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female adult

검색결과 1,363건 처리시간 0.037초

동해안 북부 자망에서 어획된 명태(Theragra chalcogramma)의 생식소 성숙과 포획 후 경과시간에 따른 성숙란의 RNA/DNA ratio 및 냉장보관 정자의 활력 (Gonadal Maturation, RNA/DNA Ratio of Mature Eggs, and the Effect of Refrigeration on Egg Viability and Sperm Motility in Korean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 서주영;권오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96-301
    • /
    • 2017
  • We conducted a study to 1) determine the indicators of gonadal maturity in male and female Korean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for the purposes of artificial insemination; 2) establish the RNA/DNA ratio of mature eggs in this species; and 3) monitor the effect of refrigerated storage on egg viability and the motility of sperm collected from dead adult males. During the spawning season, the color of female gonads changed from orange to transparent, and that of male gonads changed from pale orange to milky white. The DNA content and RNA/DNA ratio of mature eggs were maintained without significant changes for approximately 6 h when eggs were preserved at $4^{\circ}C$. Sperm could be obtained from both milt and undiluted semen. Sperm obtained from milt ceased moving on the second day after isolation, while over 60% of sperm obtained from semen showed movement until the 13th day. Seven attempts were made to artificially inseminate mature eggs, of which two resulted in successful fertilization. The successful inseminations produced 94,000 and 5,000 fertilized eggs, respectively. This study shows that artificial insemination of walleye pollock is a viable strategy when natural propagation is not possible.

성인의 폭음 관련요인: 성별, 연령별 차이 (Risk Factors for Heavy Episodic Drinking among Korean Adults: Differences by Gender and Age)

  • 임미영;이소영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65-279
    • /
    • 2015
  • Purpose: Most research on risky drinking among adults in Korea has focused on problem drinking and high-risk drinking. This paper examines the nature of heavy episodic drinking_(HED) among adults and seeks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HED by analyzing differences by gender and age. Method: Participants were 3,886 adults aged 19-64 years from the database of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KNHANES-V, 2010).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the Rao_Scott chi-square test, an ANCOVA, and logistic analysis with SAS 9.2. Results: Individuals between 19 and 29 years of age had the highest HED among all age groups. Individuals between 40 and 49 (male adults) and those between 30 and 39 (female adults) showed HED associated with stress, suicidal ideation, smoking, and other health behavior-related variables. Risk factors that affected HED in male adults were age, educational status, and current smoking, while for female adults, the factors were age, educational status, employment, marital status, and current smoking.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ppropriate intervention programs that abate negative emotions and lessen the risk of HED in adults with consideration to gender and age differences.

한국 성인 여성의 질에서 발견된 요충 성충 (Live female Enterobius vermicularis in the posterior fornix of vagina of a Korean woman)

  • 정동일;공현희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1호
    • /
    • pp.67-72
    • /
    • 1997
  • 1995년 12월 2일 33세의 한국 여성이 성교 후 점상 출혈과 복통을 주소로 경상북도 구미시의 한 산부인과의원을 방1문하였다. 환자는 2회의 출산을 하였고. 7년 전 난관결찰을 시술 받은 바 있으며. 월경 시에는 요통이 있었다고 하였다. 환자 질 분비물은 악취가 났으나 가려움증을 호소하지는 않았다. 질의 후원개에서 채취한 검체 도말에서 요충란이 관찰되었다. 질 내시경으로 질의 후원개에서 살아있는 충체를 검출하였고. 형태학적 관찰에 의거하여 요충의 자충으로 동정하였다. 이 증례는 한국 성인 여성에서 발생한 요충의 질내 이소기생증의 제1례이다.

