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oratory treated soils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3초

돈분액비 및 가공돈분액비 처리에 따른 밭토양과 논토양 중 살충제 Diazinon의 분해특성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Insecticide Diazinon by Treatment of Raw Pig Slurry and Processed Pig Slurry in Upland and Paddy Soil)

  • 이영주;박회원;문준관;최홍림;김정한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32-338
    • /
    • 2010
  • 살충제 diazinon의 토양 중 가축분뇨 및 그 시비량에 따른 분해특성을 알아보고자 밭토양과 논토양 20 g에 돈분액비(RPS; raw pig slurry)와 가공돈분액비(PPS; processed pig slurrry)를 기준량, 2배량 및 3배량 수준으로 가한 후 diazinon 0.5mg/kg을 처리하고 60일 동안 항온배양($25{\pm}2^{\circ}C$, 암조건)하면서 시간경과에 따른 농약의 분해양상 및 반감기를 조사하였다. 액비를 처리하지 않은 밭토양과 논토양에서의 diazinon 반감기는 각각 28, 22일 정도로 나타났다. Diazinon은 액비의 종류와 상관없이 밭토양보다 논토양에서 약 $5.0{\pm}1.2$일 가량 짧은 반감기를 보여 논토양에서 가수분해에 의한 분해도 일어남을 유추할 수 있었다. 밭토양, 논토양 모두 PPS 처리구보다 RPS 처리구에서 diazinon이 더욱 빠르게 분해되었으며, 비료의 시비량이 많을수록 그 분해가 빠르게 나타나 더 짧은 반감기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토양수분함량 및 액비의 처리에 의한 유기물함량 변화가 diazinon의 분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침투성(浸透性) 살충제(殺蟲劑) Carbofuran 토양(土壤) 잔류물(殘留物)의 벼에 의(依)한 흡수(吸收) (Uptake of the Fresh and Aged Residues of Carbofuran by Rice Plants from Soil)

  • 이재구;경기성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3-118
    • /
    • 1989
  • 침투성 살충제 Carbofuran (2,3-dihydro-2,2-dimethyl-7-benzofuranyl-N-lcarbamate)의 신생 (Fresh) 및 숙성 (Aged) 잔류물의 벼에 의한 흡수를 구명하기 위하여 벼 재배 직전에 Carbofuran을 처리한 토양(T-1), Carbofuran 을 처리하고 3개월간 숙성시킨 토양 (T-2) 및 Carbofuran 처리 후 6개월간 숙성시킨 토양 (T-3)에서 벼를 재배하였다. 토양(온도 $22{\pm}1^{\circ}C$ 최대 용수량의 50% 수분함량) 중에서 3개월 및 6개월간 숙성시키는 동안 $^{14}C-Carbofuran$ 으로 부터 방출된 $^{14}CO_2$의 량은 최초 처리량의 각각 8.9%와 26.7% 이 었다. 42일간 벼를 재배하는 동안 방출된 $^{14}CO_2$의 량은 4.4%(T-1), 11.0%(T-2) 그리고 15.7%(T-3)이었다. 3개월과 6개월간 숙성시킨 토양을 MeOH로 추출하여 Autoradiograph를 행한 결과 주대사 산물이 3-keto Carbofuran phenol(2,3-dihydro-2,2-dimethyl-3-oxo-7-benzofuranol)이었고 벼를 MeOH로 추출하고 Autoradiography를 행한 결과 3-hydroxy Carbofuran(2,3-dihydro-2,2-dimethyl-3-hydroxy-7-benzofuranyl-N-methylcarbamate) 이 주 대사산물로 판명되었다. 3개월과 6개월의 숙성 기간과 42일간의 벼 재배 기간중 토양의 $^{14}C-Carbofuran$ 으로부터 휘발된 량은 최초 처리량의 각각 0.026, 0.05, 그리고 0.012-0.018 %이었다. 42일간의 벼 재배 기간중 벼에 의하여 토양으로 부터 흡수 이행되고 잔류해 있는 $^{14}C$방사능의 량은 최초 방사능의 각각 26.8%(T-1), 21.4%(T-2), 그리고 10.3%(T-3)이었다. T-1, T-2 및 T-3 에서의 추출 불가 토양 잔류물의 량은 최초 처리 Carbofuran의 8.3%, 37.9% 그리고 54.6%이었다. T-3에서 $^{14}C$ 방사능이 지상으로 소량 이행된 것은 주 대사산물인 3-keto Carbofuran phenol이 뿌리에서 Conjugate를 형성했기 때문이며 T-1에서 특히 회수율이 낮은 것은 벼 조직의 표면으로부터 Carbofuran 이 휘발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 PDF

