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 survey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26초

영역별 특성에 따른 구취발생시 행동대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general characteristics to behavioral reaction toward oral malodor)

  • 장계원;박성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493-50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people in general characteristics about oral malodor. The subjects in this study are 184 people who visited the clinical practice lab at J health college to get their teeth scaled. After conducting a survey from May 1 to June 3, 2008, we selected four different ares and then analyzed the answer sheets from 179 respondents including smoking/nonsmoking, scaling experience, toothbrushing frequency and the use of oral hygiene supplies. SPSS WIN 12.0 program was used to make a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Concerning an intention of treatment for oral malodor, 37.4% didn't intend to receive treatment even in case of having bad breath. 28.5% didn't yet have any definite idea about that, and 20.7% had no mind to do that at all. 10.6% had an intention to receive treatment, and 2.8% want to receive treatment. 2. As for how to cope with oral malodor in case of suffering from it, 47.5% chewed gums or ate candy. 25.1% scarcely care about that, and 15.6% covered their mouth whenever they spoke. 9.5% had little confidence about talking to others, and 2.2% found it difficult to build an amicable interpersonal relationship. 3. Concerning what to do about another person's oral malodor, 40.8% did nothing, and 19% talked to the person about that. 17.3% gave him or her chewing gum. Among their oral health characteristics, toothbrushing frequency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way they responded to another person's oral malodor(p<.05). 4. As to subjective feelings about another person's oral malodor, 41.9% just found it bearable. 36.9% were a little displeased, and 9.5% never felt bad about another person's bad breath. 8.9% tried to avoid the person, and 2.8% advised him or her to chew gum. 5. Regarding an intention of participating in a oral malodor program, 46.9% had no idea about that. 31.3% intend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nd 13.4% wanted to do that without fail. 6.1% had no mind for that, and 2.2% were never going to do that. Among characteristics of the user oral hygiene device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whether to participating in the oral malodor program(p<.05).

  • PDF

병원 성과 비교를 위한 급성기 뇌졸중 사망률 위험보정모형의 타당도 평가 (Evaluation of the Validity of Risk-Adjustment Model of Acute Stroke Mortality for Comparing Hospital Performance)

  • 최은영;김선하;옥민수;이현정;손우승;조민우;이상일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59-372
    • /
    • 2016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isk-adjustment models for acute stroke mortality that were based on data from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HIRA) dataset an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se models for comparing hospital performance. Methods: We identified prognostic factors of acute stroke mortality through literature review. On the basis of the avaliable data, the following factors was included in risk adjustment models: age, sex, stroke subtype, stroke severity, and comorbid conditions. Survey data in 2014 was used for development and 2012 dataset was analysed for validation. Prediction models of acute stroke mortality by stroke type were developed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 performance was evaluated using C-statistics, $R^2$ values, and Hosmer-Lemeshow goodness-of-fit statistics. Results: We excluded some of the clinical factors such as mental status, vital sign, and lab finding from risk adjustment model because there is no avaliable data. The ischemic stroke model with age, sex, and stroke severity (categorical) showed good performance (C-statistic=0.881, Hosmer-Lemeshow test p=0.371). The hemorrhagic stroke model with age, sex, stroke subtype, and stroke severity (categorical) also showed good performance (C-statistic=0.867, Hosmer-Lemeshow test p=0.850). Conclusion: Among risk adjustment models we recommend the model including age, sex, stroke severity, and stroke subtype for HIRA assessment. However, this model may be inappropriate for comparing hospital performance due to several methodological weaknesses such as lack of clinical information, variations across hospitals in the coding of comorbidities, inability to discriminate between comorbidity and complication, missing of stroke severity, and small case number of hospitals.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nhance the validity of the risk adjustment model of acute stroke mortality.

항공수심라이다 데이터 해저면 포인트 클라우드 분리를 위한 CSF 알고리즘 적용에 관한 연구 (Segmentation of Seabed Points from Airborne Bathymetric LiDAR Point Clouds Using Cloth Simulation Filtering Algorithm)

  • 이재빈;정재훈;김혜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9
    • /
    • 2020
  • 항공수심라이다(ABL: Airborne Bathymetric LiDAR)는 녹색 레이저(green laser)를 사용하여 연안 및 하천에 대해 해저지형과 수심에 대한 관측을 동시에 수행하는 첨단측량 기술이다. 항공수심라이다를 활용하여 해저지형 정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취득된 포인트 클라우드로부터 해수면과 해저면 점들을 분리하고 추출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기존의 해저면 점을 추출하기 위한 연구는 주로 waveform 분석(analysis)을 기반으로 수행되었다. 하지만 일반 사용자의 경우 waveform 데이터에 대한 접근성이 낮으며, waveform 분석 기반 해저면 추출 방법론에 대한 보완도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항공수심라이다 데이터의 지형학적 정보를 사용하여 해저면 점들을 추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지면분리(ground filtering) 기법인 CSF (Cloth Simulation Filtering) 알고리즘을 RIEGL VQ880 항공수심라이다 시스템으로부터 취득된 데이터에 적용하고 효용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CSF 알고리즘을 항공수심라이다 데이터의 해저면 포인트 추출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간호학생의 기본간호수행능력 영향요인 분석 (Aanalysis on th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Basic Nursing Skills)

