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ic acid bacteria count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31초

감초분말첨가 김치의 품질 (Quality of Licorice (Glycyrrhiza uralensis) Powder Added Kimchi)

  • 고영태;이주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43-146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김치의 맛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감미료로 첨가되는 설탕 대신에 분말상태의 감초를 첨가하여 김치의 품질특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김치 제조원료에 설탕 또는 감초를 첨가하여 젖산균의 생육과 산생성 및 관능성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김치에 첨가된 감초의 영향은 다음과 같다. pH는 비숙성시료와 1일 숙성시료는 감초의 첨가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2일 숙성시료와 3일 숙성시료의 경우는 감초의 첨가에 따라 pH가 다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산도는 비숙성시료와 1일 숙성시료는 감초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p<0.05), 2일 숙성시료와 3일 숙성시료의 경우는 반대로 감초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감초의 첨가에 의하여 젖산균수는 변화가 없었다. 관능검사의 결과를 보면 1-3일 숙성된 시료의 전반적인 기호도와 맛은 감초 0.1% 또는 0.2% 첨가시료가 표준시료와 같거나 다소 우수하였고, 1.0% 첨가시료가 가장 저조하였다. 냄새와 조직감은 1.0% 첨가시료가 다른 시료보다 저조하였고, 색상은 시료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균과 분해균이 김치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ogenic amine forming and degrading bacteria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 임은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4호
    • /
    • pp.375-38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발효 기간 동안 멸치 액젓과 새우젓으로 담근 배추 김치로부터 분리 동정된 바이오제닉 아민(biogenic amines, BA) 생성 유산균 단독 스타터 혹은 BA 분해 유산균과의 혼합 스타터로 제조한 김치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발효가 진행될수록 새우젓 보다 멸치 액젓을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에서 유산균수, 산도 및 BA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유산균이 생산하는 BA의 종류 및 생성량은 균종 보다는 균주에 의존적이었다. 분리 균주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의 카다베린, 히스타민, 푸트레신 및 티라민은 각각 Leuconostoc mesenteroides MBK32, Lactobacillus brevis MBK34, Lactobacillus curvatus MBK31 및 Enterococcus faecalis SBK31로부터 생산되었다. BA 생성능과 분해능이 있는 스타터는 김치 내 유산균의 증식 속도와 산 생성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BA 생성균 단독 스타터에 의해 증가된 김치의 BA 함량은 BA 분해균과의 혼합 스타터에 의해 효과적으로 감소되었다.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zinc oxide and zinc aspartic acid chelate on the performance of weaning pigs

  • Sarbani Biswas;De Xin Dang;In Ho Kim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6권1호
    • /
    • pp.125-134
    • /
    • 2024
  • In this research, the growth efficiency, nutritional utilization, fecal microbial levels, and fecal score of weaned pigs were evaluated using therapeutic zinc oxide (ZnO) and zinc aspartic acid chelate (Zn-Asp). In a 42-day feeding trial, 60 weaned pigs ([Yorkshire × Landrace] × Duroc) were arbitrarily allotted (age: 21 days; 7.01 ± 0.65 kg preliminary body weight) to 3 different treatment groups with 5 repetitions (2 male and 2 female piglets) in each pen. The trial had 2 different phases, including 1-21 days as phase 1, and 22-42 days as phase 2. The nutritional treatments were: basal diet as control (CON), basal diet incorporated with 3,000 ppm ZnO as TRT1, and basal diet incorporated with 750 ppm Zn-Asp as TRT2. In comparison to the CON group, the pigs in the TRT1 and TRT2 groups had greater (p < 0.05) body weight on day 42; an average daily gain, and an average daily feed intake on days 22-42. Furthermore, during days 1-42, the average daily gain in the treatment groups trended higher (p < 0.05) than in the CON group. Additionally, the fecal score decreased (p < 0.05) at week 6, the lactic acid bacteria count tended to increase (p < 0.05), and coliform bacteria presented a trend in reduction (p < 0.05) in the TRT1 and TRT2 groups compared to the CON group.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nutrient utilization (p > 0.05) among the dietary treatments. Briefly, the therapeutic ZnO and Zn-Asp nutritional approaches could decrease fecal score and coliform bacteria, increase lactic acid bacteria, and improve growth efficiency; moreover, Zn-Asp (750 ppm) can perform a comparable role to therapeutic ZnO (3,000 ppm). So we can use Zn-Asp (750 ppm) instead of therapeutic ZnO (3,000 ppm) for the better performance of weaning pigs and the reduc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as therapeutic ZnO is responsible for environmental pollution.