  • PDF

프루텔고치벌(Cotesia plutellae) 폴리드나바이러스 복제와 산란 습성 (Polydnavirus Replication and Ovipositional Habit of Cotesia plutellae)

  • 김용균;배상기;이선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25-231
    • /
    • 2004
  • 내부기생봉의 일종인 프루텔고치별(Cotesia plutellae)이 배추좀나방(Plutellae xylostella)을 대상으로 생물적 방제제로 이용되고 있다. 이 기생봉은 생식기관에 폴리드나바이러스를 공생시키고, 이 바이러스의 존재는 기생봉의 성공적 기생에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암컷 프루텔고치벌 성장에 따라 플리드나바이러스의 복제시기를 결정하였으며, 또한 교미나 기주 요인에 따른 암컷의 생식 능력을 분석하였다. 기생봉은 $25^{\circ}C$ 발육조건에서 용화 2일째 겹눈과 날개와 같은 성충조직을 발달시키기 시작했으며, 5일째에는 촉각을 포함한 모든 성충조직이 발달되어 우화 직전 단계의 모습을 보였다. 프루텔고치벌 폴리드나바이러스에 대한 다클론성항체에 의한 면역블로팅 분석은 용화 4일째에서 바이러스 복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바이러스 입자들은 용화 5일째 산란관 내부에서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되었다. 우화후 난소소관의 길이는 변하지 않았지만, 독샘과 난소받침의 크기는 증가했다. 교미한 암컷은 $25^{\circ}C$에서 약 8일관 생존하였으며, 초기 4일동안 집중된($60\%$ 이상) 산란을 보였다. 미교미 암컷은 교미한 암컷에 비해 낮은 산란을 보였으며, 이 미수정난은 모두 수컷으로 발육하였다. 프루텔고치벌은 배추좀나방과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모두를 기생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추좀나방에서 더 빠르고, 높은 기생율을 보였다.

고정식 교정장치 부착환자에서 음파칫솔의 치면세균막 제거 효과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plaque removal by sonic toothbrush for patients with a fixed orthodontic appliance)

  • 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89-195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고정식 교정장치 부착환자에서 음파잇솔질과 수동잇솔질의 치면세균막 제거능력을 비교, 평가하여 교정치료시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구강위생 관리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비발치 환자로 상, 하악 제 2대구치까지 고정식 교정장치를 부착한 청소년기 아동(남자 23명, 여자 37명)과 성인(남자 15명, 여자 45명)을 대상으로 하여 각각을 수동잇솔질과 음파잇솔질 군으로 분류하였다. 음파칫솔은 Philips oral healthcare HX-4401을 사용하였으며 잇솔질시간은 음파, 수동 모두 2분으로 표준화시켰다. 잇솔질 후 치면세균막 지수는 Wilkins의 PHP를 변형시켜 측정하였다. 각 군의 치면세균막 지수를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청소년, 성인 모두에서 음파잇솔군의 치면세균막지수 감소효과가 수동잇솔군에 비해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청소년 : p<0.01 성인 : p<0.05). 2. 청소년과 성인을 구분하여 치면세균막지수 감소양상을 비교하였을 때 청소년에서 더 큰 감소 효과를 보였다.(p<0.01). 3. 같은 칫솔종류를 사용할 경우 청소년, 성인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저서성 단각류 Pontogeneia rostrata의 종내 대상분포와 주야-조석주기 (Intraspecific Zonation of the Benthic Amphipod Pontogeneia rostrata in Relation to Diel and Tidal Cycles)

