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endemic plants

검색결과 525건 처리시간 0.025초

Analy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 in Five Populations of Zabelia tyaihyonii in South Korea

  • Nam, Jae Ik;Kim, Mun Seop;Song, Jeong Ho;Seo, Jeong Min;Choi, Go Eun;Kim, Young Ki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19-628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Native to the limestone zones of the Korean Peninsula, Zabelia tyaihyonii is a popular plant for landscaping. As it is now classified as a rare species, the conservation of its genetic resources is necessary. Methods: In this study, which aimed to understand the morphological variation of Z. tyaihyonii, 18 characteristics of Z. tyaihyonii from five habitats were examined. Results: Of these 18 characteristics, 16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ites,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ranged from 5.4% (for corolla lobe number) to 31.3% (for flower number). Notable variations were observed in the size of flower and calyx lobe. When the corolla length and calyx lobe length were used as the classification key of Z. tyaihyonii, the sites were divided into those with small, intermediate, and large values. Hair was observed on the filament of all samples, a finding which conflicts with an earlier report. Rather than classifying Z. tyaihyonii into different species on the basis of corolla length (COL) and calyx lobe length (CALL) values, we recommend modifying the species description to incorporate the variation in these characteristics of interes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first main component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traits related to the size of the calyx lobe (length: 0.819, width: 0.758), and the second main component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traits related with the size of the inflorescence (length: 0.790, width: 0.626). Conclusion: Several notable variations were identified among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inflorescence and calyx lobe. There is little genetic exchange among groups, or each group is influenced by micro environmental factors, because sites that are located nearby.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COL and CALL, which is used as the classification key for Z. tyaihyonii, was divided into small group, large group, and intermediate group, regardless of the sites' geographical distance.

한국산 상사화속(Lycoris, 수선화과)의 분류학적 재검토 (A taxonomic review of Korean Lycoris (Amaryllidaceae))

  • 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26
    • /
    • 2004
  • 한국산 상사화속 식물을 분류학적으로 재검토하여 5종 2변종으로 재정리하였다. 이중 한국 특산식물은 진노랑상사화, 위도상사화, 붉노랑강상사화, 제주상사화, 백양꽃 5종이다. 또한 위도상사화, 붉노랑상사화, 제주상사화는 acrocentric 염색체를 가진 식물과 metacentric과 telocentric 염색체를 가진 식물간의 자연교잡을 통해 형성된 교잡종임을 지지해 주고 있다. 붉노랑상사화의 holotype 표본으로 "M. Kim, Aug. 20, 1987"표본을 새로이 지정하고 재명명하였다. 위도상사화는 붉노랑상사화와 뚜렷이 구별되어 종으로 승격하고 재명명하였다. 정확한 종동정을 위해 검색표와 각 분류군의 기재문을 제시하였다.

한반도 한지선호식물의 분포와 고환경 (Present Distribution of Cryophilous Plants and Palaeoenvironment in the Korean Peninsula)

  • Kong, Woo-seok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3
    • /
    • 1991
  • 본 연구는 한반도 내에서 한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진 극지-고산식물과 고산식물의 분포를 고환경과 관련시켜 고찰하여, 이러한 식물들의 기원, 이동 그리고 도피과정을 밝히고, 아울러 한반도의 식생변천사를 파악함을 목표로 한다. 현재 한반도에는 75종의 극지-고산식물과 239종의 고산식물 그리고 105종의 한국 특산 고산식물등 약 419종의 한지선호식물이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식물들은 주로 고산을 중심으로 격리 분포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첫째, 플라이스토세에 빙기가 다가오면서 극지와 그 주위에서 살던 식물들이 혹독한 추위와 건조를 피해 보다 양호한 생육 적지를 찾아 하산하거나 남하하여 이동하던 중, 한반도가 이들에게 일차 도피처가 되었던 것으로 본다. 그 후 빙기가 끝나고 간빙기나 후빙기에 들어서면서 기후가 온난해져 이러한 식물들은 기온 상승에 따라 발생되는 생육환경변화와 난지선호식물들에 밀려 고산이나 북방으로 이동하여 현재 격리되어 분포하는 곳에 이차 도피처를 마련한 것으로 간주된다 : 둘째, 특히 후빙기에 들어서 기후 온난화에 의한 저지와 산록지의 삼림발달은 빙기중에는 넓은 지역에 걸쳐 광분포하던 한지선호식물들을 격리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 세째, 후빙기에 기후가 온난해지면서 사라지거나 축소된 한지선호식물 서식처도 이들이 격리되어 분포하는데 작용한 것으로 본다. 아울러 한반도 북부지방에 국한해서 139종의 고산식물이 출현하는 요인은 첫째, 이 지역과 동아시아 지역 사이에 고산식물의 교류가 용이했고 : 둘째, 북부지방에 산재하는 고산이 후빙기에 한지선호식물들이 도피해 생존할 장소를 제공해 주었으며 ; 세째, 산지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 필요할 때 식물들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었으며 ; 네째, 북부 산지에 다양한 환경과 서식처가 마련되었기 때문으로 본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기온 온난화 추세가 계속되면 한반도를 전세계적으로 혹은 동아시아에서 분포상 남한계로 삼는 많은 식물들이 멸종할 위기를 맞게될 것으로 사료되어 보존을 위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 PDF