박테리오파지와 유기산의 병용처리에 의한 효율적인 대장균 생육 억제 (Synergistic Inhibition of Escherichia coli by a Combination of Bacteriophage and Organic Acid)

  • 김선규;문기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91-594
    • /
    • 2019
  • 일부 대장균 균주는 독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을 제어하기 위해 박테리오파지와 같은 대체 항균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E. coli DH5α 균주를 모델로 이 균주의 생육을 억제하는 박테리오파지 ECP27과 병용처리했을 때 상승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항균물질을 탐색하였다. 후보물질로는 CaCl2, 젖산, 구연산이 사용되었다. CaCl2의 경우 6시간째 농도 의존적으로 생육억제 상승효과가 나타났으나 12시간째 E. coli DH5α의 생균수가 회복되는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30 mM 농도에서 젖산과 구연산은 박테리오파지 ECP27과 병용처리 했을 때 E. coli DH5α의 생육저해에 대하여 6시간째 상승효과를 보였으며 12시간째 생균수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젖산과 구연산을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 12시간째 E. coli DH5α의 생균수가 확인되지 않아 독자적으로도 항균력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박테리오파지와 유기산을 병용 처리하는 것은 대장균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좋은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파뿌리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요구르트의 발효 및 품질특성 (Quality and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yogurt added with hot water extract of Welsh onion root)

  • 김민정;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87-393
    • /
    • 2017
  • 대파 뿌리 열수추출물을 아용하여 유산균의 성장특성과 요구르트의 발효 특성을 조사 하였다. 파 뿌리 열수 추출물은 pH 5.63, 고형분 함량 10%, 환원당함량 1.12 mg/g, 총 폴리페놀 함량 135.09 mg/g, DPPH 라디칼 소거능 45.24%이었다. 추출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BHI배지(WR50, WR100)에서 유산균의 성장은 배양 24시간 이후 대조구에 비해 WR100에서 약 1 log cycle 성장이 촉진되었다. 파 뿌리 열수 추출물 원액(WY100), 증류수로 2배 희석한 추출액(WY50) 그리고 증류수(control)에 각각 12% 환원탈지유를 용해시켜 제조한 요구르트의 발효 중 pH는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낮아졌으며, 산도 변화 역시 pH 변화와 유사하였다. 점도는 대조구를 제외하고 발효 8시간 이후로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발효기간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발효 기간 중 유산균수의 변화는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생균수를 나타내었으며 발효 24시간 발효 후 각 처리구별 생균수는 8.03(control), 8.77(WY50), 8.84(WY100) log CFU/mL 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종합적 기호도는 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각각 3.00(control), 3.50(WY50), 3.17와(WY100)으로 50% 파 뿌리 열수 추출물로 제조한 요구르트의 기호성이 가장 양호 하였다. 추출물로 제조한 요구르트를 $4^{\circ}C$에서 10일간 냉장 저장 동안 대조구와 첨가구 모두 pH는 낮아지고 유산균수는 감소하였으나 첨가구의 경우 $10^8CFU/mL$을 유지하였다. 파 뿌리 열수추출물은 요구르트의 발효 및 기능성 개선을 위해 부재료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Characteristics of proteolytic microorganisms and their effects on proteolysis in total mixed ration silages of soybean curd residue