  • 유옥환;서해립;서호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00-507
    • /
    • 1998
  • 돌산도 모래해안 쇄파대에서 1993년 1월 소조와 대조때 1조석주기 동안 채집한 저서성 단각류 시료를 가지고. 주야와 조석주기에 따른 Pontogeneia rostrata의 종내 대상분포를 조사했다. p. rostrata의 밀도는 대조보다는 소조때 높았다. 개체군을 성체 암$\cdot$수컷과 미성체로 나누어 보면. 미성체와 수컷의 밀도가 각각 소조와 대조때 가장 높았다. 체장빈도 자료에 따르면. 겨울철에 미성체의 사망이 큰 것 같다. 야간 표층에서 소조때는 미성체 그리고 대조때는 성체암$\cdot$수컷이 유의하게 많았다. 이것은 미성체와 성체의 수직이동 양상이 조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여겨 진다. 대조 밀물때 평균해수면 (MSL) 위에 나타난 p. rostrata의 $90\%$ 이상이 성체였다. MSL 위에서 암컷/수컷의 비율이 감소했고. 암컷의 체장은 변동이 없었지만 수컷의 체장은 증가했다. 이것은 몸이 큰 수컷의 활발한 이동습성을 가리킨다. 이런 행동은 큰 수컷의 분포역 확장으로 이어지고, 교미와 섭식경쟁에 있어 큰 수컷에게 유리할 것으로 여겨진다. 성체가 대조 야간에 MSL 위 100cm에서 채집되기도 하지만. 나머지 기간에 p. rostrata 개체군은 대부분 MSL 아래에 머물렀다. 분포중심은 MSL 아래 50cm에서 200cm 사이였다.

  • PDF

성인형 알렉산더병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및 추적 관찰상의 변화: 증례 보고 (Characteristic MR Imaging Features and Serial Changes in Adult-Onset Alexander Disease: A Case Report)

  • 오하윤;윤라경;이지예;권오현;이웅우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3호
    • /
    • pp.736-744
    • /
    • 2023
  • 성인형 알렉산더병은 운동 실조, 경련성 마비 또는 뇌간 징후를 나타내는 드문 유전 질환이다. 성인형 알렉산더병의 진단은 흔히 자기공명영상 검사 소견을 통해 내려진다. 이에 저자들은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이하 GFAP) 유전자 변이 분석을 통해 확진된 37세와 61세 성인형 알렉산더병 환자의 특징적인 자기공명영상 소견과 추적 검사상 변화 사례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자기공명영상에서 환자들은 전형적인 뇌간 위축과 백질 이상 소견을 보였다. 특징적인 자기공명영상을 바탕으로 추정진단을 내렸으며 이후 GFAP 유전자 변이 분석을 통해 확진되었다. 또한, 추적 관찰 검사에서 연수와 상부 경부 척수 위축의 진행을 보였다. 이러한 성인형 알렉산더병의 특징적인 자기공명영상 소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감별진단을 위한 GFAP 유전자 검사 시행 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정상교합자 설측치관형태 및 설측치열궁형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LINGUAL SURFACE OF CROWN AND LINGUAL ARCHFORM OF KOREAN ADULT WITH NORMAL OCCLUSION)

  • 김영림;경희문;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09-221
    • /
    • 1995
  • 한국인에게 적합한 설측교정장치와 이상적인 설측 치열궁 아치와이어 제작의 기초자료를 얻기위하여 정상교합자 경석고 모형 30개를 재료로 하여 설측치관의 형태와, 후지타 설측 브라켓을 위치시킨 모형에서 설측치열궁 형태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각 치아에 대한 치관의 근원심 경사도와 설면의 순설측 치관 경사도의 평균치를 얻었다. 각 치아에 대한 브라??? 위치에서 설면의 수평 및 수직적 형태를 얻은 결과 대구치, 소구치, 견치는 상하악이 비슷한 모양을 보였으며, 강하악의 중절치와 측절치도 비슷한 모양을 보여 각각 브라켓 기저부를 공유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브라켈 부착위치에서의 평균 설측치열궁 형태를 얻은 결과, 그 형태는 전치부는 반원형이며 견치와 소구치 사이에 강한 오프??? 밴드가 있는 버섯 형태로서 소구치간 및 제2소구치와 대구치간에도 오프??? 밴드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간의 평균 설측치열궁 형태는 상악은 거의 일치하였고 하악은 여자가 남자보다 다소 작은 형태를 나타내었다.

  • PDF

잣나무 수형목(秀型木) clone의 개화특성(開花特性) (Characteristics of Flower of Plus Tree Clones of Pinus koraiensis S. et Z.)