동결토의 압축강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ies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Frozen Soils)

  • 유능환;최중돈;유영선;조영택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5-66
    • /
    • 1993
  • Upon freezing a soil swells due to phase change and its compression stress increase a lot. As the soil undergo thawing, however, it becomes a soft soil layer because the 'soil changes from a solid state to a plastic state. These changes are largely dependent on freezing temperature and repeated freezing-thawing cycle as well as the density of the soil and applied loading condition. This study was initiated to describe the effect of the freezing temperature and repeated freezing-thawing cycle on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Soil samples were collected at about 20 sites where soil structures were installed in Kangwon provincial area and necessary laboratory tes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could be used to help manage effectively the field structures and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designing and constructing new projects in the futu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decreased as the number of freezing and thawing cycle went up. But the strength increased as compression speed, water content and temperature decreased. The largest effect on the strength was observed at the first freezing and thawing cycle. 2. Compression strain went up with the increase of deformation speed, and was largely influenced by the number of the freezing-thawing cycle. 3. Secant modulus was responded sensitivefy to the material of the loading plates, increased with decrease of temperature down to - -10$^{\circ}$C, but was nearly constant below the temperature. Thixotropic ratio characteristic became large as compression strain got smaller and was significantly larger in the controlled soil than in the soil treated with freezing and thawing processes 4. Vertical compression strength of ice crystal(development direction) was 3 to 4 times larger than that of perpendicular to the crystal. The vertical compression strength was agreed well with Clausius-Clapeyrons equation when temperature were between 0 to 5C$^{\circ}$, but the strength below - 5$^{\circ}$C were different from the equation and showed a strong dependency on temperature and deformation speed. When the skew was less then 20 degrees, the vertical compression strength was gradually decreased but when the skew was higher than that, the strength became nearly constant. Almost all samples showed ductile failure. As considered above, strength reduction of the soil due to cyclic freezing-thawing prosses must be considered when trenching and cutting the soil to construct soil structures if the soil is likely subject to the processes. Especially, if a soil no freezing-thawing history, cares for the strength reduction must be given before any design or construction works begin. It is suggested that special design and construction techniques for the strength reduction be developed.

  • PDF

바이오폴리머-흙 처리(BPST) 기술의 강도 발현 거동에 대한 주요 영향인자 분석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n the Key Parameters for the Strengthening Behavior of Biopolymer-based Soil Treatment (BPST) Technology)

  • 이해진;조계춘;장일한
    • 토지주택연구
    • /
    • 제12권3호
    • /
    • pp.109-119
    • /
    • 2021
  •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한 이상 기후로 인해 과거보다 더 많은 지반공학 재해들이 발생하고 있으며, 재해들의 규모도 더욱 증대되고 있다. 최근 토목 및 건설분야에 소개된 바이오폴리머 기반 흙 처리(BPST; Biopolymer-based soil treatment) 기술은 효율적으로 흙의 강도를 증진시키면서 탄소배출이 거의 없는 친환경 지반보강법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아가검, 젤란검, 잔탄검과 같은 열적젤화 특성을 지닌 바이오폴리머들의 강도 증진 효과가 매우 우수함이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다. 하지만 바이오폴리머 함량 외에는 바이오폴리머 기반 흙 처리에서 흙의 강도 증진을 제어하는 주요 영향인자 규명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발표된 열적젤화 바이오 폴리머 처리 흙의 불구속일축압축강도(UCS;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자료에 대한 기계학습 기반 선형회귀 분석을 통해 젤란검 바이오폴리머로 처리된 흙의 강도 발현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해석 결과, 바이오폴리머 함량과 더불어 흙 속 점토 함량이 강도 발현에 가장 중요한 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침수처리(湛水處理) 및 유기물(有機物) 첨가(添加)가 답토양(畓土壤)의 Fe, Mn 및 SiO2의 용출량(溶出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Effect of Flooding and Organic Matter to the Release of Iron, Manganese, and Silica in Soils)

