후 그들 유산균에 대한 소금과 식품보존료(Sorbic acid, P-hydroxybutly benzoate, p-hydroxypropyl benzoate, Sorbic acid와 P-hydroxybutyl benzoate병용)에 대한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추김치와 동치미에서 분리·동정된 유산균은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brevis, Streptococcus faecalis Pediococcus pentosaceus였다. 2. 유산균 생육과 식염과의 관계는 무염에서 보다는 소금 0.5∼2.0%에서 생장이 더 잘 되었다. 3. 유산균의 산생성능은 Lactobacillus plantarum이 산의 생성을 가장 많이 했다. 소금농도에 따른 유산균의 산생성능은 Leuconostoc mesenteroides는 소금 함량이 낮을수록 산을 많이 생성했고, 그 외 모든 균은 소금 0.5%∼2.0%에서 산의 생성량이 많았다. 4. 유산균에 대한 보존료의 영향을 Sorbic acid 0.05% 및, 1%의 단용과 Sorbic acid 0.05%와 POBB 0.004% 병용이 보존효과가 크게 나타났고, POPB 0.01% 가 가장 효과가 작았다. 소금이 첨가되면 보존효과가 더 좋게 나타났다. Lactobacillus plantarum이 모든 보존료에 대해 가장 영향을 적게 받았고, Leuconostoc mesenteroides가 가장 영향을 많이 받았다. 5. 이상의 결과에서 효과가 큰 보존료 Sorbic acid 0.05%∼l% 및 Sorbic acid 0.05%와 POBB 0.004%의 혼합물을 넣고, 김치를 숙성시키면. 여름철 김치의 산패를 다소 억제시켜서 저장 기간을 지연시킬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인삼의 첨가가 김치의 가식기간과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Ginseng on Eatable Period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 송태희;김상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37-244
    • /
    • 1991
  • 김치에 인삼 2% 및 4%를 첨가하여 $20^{\circ}C$에서 9일간 저장하면서 숙성기간별로 pH, 산도, 염도와 환원당의 변화를 관찰하고, Instron에 의한 경도측정, HPLC에 의한 유기산 분석 및 관능검사로 가식기간과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시료김치는 약 2.3% 정도의 염도를 유지했으며 발효기간 중 인삼 첨가군이 pH, 환원당함량 및 기계적 측정에 의한 경도가 높게 나타났고 산도는 낮게 나타났다. 유기산 분석결과 oxalic acid, lactic acid, malic acid의 함량이 많았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succinic acid, lactic acid와 acetic acid는 증가하고 oxalic acid는 크게 변하지 않았으며 tartaric acid와 malic acid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관능검사결과 인삼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경도를 나타냈으며 감칠맛과 탄산미가 좋게, 신맛과 이취가 적게 평가되었으며, 인삼으로 인한 쓴맛과 전체적 취식특성이 좋게 평가된 것으로 보아 인삼의 첨가가 김치의 기호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관능검사와 분석한 성분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김치의 기호도는 이취, 탄산미, 신맛, 그리고 감칠맛에 의해 결정됨을 알 수 있다. 결국 김치에 인삼을 첨가함으로써 기호성을 증대시키고 가식기간을 연장할 수 있었으며, 인삼첨가군 사이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인삼 2% 첨가군이 기호성 및 경제성에 있어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s of 60 Minute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n Blood Lactic Acid Concentration, Heart Rate, and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in Rescuers

  • Han, Seung-Eun;Ahn, Hee-Jeong;Shim, Gyu-Sik;Bang, Sung-Hwan;Song, Hyo-S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8호
    • /
    • pp.195-20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장시간 심폐소생술 지속 시 구조자의 혈중 젖산 농도, 심박동수, 운동자각도를 측정함으로써 구조자의 피로도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도 7월 5일부터 7월 9일까지 D 대학교 특전의무부사관과 학생 12명, 응급구조학과 학생 12명 총 24명을 대상으로 60분 동안 2인 교대 가슴 압박 소생술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심폐소생술 지속시간에 따른 구조자의 혈중 젖산 농도, 심박동수, 주관적 피로도인 운동 자각도, 가슴 압박 속도는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p<.001, p<.001, p<.001, p<.001). 매 측정 주기(30분, 40분, 50분, 60분) 시 혈중 젖산 농도는 심박동수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r=.696, p<.001, r=.672, p<.001, r=.709, p<.001, r=.782, p<.001), 운동자각도와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476, p<.05, r=.426, p<.05, r=.470, p<.05, r=.470, p<.05). 따라서 장시간 심폐소생술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심박동수와 운동자각도를 활용한 구조자의 피로도 모니터링은 고품질의 가슴 압박을 유지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Impact of wilting and additives on fermentation quality and carbohydrate composition of mulberry silage

  • Zhang, Ying Chao;Wang, Xue Kai;Li, Dong Xia;Lin, Yan Li;Yang, Fu Yu;Ni, Kui Ku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2호
    • /
    • pp.254-263
    • /
    • 2020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ilting and additives on the fermentation quality,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carbohydrate composition of mulberry silages. Methods: The selected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Lactobacillus plantarum 'LC279063' (L1), commercial inoculant Gaofuji (GF), and Trichoderma viride cellulase (CE) were used as additives for silage preparation. Silage treatments were designed as control (CK), L1, GF, or CE under three wilting rates, that is wilting for 0, 2, or 4 hours (h). After ensiling for 30 days, the silages were analyzed for the chemical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wilting had superior effects on increasing the non-structural carbohydrate concentration and degrading the structural carbohydrate. After ensiling for 30 days, L1 generally had a higher fermentation quality than other treatments, indicated by the lower pH value, acetic acid, propionic acid and ammonia nitrogen (NH3-N) content, and the higher lactic acid, water soluble carbohydrate, glucose, galactose, sucrose, and cellobiose concentration (p<0.05) at any wilting rate. Wilting could increase the ratio of lactic acid/acetic acid and decrease the content of NH3-N. Conclusion: The results confirmed that wilting degraded the structural carbohydrate and increased the non-structural carbohydrate; and L1 exhibited better properties in improving fermentation quality and maintaining a high non-structural carbohydrates composition compared with the other treatments.