  • Hao, Wei;Tian, Pengjiao;Zheng, Mingli;Wang, Huili;Xu, Chunche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1호
    • /
    • pp.100-110
    • /
    • 2020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proteolytic microorganisms and evaluate their effects on proteolysis in total mixed ration (TMR) silages of soybean curd residue. Methods: TMRs were formulated with soybean curd residue, alfalfa or Leymus chinensis hay, corn meal, soybean meal, a vitamin-mineral supplement, and salt in a ratio of 25.0: 40.0:30.0:4.0:0.5:0.5, respectively, on a basis of dry matter. The microbial proteinases during ensiling were characterized, the dominate strains associated with proteolysis were identified, and their enzymatic characterization were evaluated in alfalfa (A-TMR) and Leymus chinensis (L-TMR) TMR silages containing soybean curd residue. Results: Both A-TMR and L-TMR silages were well preserved, with low pH and high lactic acid concentrations. The aerobic bacteria and yeast counts in both TMR silages decreased to about 105 cfu/g fresh matter (FM) and below the detection limit, respectively. The lactic acid bacteria count increased to 109 cfu/g FM. The total microbial proteinases activities reached their maximums during the early ensiling stage and then reduced in both TMR silages with fermentation prolonged. Metalloproteinase was the main proteinase when the total proteinases activities reached their maximums, and when ensiling terminated, metallo and serine proteinases played equally important parts in proteolysis in both TMR silages. Strains in the genera Curtobacterium and Paenibacillus were identified as the most dominant proteolytic bacteria in A-TMR and L-TMR, respectively, and both their proteinases were mainly with metalloproteinase characteristics. In the latter ensiling phase, Enterococcus faecium strains became the major sources of proteolytic enzymes in both TMR silages. Their proteinases were mainly of metallo and serine proteinases classes in this experiment. Conclusion: Proteolytic aerobic bacteria were substituted by proteolytic lactic acid bacteria during ensiling, and the microbial serine and metallo proteinases in these strains played leading roles in proteolysis in TMR silages.

초고압 처리에 의한 좁쌀탁주의 미생물 살균 및 효소 불활성화 (Inactivation of Microorganisms and Enzymes in Foxtail Millet Takju by High Hydrostatic Pressure Treatment)

  • 좌미경;임상빈;목철균;박영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26-230
    • /
    • 2001
  • 좁쌀탁주를 초고압으로 처리하여 미생물 살균 및 효소불활성화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무처리 좁쌀탁주의 세균은 $6.8{\times}10^7\;CFU/mL$, 젖산균은 $1.3{\times}10^8\;CFU/mL$, 효모는 $8.4{\times}10^7\;CFU/mL$이었다. 좁쌀탁주를 상압에서 열처리($65^{\circ}C$/30분)하였을 때 젖산균과 효모는 완전히 사멸되었으나 세균은 $2.2{\times}10^5\;CFU/mL$ 잔존하였다. 좁쌀탁주를 초고압으로 처리한 결과 젖산균과 효모는 압력의 증가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400 MPa에서는 완전히 사멸되었다. 세균은 상온에서 압력을 600 MPa로 높여도 멸균되지 않았으며, 400 MPa/10분에서 처리온도의 증가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66^{\circ}C$에서도 완전히 사멸되지 않았으며, $66^{\circ}C/400$ MPa에서 60분, 600 MPa에서 10분 처리로 완전히 사멸되었다. ${\alpha}-amylase$의 활성은 처리압력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상온/600 MPa/10분에서 73.2% 잔존한 반면, glucoamylase의 활성은 압력의 증가에 따라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400 MPa에서 처리온도의 증가에 따라 ${\alpha}-amylase$와 glucoamylase 모두 활성이 감소하였는데, $66^{\circ}C$에서 ${\alpha}-amylase$는 59.7%, glucoamylase는 20.5% 불활성화되었다. 가열처리($65^{\circ}C$, 30 분)에 의한 ${\alpha}-amylase$의 잔존활성은 14.1%이었는데 반하여, $66^{\circ}C/600\;MPa$에서 30분 처리로 잔존활성이 1.2% 이하가 되었다.

  • PDF

Effects of vacuum and high-oxygen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n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minced water buffalo meat

  • Jaberi, Rahimeh;Kaban, Guzin;Kaya, Mukerre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3호
    • /
    • pp.421-429
    • /
    • 2019
  • Objective: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vacuum (VP) and high-oxygen modified atmosphere ($80%\;O_2+20%\;CO_2$) packaging (HiOx-MAP) on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minced water buffalo meat were investigated. Methods: After minced meat preparation, samples were packaged under VP and HiOx-MAP and stored at $2^{\circ}C{\pm}0.5^{\circ}C$ for 14 days. Samples taken on certain days were subjected to total aerobic mesophilic bacteria, total aerobic psychrotrophic bacteria, lactic acid bacteria, Pseudomonas, Enterobacteriaceae and yeast-mold counts as well as pH, color ($L^*$, $a^*$, and $b^*$)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alyses. Results: In minced water buffalo meat packaged under HiOx-MAP, TBARS value exceeded 1 mg malondialdehyde/kg on the 4th day of the storage. In VP samples, TBARS value remained close to initial TBARS value during storage. According to the findings, $a^*$ value was determined to be high in the HiOx-MAP samples within initial days of the storage.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s in $a^*$ value were observed in VP samples during storage. In contrast, the mean value of $L^*$ was detected as higher in HiOx-MAP sample than VP samples. The count of psychrotrophic bacteria increased more than that of mesophilic bacteria during storage. The growth of Enterobacteriaceae and Pseudomonas was delayed in both the packaging methods. However, lactic acid bacteria exhibited more growth in VP samples compared to MAP samples. Conclusion: The lipid oxidation proceeded faster than expected in minced water buffalo meat packed with HiOx-MAP method. This situation adversely affected the $a^*$ value. On the other hand, similar microbiological results were obtained in both packing methods.