  • 박영선;오왕근;박내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5
    • /
    • 1968
  • 수량(收量)이 낮은 답토양(畓土壤)에 역분해성(易分解性) 유기물(有機物)로서 Soluble Starch를 첨가(添加)하여 $30{\pm}2^{\circ}C$에서 21 일간(日間) 담수(湛水) Incubation 하면서 토양(土壤)의 pH, Eh 변화(變化), 수용성(水溶性) Fe, Mn 및 $SiO_2$의 용출량(溶出量)을 조사(調査) 연구(硏究)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유기물(有機物)을 첨가(添加)할 경우(境遇)에는 유기물(有機物)을 처리(處理)하지 않았을때 보다 초기(初期) 1주일간(週日間) Eh는 200mv 더 낮아 환원(還元)이 심(甚)하였다. 2. pH는 무처리(無處理)에서는 담수초기(湛水初期) 약간 하강(下降)하는 경향(傾向)이다가 계속(繼續) 상승(上昇)하여 pH 6.0 정도(程度)를 유지하였으나 유기물처리시(有機物處理時)에는 초기(初期)에는 급격(急激)한 환원(還元)에 의(依)해 pH가 상승(上昇)하였다가 7 일후(日後)에는 떨어져서 계속(繼續) pH 4.5 정도(程度)를 유지(維持)하였다. 3. 유기물(有機物)을 처리(處理)하지 않았을때는 수용성(水溶性) Fe, Mn 및 $SiO_2$는 담수환원(湛水還元)에 의(依)하여 약간 증가(增加)를 보이고 있으나 유기물처리시(有機物處理時)에는 수용성(水溶性) Fe는 약(約) 20배(倍), Mn 약(約) 10배(倍) $SiO_2$는 3배정도(倍程度)로 증가(增加)하였다. 4. 유기물(有機物) 처리시(處理時)에 수용성(水溶性) Mn 및 $SiO_2$의 용출량(溶出量)은 pH와 유의적(有意的)인 상관관계(相關關係)([$H^+$] & Mn ${\gamma}=0.734^{**}$, [$H^+$] & $SiO_2$ ${\gamma}=0.750^{**}$)가 있었으며 pH5.0 이하(以下)에서 용출량(溶出量)이 급증(急增)하였다.

  • PDF

항온 배양 논토양 조건에서 비산재 처리에 따른 CH4와 CO2 방출 특성 (Fly Ash Application Effects on CH4 and CO2 Emission in an Incubation Experiment with a Paddy Soil)