  • 송미령;김은만;유수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390-401
    • /
    • 2012
  • 의료분야의 전문화와 정보화로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지식과 간호기술은 증가하고 복잡해진 반면, 임상에서의 실습교육이 위축되면서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과 방법의 강화 및 개선에 대한 다양한 요구와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기본간호수행능력과 관련된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4년제 간호학과에서 기본간호학 과목을 수강하는 2학년 학생 중 연구참여에 동의한 총 10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질문지법으로 자료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대인관계, 성적 및 실습실 개방 자율실습 여부에 따라 기본간호수행능력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간호학생의 기본간호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만족도,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주도성 이었으며, 이들 변인은 기본간호수행능력 총 변량의 49.9%를 설명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학생에서 기본간호수행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실습실 개방 자율 실습방법을 적용하고 간호학생의 지각된 대인관계 정도와 성적 특성을 고려하며, 자기주도성, 전문직 자아개념, 의사소통능력 및 학습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서 blended learning을 제언한다.

개발도상국의 빗물식수화시설 사업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 분석 : 베트남 사례를 중심으로 (Analysis of Local Resident'S Perception on 'Rainwater for Drinking' Project in Developing Countries : Focusing on Vietnam Case Studies)

  • 이민주;한무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8
    • /
    • 2017
  • 식수부족문제는 지표수와 지하수의 오염, 수처리의 어려움, 기반시설의 부재로 인해 많은 개발도상국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빗물을 모아 식수로 이용하는 빗물식수화시설(RFD)이 매우 효과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빗물식수화시설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빗물식수화시설은 지역주민이 사업 종료 후부터 스스로 시설을 운영하도록 하기 때문에 빗물식수화시설 사업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에서 빗물식수화시설을 사용하는 총 209명의 현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여 지역주민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지역주민들은 빗물식수화시설 사업의 효과성에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41.9%), 빗물식수화시설 사업에 참여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58.9%). 지역주민이 빗물식수화시설 사업에서 가장 기대하는 세가지 요소는 '안전한 식수의 공급', '마을공동체의 활성화', '빗물식수화시설의 확산'순으로 나타나 빗물식수화시설 사업에의 참여를 통해 안전한 식수를 공급받는 것을 가장 기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빗물식수화시설 사업에서 가장 우려하는 세가지 요소로는 '빗물의 수질', '빗물식수화시설의 설치 기술', '지역주민의 참여도'순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빗물식수화시설 사업의 종료 후의 빗물 수질과 시설의 유지관리를 우려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빗물식수화시설 사업의 종료 후에도 지역주민이 성공적으로 빗물식수화시설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빗물식수화시설의 수질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간편한 수질 측정 도구의 개발과 지역주민 스스로가 빗물식수화시설에 관심을 가지고 유지관리를 할 수 있도록 빗물식수화시설에 대한 정기적인 교육을 진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교사의 앱 개발 교육에 대한 관심도 분석: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Stages of Teachers' Concerns Regarding Education on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An Application of CBAM)

  • 윤성혜;강우리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09-517
    • /
    • 2018
  • 최근 메이커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앱 세대를 학습자로 맞이한 교육 현장에서 앱 개발 교육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새로운 교육을 현장에 도입하고 확산하는 것은 실천의 주체인 교사의 인식 변화를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장 교사의 앱 개발 교육에 대한 관심도를 Hall과 Hord(2015)의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앱 개발 교육의 확산에 기여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앱 개발 교육을 소개하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 2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대적 강도로 변환하였으며, 관심도 프로파일로 나타내었다. 또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여, 그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교사의 앱개발 교육에 대한 관심도는 0단계(지각)에서 가장 높고, 4단계(결과)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앱 개발 교육에 대해 지각은 하고 있으나, 이와 관련하여 충분한 정보를 갖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결과 또한 교사들이 앱 개발 교육의 교육적 가능성에는 공감하고 있었으나, 현장에서 활용하는 데 예상되는 어려움을 우려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들의 관심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교사교육을 통해 앱 개발 교육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가 제공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건설사업관리자(CMr) 측면에서의 WBS와 OBS의 실무적 활용도 분석 및 연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actical Utilization Analysis and Linkage Scheme of WBS and OBS from the Construction Manager (CMr) Perspective)

  • 양진국;서보람;이상범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57-64
    • /
    • 2020
  • 건설사업관리는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며, 그 중 작업분류체계(WBS)와 조직분류체계(OBS)의 구축은 핵심 업무의 하나이다. 하지만 현행 건설사업관리 업무에서는 WBS와 OBS의 실무적 활용도가 낮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WBS와 OBS의 이해도, 활용수준, 적용효과, 연계성을 분석하기 위해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건설사업관리자(CMr)가 적용할 수 있도록 WBS와 OBS의 표준화와 연계성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전문가 심층인터뷰와 워크샵을 통해 관리통제 요인을 추출한 후 AHP 중요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요도 분석 결과 WBS와 OBS의 연계성 강화와 WBS의 변경으로 인한 OBS 업데이트의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시된 결과는 직접적인 해결책은 아니지만, 건설관리자들이 고려해야할 기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초등학교 실과수업 기피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auses of the dislik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garding Practical Arts classes)