  • 한상섭;이상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3호
    • /
    • pp.290-301
    • /
    • 1990
  • 1983년도(年度) 보고(報告)된 잣나무 수형목(秀型木) 167 clone의 clone 보존원(保存園)에서 1986년(年)부터 1989년(年)까지, 개화시기(開花時期), 개화율(開花率), 개화량(開花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자화(雌花)가 조기개화(早期開花)하는 소수 clone과 웅화(雄花)가 늦게 비산(飛散)하는 소수 clone들 사이에는 자연교배(自然交配) 될 수 없는 clone들도 있었다. 2) 웅화(雄花)의 개화율(開花率)은 낮았으며 자화(雌花)의 개화율(開花率)보다 유전적(遺傳的)인 영향을 많이 받고 있었다. 3) 자화(雌花)와 웅화(雄花)의 대화량(開花量)은 소수 clone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있었다. 4) 자화(雌花)와 웅화(雄花)의 개화량(開花量)은 상호(相互) 상관(相觀)이 없었으며 167 clone중 42 clone은 웅화(雄花)가 개화(開花)하지 않았다. 5) 167 clone의 개화량(開花量)은 L.S.D 5% 검정(檢定)에 의하여 자화(雌花)는 3 group, 웅화(雄花)는 4 group으로 분류(分類)되었다. 6) 주성분(主成分) 분석(分析)에 의하여 자화(雌花)와 웅화(雄花)가 다량개화(多量開花)하는 clone을 선발(選拔)할수 있었다. 7) 자화(雌花)의 개화율(開花率)과 개화량(開花量)을 기준으로 할 때 Juvenile phase 기간(期間)은 접목(接木)후 4년(年)까지 였으며 transition 기간(期間)은 접목(接木)후 5년(年)부터 7년(年)까지 adalt phase 기간(期間)은 접목(接木)후 8년(年)부터였다. 8) 잣나무 접목묘(接木苗)는 실생묘(實生苗) 보다 6년이상(年以上) 빠르게 개화(開花)하였다.

  • PDF

Effect of cold stress on infanticide by female Swiss albino mice Mus musculus: a pilot study

  • Zafar, Tabassum;Naik, Ab Qayoom;Shrivastava, Vinoy K.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0권4호
    • /
    • pp.7.1-7.5
    • /
    • 2018
  • Background: Mice are widely accepted research models of great clinical significance. Maintenance of laboratory mice breed is an essential aspect for performing research activities in various fields of science. Infanticide is one of the prominent causes of litter loss during maintenance of laboratory mice stock. The present study is an effort to monitor the effect of change in ambient temperature of female mice below the normal range on cannibalism and infanticide during early postparturition phase. Adult female Swiss albino mice have been divided into two groups of control and treatment. On the day of litter group one was maintained under controlled temperature conditions (minimum $20^{\circ}C$ to maximum $23^{\circ}C$) throughout, while female mice belong to group two have been exposed to variation of room temperature (maximum $15^{\circ}C$ to minimum $10^{\circ}C$ for two nights and one day) until 36 h postparturition. Results: The effects of temperature changes were observed on the infanticide behaviour of dams along with the survival of pups in early postparturition phase till 36 h after delivery. Th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P < 0.05) was reported in infanticide behaviour of dams when control and treatment group was compared. It is observed that decrement in surrounding temperature promotes decrement in the ambient body temperature of dams during early postparturition. It is proposed that alteration of hypothalamic homeostasis due to temperature change induces cannibalism and infanticide behaviour. Lack of thermoregulation during early postparturition creates the sense of insecurity, in-satiety, anxiety and stress. Conclusions: Authors strongly recommend the maintenance of body and surrounding temperature to prevent infanticidal behaviour and cannibalism within Swiss albino mice population. Further investigations are advisable to authenticate the active behavioural and biochemical pathway behind the phenome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