돌산갓김치 제조를 위한 유산균 처리한 조미료의 생리적 효과 (Physiological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Treated Condiments on Dolsan Leaf Mustard Kimchi)

  • 오선경;센징;최명락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67-376
    • /
    • 2021
  • 본 연구는 Weissella kimchii (W.k.), Leuconostoc gelidum (L.g.) 및 Leuconostoc mesenteroides (L.m)의 3가지 유산균을 각각 첨가한 돌산갓김치의 양념소를 4℃에서 50일 동안 pH, 산도, 유산균 및 총균수,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3가지 종류의 유산균을 첨가한 돌산갓김치의 양념소에 2% 소금 용액을 첨가한 pH 값의 범위는 5.12~5.62, 산도 값 범위는 0.62~3.77를 나타냈다. 유산균 수의 전체 추세는 발효 10일에서 20일 동안 빠르게 감소하였고, 총균수는 50일 동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돌산갓김치의 양념소에 2% 소금 용액을 첨가하지 않은 pH값의 범위는 5.22~5.61, 산도 값 범위는 0.91~4.41를 나타냈다. 유산균의 수는 전체적으로 20일까지 감소한 후 증가하였고, 총균수도 20일까지 감소 후 50일까지 증가추세를 나타냈다. 관능적 특성은 2% 소금 용액을 첨가한 양념소와 2% 소금 용액을 첨가하지 않은 양념소는 발효시간이 지날수록 외관, 향, 염도, 매운맛 및 전반적인 기호도는 점점 감소하였다. 또한,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2% w. k.와 2% L. m.에서 높게 나타났고, ACE 억제활성은 10℃에서 8일간 발효된 양념소에서 70.3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양념소 생산은 돌산갓김치 제조 및 다른 김치제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오디 추출물 첨가가 요구르트 스타터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berry Extract on the Growth of Yogurt Starter Cultures)

  • 서형주;김영순;김진만;이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44-147
    • /
    • 2006
  • 발효 유제품 제조에 오디 추출물을 첨가할 때 유산균 생육에 미치는 오디 추출물의 효과를 측정하여 오디의 이용성을 넓히고자 한다. 오디 추출물은 에탄올 함량이 60%일 때 가장 높은 추출 수율을 보였다. L. casei와 L. acidophilus의 생육에 대한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오디 추출물을 1%, 5%, 10% 첨가시킨 후 MRS 배지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24시간 배양후 pH, 총산도 및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첨가량이 1%일 때 가장 낮은 pH 4.19와 4.11를 보였으며, 생균수 측정시 오디 추출물 무첨가시 $2.3{\times}10^9{\sim}4.2{\times}10^{10}\;CFU/mL$의 생균수를 보인 반면 오디 추출물 첨가시 $1.8{\times}10^9{\sim}7.8{\times}10^{10}\;CFU/mL$의 생균수를 보임에 따라 다소 높은 생균수를 보였다. 또한 총산도 역시 오디 추출물 첨가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L. casei와 L. acidophilus을 이용한 발효 유제품 제조시 오디 추출물을 각각 1% 첨가시 발효 유제품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오디 추출물을 첨가한 발효 유제품의 산도 및 생균수가 첨가하지 않은 발효 유제품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오디 추출물 1% 첨가시 산도를 측정한 결과 L. acidophilus을 이용한 발효 유제품의 산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균수 역시 $6.9{\times}10^{10}\;CFU/mL$로 가장 많은 생균수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