  • 임상선;최우정;김한용;정재운;윤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853-860
    • /
    • 2012
  • 비산재 혼합에 의한 $CH_4$$CO_2$ 방출 저감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질소 ($(NH_4)_2SO_4$) 무처리구와 처리구를 두고 비산재를 0, 5, 10% 수준으로 혼합한 후 토양 수분 변동조건 (습윤기간, 전이기간, 건조기간)에서 60일간 실험실내 항온배양실험을 통해 $CH_4$$CO_2$ flux를 분석하였다. 전체 항온배양기간 중 평균 $CH_4$ flux는 $0.59{\sim}1.68mg\;CH_4\;m^{-2}day^{-1}$의 범위였으며, 질소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flux가 낮았는데, 이는 질소 처리시 함께 시용된 $SO_4^{2-}$의 전자수용체 기능에 의해 $CH_4$ 생성이 억제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질소 무처리구와 처리구에서 비산재 10% 처리에 의해 $CH_4$ flux가 각각 37.5%와 33.0% 감소하였는데, 이는 물리적인 측면에서 미립질 (실트 함량 75.4%)인 비산재 시용에 의해 통기성 대공극량이 감소되어 $CH_4$ 확산 속도가 저감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생화학적 측면에서는 비산재의 $CO_2$ 흡착능에 의해 $CH_4$ 생성의 주요 기작 중 하나인 이산화탄소 환원에 필요한 $CO_2$ 공급이 억제된 것도 원인 일 수 있다. 한편, 전체 항온 배양 기간의 평균 $CO_2$ flux ($0.64{\sim}0.90g\;CO_2\;m^{-2}day^{-1}$) 역시 질소 무처리구가 질소 처리구보다 높았다. 이는 일반적으로 질소 시비에 의해 토양 호흡량이 증가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상이한데, 본 연구에서 질소 처리에 의해 활성화된 미생물에 의해 $CO_2$ flux 최초 측정 시점 (처리 후 2일째) 이전에 이미 상당한 양의 $CO_2$가 이미 방출되어 실측 flux에 반영되지 못했기 때문으로 설명이 가능했다. $CH_4$과 유사하게 $CO_2$ flux도 비산재무처리구에 비해 비산재 10% 처리구에서 약 20% 감소하였는데, 이는 비산재의 원소 구성 중 Ca과 Mg과 토양수내 탄산이온의 탄산염 ($CaCO_3$$MgCO_3$)화 반응에 의한 $CO_2$ 침전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비산재 처리에 의한 $CH_4$$CO_2$ flux 감소에 의해 지구온난화지수 역시 비산재 10% 처리구에서 약 20% 감소하였다. 따라서, 비산재는 논 토양에서 $CH_4$$CO_2$ 방출 저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재 벼 재배 포장에서의 실험을 통한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가 은행(銀杏)나무(Ginkgo biloba L.) 유묘(幼苗)의 생장(生長),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 및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I. 종자발아율(種子發芽率)과 생장(生長)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on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Ginkgo biloba L. Seedlings and on Chemical Properties of the Tested Soil -I. Seed Germination and Growth)

  • 김갑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6권2호
    • /
    • pp.99-108
    • /
    • 1987
  •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가 은행(銀杏)나무의 종자발아율(種子發芽率)과 유묘(幼苗)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천연강우(天然降雨)를 차단(遮斷)하고 묘포토양(苗圃土壤), 혼합토양(混合土壤) 및 사질토양(砂質土壤)에 각각 분식(盆植)된 은행(銀杏)나무 종자(種字)와 유묘(幼苗)(1-0, half-sib)에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황산(黃酸)과 질산(窒酸)을 3:1, v/v로 혼합(混合)하여 수돗물로 희석한 pH 2.0, 3.0, 4.0 및 5.0)와 수돗물(pH 6.4)을 생육기간중(生育期間中)(1985년(年) 4월(月) 28일(日)~10월(月) 19일(日) 및 1986년(年) 4월(月) 12일(日)~8월(月) 19일(日))에 주(週) 3회(回), 매회(每回) 5mm씩 처리(處理)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은행(銀杏)나무 종자(種字)의 발아(發芽)는 야외실험(野外實驗)에서는 pH 2.0 처리구(處理區)에서 발아율(發芽率)이 감소(減少)했으며, 실내실험(室內實驗)에서는 pH 2.0 및 3.0 처리구(處理區)에서의 발아율(發芽率)이 대조구(對照區)에 비하여 현저히 낮아졌다. 2. 2년생(年生)(1-1) 묘목(苗木)의 경우, 개체당(個體當) 건중량(乾重量), 지상부(地上部) 및 지하부(地下部) 건중량(乾重量)은 토양간(土壤間)에 그리고 pH 간(間)에 유의차(有意差)가 있었으며, 신초생장(新梢生長)은 pH 간(間)에만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었다. 3. 1년생(年生)(1-0) 묘목(苗木)의 경우, 묘고(苗高), 개체당(個體當) 총건중량(總乾重量), 수간일지조(樹幹一枝條) 건중량(乾重量)이 pH 간(間)에 각각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 PDF