  • 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5
    • /
    • 2012
  • 본 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과수업 기피요인을 알아봄으로써 학생들이 실과수업에 보다 적극적이고 즐겁게 참여하게 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273명의 개방형질문에 대한 응답과 초등학교 교사 5인을 대상으로 한 면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NVivo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학생 자료 분석에 초점을 맞추었고, 학생 자료 분석을 통해 얻게된 변수를 중심으로 교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실과수업 기피요인 중 외적 요인에는 수업운영, 수업내용, 교수자료, 교사특성 등이 있었고 그 중 실습기구 부족이나 실과실 관련 문제와 같은 교수자료에 대한 언급이 제일 많았다. 내적 요인에는 기대에 대한 불만, 교과에 대한 부정적 인식, 학생 흥미 및 능력, 불안이 있었다. 둘째, 실과전담교사 유무에 따라 다른 기피요인을 살펴본 결과, 실과전담교사가 있는 학교의 초등학생들은 수업운영 및 내용, 교사특성에 대한 응답을 많이 하였으며, 실과전담교사가 없는 학교의 초등학생들은 실과실이 없기 때문이라는 답변을 많이 하였다. 학생들이 인식하는 기피요인 중에서 실습기구 및 시설 부족, 실습할 기회가 적어서, 불안 등은 교사 면담에서도 공통된 내용과 맥락적인 설명을 찾을 수 있었다.

  • PDF

전문대학 치위생과 학생의 학과선택 및 실습실에 대한 만족도 (A Study on Post-Admission Satisfaction Level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in Colleges)

  • 박일순;이경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49-35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to keep up with fast-changing environments in educating sector. Relevant literature and data were reviewed, an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dental hygiene juniors at seven two-year colleg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other regions,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for about three months from August through October, 2004, to assess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their major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it's concluded that in order to attract more new students and foster qualified students, dental hygiene practice labs should be improved on a large scale, and that there should be a great deal of investment in teaching faciliti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s for satisfaction with major choice, 57.5% of the students investigated, the largest percentage, expressed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27.8%, the second largest group, found their choice not to be bad. 2. Regarding satisfaction with the state of practice labs, 41.9% were pleased with practice labs. This rate was quite lower than that of nursing students, as 64.2% of nursing students were pleased with their practice labs.7) 3. As to satisfaction with individual practice labs, oral prophylaxis labs were considered most satisfactory, as 53.9% were satisfied with them. Digital radiation labs appeared to be satisfactory the least, which made 77.0% dissatisfied. 4. Whether there were any connections between their working experience as a clinical worker and satisfaction level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their satisfaction with major choice and the state of practice labs, the students who had ever worked as a clinical worker were relatively pleased with the state of practice labs. As for satisfaction with each practice lab, those who had ever served as a clinical worker before being admitted into college expressed more satisfaction with radiation practice labs(p<0.05) and digital radiation labs(p<.05) than the others who hadn't. The gap between the two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5. In regard to the causes of dissatisfaction with practice labs, 93.7 and 80.0% were respectively dissatisfied with digital radiation labs and basic dental hygiene labs because their colleges were devoid of those labs. 51.6%, the largest group, found oral prophylaxis labs unsatisfactory because of their frequent breakdown. In the event of most of the other practice labs, the greatest percentage were discontented due to a shortage of equipment.

  • PDF

음식섭취행동이 식습관 및 구강건강의 주관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eating behavior on dietary habits and subjective oral health evaluation)

  • 임근옥;우승희;곽정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41-451
    • /
    • 201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ating behavior of patients in a bid to facilitate the improvement of their eating behavior, as eating behavior seemed to affect oral health and dietary habits.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35 patients who visited the dental hygiene practice lab at C college in South Jeonla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12.0. Results : 1. When their self-awareness of dietary habits and oral health was checked in consideration of eating behavior, those who thought they had very good dietary habits and were in good oral health had meals three times a day. Their eating time was very irregular, and they took 15 to 20 minutes to eat. Their overeating frequency was three or four times a week, and their frequency of eating between meals was once or twice a week. 2. On the contrary, the daily eating frequency of the patients who found themselves to have very bad dietary habits and to be in bad oral health was not fixed, and their eating time was neither regular nor irregular. They spent less than 10 minutes having a meal, and their overeating frequency was once or twice a week. Their frequency of having a snack was three or four times a week, and as for food preference, they had a liking for meat. 3. The patients considered themselves to be in better health when they had balanced meals and good eating behavior, namely good dietary habits. And they rated their own dietary habits higher when they were in a good oral state, had no experiences to feel pain in the mouth and didn't receive any dental treatment, namely when they were in good oral health. Conclusions :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ating behavior on oral health awareness. Another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geographic scope was just confined to an urban community in South Jeonla Province without checking any possible regional gaps. However, it's quite evident that eating behavior exerts an influence on oral health awareness, and it seems worth doing to examine a larger number of subjects by utilizing objective oral health guidel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