식초와 젖산이 생선회 식중독 유래 병원성 세균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negar and Lactic Acid on the Survival of Pathogens Causing Food Poisoning of Sliced Raw Fish Meat)

  • 김영만;김경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69-675
    • /
    • 2002
  • 저가 수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이들을 이용한 인스턴트 생선회를 제조하여 산업화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인스턴트 생선회를 제조할 때 생선회를 원인식으로 하는 식중독 세균의 제어가 필수적이므로 생선회 소스의 원료인 유기산을 대상으로 생선회 식중독 유발 세균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식초(총산도 6.0-7.0%)와 젖산(총산도 8.0-9.0%)은 낮은 농도에서도 Vibrio속에 대한 항균활성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Vibrio vulnificus(V. vulnificus), V. cholerae non-O1, V. parahaemolyticus, V. mimicus 순이었고, Salmonella typhimurium(S. typhimurium)과 Escherichia coli O157:H7(E. coli O157:H7)은 비교적 높은 농도에서 항균활성이 약하게 나타났다. 최소생육저해농도(MIC)는 식초의 경우 V. vulnificus 16$\mu\textrm{g}$/$m\ell$, V. cholerae non-O1 18$\mu\textrm{g}$/$m\ell$, V. mimicus 16$\mu\textrm{g}$/$m\ell$, V. parahaemolyticus 12$\mu\textrm{g}$/$m\ell$, S. typhimurium 26$\mu\textrm{g}$/$m\ell$, E. coli O157:H7 20$\mu\textrm{g}$/$m\ell$를 나타내었고, 젖산의 경우 V. vulnificus 20$\mu\textrm{g}$/$m\ell$, V. cholerae non-O1 25$\mu\textrm{g}$/$m\ell$, V. mimicus 25$\mu\textrm{g}$/$m\ell$, V. parahaemolyticus 25$\mu\textrm{g}$/$m\ell$, S. typhimurium 40$\mu\textrm{g}$/$m\ell$, E. coli O157:H7 35$\mu\textrm{g}$/$m\ell$를 나타내었다. 순간 살균력 (10초)은 식초의 경우 V. vulnificus 8%, V. cholerae non-O1 14%, V. mimicus 10%, V. parahaemolyticus 4%, E. coli O157:H7 48%에서 증식되지 않았지만 S. typhimurium은 50%에서도 집락이 검출되었다. 젖산의 경우 V. vulnificus 2%, V. cholerae non-O1 3%, V. mimicus 4%, V. parahaemolyticus 3%, S. typhimurium 14%, E. coli O157:H7 17%에서 증식되지 않았다. 식초와 젖산은 낮은 농도에서 생선회 식중독 유발에 주 원인균이 되는 Vibrio 속의 생육을 억제하였고, S. typhimurium과 E. coli O157:H7의 생육은 비교적 약하게 나타났다.

밤 용액의 젖산발효 (Lactic Acid Fermentation of Chestnut Broth)

  • 진효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62-168
    • /
    • 2001
  • 분변과 요구르트에서 10주의 젖산균을 분리하여 이중 6주는 Bifidobactria로 4주는 Lactobacilli로 동정하였다. 이들은 이용하여 8% 증숙밤용액을 발효시켰을 때 발효액의 산도는 요구르트보다는 낮았으나 두유를 비롯한 식물성 요구르트보다는 2배이상 높았다. 산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Yeast extract 와 tryptone peptone를 첨가할 때 0.2%와 0.4%의농도에서 가장 높았다. 포도당을 0.5-0.8% 범위의 첨가하였을 때 lactobacilli에 의한 발효액에서는 산생성이 촉진되었으나. bifidobacteria 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시험된 과일과 채소즙 중에서는 당근즙의 첨가가 가장 큰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25% 밤용액에서는 고지추출액에 의한 가수분해는 젖산생성을 크게 촉진하였으나 가수분해하지 않은 8% 밤용액에서는 젖산생성량과 비교하였을 때 산생성 순증가량은 그다지 크지 않았다.

  • PDF

용매증발법을 이용한 Poly-L-Lactic Acid (PLLA) 마이크로스피어 제조 (Preparation of Poly-L-Lactic Acid (PLLA) Microspheres by Solvent-Evaporation Method)

  • 김태형;송기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4호
    • /
    • pp.461-468
    • /
    • 2018
  • Poly-L-lactic acid (PLLA)를 출발물질로 하여 용매증발법에 의해 마이크로스피어를 제조하고, 제조 변수가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어의 형상 및 평균 입경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PVA 수용액의 농도가 1~5 wt%로 증가함에 따라 평균입경이 $370{\sim}160{\mu}m$으로 감소하다가 7 wt%에서다시 $240{\mu}m$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PVA의첨가부피가 10~50 mL로 증가함에 따라 평균 입경은 $370{\sim}220{\mu}m$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교반속도가 500~1,500 rpm으로 증가함에 따라 평균 입경은 $370{\sim}110{\mu}m$으로 감소하였다. 유기용매로써 dichloromethane과 chloroform을 각각 사용한 경우 평균 입경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dichloromethane을 사용한 경우 표면에서 공극이 확인되었으나 chloroform을 사용한 경우 매끈한 형상의 구형입자가 얻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