농경지(農耕地) 토양중(土壤中)에서 요소(尿素)의 동태(動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第一報]-답토양(沓土壤)에서 농약제(農藥濟)가 효소(酵素)의 분해(分解) 및 전환(轉換)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Behaviors of Urea in Soils [Part I]-Effects of some pesticides on the urea decomposition and nitrogen transformation in flooded paddy soil-)

  • 임선욱;강규영;박성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0권1호
    • /
    • pp.58-65
    • /
    • 1977
  • 본(本) 시험(試驗)은 현재(現在) 우리나라에서 질소질(窒素質) 비료(肥料)의 주종(主種)인 요소(尿素)가 전(田)과 답토양중(畓土壤中)에서 겪는 화학적(化學的) 변화(變化)와 행동(行動)을 추구(追究)하는 일련(一連)의 실험(實驗)가운데 담수상태(湛水狀態)의 답토양(畓土壤)에서 수도작(水稻作)에 주(主)로 쓰히는 제초제(除草劑), 살균제(殺菌劑) 및 살충제(殺蟲劑)의 수종(數種)이 요소(尿素)의 분해속도(分解速度)와 질소(窒素)의 화학적형태(化學的形態)의 변화(變化)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檢討)한 것이다. 공시(供試)한 농약(農藥)은 제초제(除草劑)로 2, 4-D, Machete, TOK 등의 삼종류(三種類), 살균제(殺菌劑)로는 Rabcide, Neo-asozine, Phenazine 등의 3종류(三種類)를 각각(各各) 20, 100, 200ppm을 일정량(一定量)의 답토양(畓土壤)에 200pprn의 요소비료(尿素肥料)와 함께 처리(處理)하여 $28{\pm}1^{\circ}C$에 정치(靜置)하여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여쓰며 살충제(殺蟲劑)로는 Birlane, Diazinon, Sumithion 및 Bux의 4종류(四種類)를 각각(各各) 50, 250, 500ppm으로 처리(處理)하였으며 얻은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제초제(除草劑)와 살균제(殺菌劑)를 각각(各各) 20, 100ppm으로 처리(處理)하였을 경우 처리(處理) 1일후(日後)까지는 요소(尿素)의 분해(分解)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았고 200ppm처리(處理)에서는 Rabcide와 Neo-asozine을 제외(除外)하고 그밖의 약제(藥劑)에 의하여는 현저히 저해(沮害)되었다. 살충제(殺蟲劑)로 Sumithion과 Bux는 250ppm 처리로 약간 저해(沮害)되었고 500ppm 처리에서는 공시(供試)한 모든 살충제(殺蟲劑)에 의하여 크게 저해(沮害)되었다. 그러나 요소(尿素)는 본실험조건(本試驗條件)에서 처리(處理) 3일후(日後)에 농약(農藥)의 처리(處理)에 관계(關係)없이 거의 완전(完全)히 분해소실(分解消失)되었다. 2. 어느 경우에나 암모늄태질소(態窒素)의 생성(生成)은 기수상태(基水狀態)에서 점차 증가(增加)되었으나 대조(對照) 2주후(週後)에는 대략 20%의 무기태질소(無機態窒素)가 감소(減少)되었으며 농약(農藥)의 처리농도(處理濃度)가 높을수록 암모늄 태질소(態窒素)의 현저한 증가(增加)가 2주(週)째에 나타났다. 그러나 Rabcide에 의하여는 오히려 억제(抑制)되었다. 3. 공시(供試)한 농약재(農藥劑)의 처리(處理)로 담수상태(湛懲水狀態)에서 ($NO_2+NO_3$)-N의 생성(生成)이 억제(抑制)되었고 그 억제효과(抑制效果)는 약제별(藥劑別)로 차이(差異)가 있어 대체(大體)로 살균제(殺菌劑), 제초제(除草劑), 살충제(殺蟲劑)의 순(順)으로 감소(減少)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