서해 5도의 식물상 (Flora of the Five West Sea Islands in Korea)

  • 손동찬;김현준;이동혁;정수영;박수현;장계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34-466
    • /
    • 2016
  • 서해 5도 지역에 자생하는 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백령도, 소청도는 2015년 5월부터 8월까지 현지조사를 실시하고, 대청도, 연평도, 소연평도는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KH)에 보관 중인 증거표본을 재동정하여 정리한 결과 서해 5도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108과 420속 728종 6아종 86변종 14품종의 총 834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이들 중에는 한국 특산식물 8분류군, 희귀식물 19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27분류군(I, II등급 제외)이 확인되었으며, 107분류군의 귀화식물이 조사되었다. 서해 5도 지역에서 자생하는 특기할 만한 식물들 중 특히 용가시나무, 실부추, 참범꼬리, 멱쇠채, 대청부채, 정향풀 등은 개체수가 적거나 식물지리학적으로 중요한 식물로서 자생지 보전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후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미선나무의 분포변화 예측 (Projection of climate change effects on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Abeliophyllum distichum in Korea)

  • 이상혁;최재용;이유미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2호
    • /
    • pp.219-225
    • /
    • 2011
  • Changes in biota, species distribution range shift and catastrophic climate influence due to recent global warming have been observed during the last century. Since global warming affects various sectors, such as agriculture and vegetation, it is important to predict more accurate impact of future climate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bserved distribution of Abeliophyllum distichum in the Korean peninsula. For this purpose, two period (present and future) climate data were used. Mean data between 1950 and 2000, were used as the present value and the year 2050 and 2080 data from A1B senario in IPCC SRES were used for the future value. Potential habitation is analyzed by MaxEnt(Maximum Entropy model), and Abeliophyllum distichum's coordinates data were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independent variables are composed of environmental data such as BioClim, altitude, aspect and slope. The result of six types GCM mean calculation, the potential habitability decreased by 40-60% of the average existing distribution. The methodogies and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applicable to the climate changing adaptation stratiegies for the biodiversity conservation.

체세포분열과 감수분열 및 bicolor FISH를 이용한 섬시호의 세포유전학적 분석 (Cytogenetic Analysis Using Mitosis, Meiosis Chromosomes and bicolor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of Bupleurum latissimum Nakai)

  • 김수영;방재욱;이중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354-359
    • /
    • 2006
  • Chromosome analysis using mitosis, meiosis and bicolor FISH were carried out in Bupleurum latissimum Nakai, which is one of the endemic plants in Ulleung island of korea. The somatic methaphase chromosomes number of this plant was 2n = 2x = 16 and the chromosome complements consisted of six pairs of metacentrics and two pairs of submetacentrics. The size of chromosomes ranged 2.40${\sim}$4.20 ${\mu}$m and NOR (nucleolus organizer region) chromosome did not observed using conventional staining. In meiosis chromosomes, metaphase-I and anaphase-I were observed. Metaphase-I anaphase-I showed 8 bivalents and chromosomes migration to make two daughter cells. Using bicolor FISH, one pair of 5S and 45S rDNA signals were detected on the centromeric region of chromosome 3 and the end of short of chromosome 2,respectively. We also observed the NOR using 45S rDNA probe.

Characterization of soil, vegetation, and soil fungal community in Cheongsu Gotjawal Forest

  • Kim, Jong-Shik;Kim, Dae-Shin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489-1495
    • /
    • 2020
  • Gotjawal, Jeju Island, Korea is a lava-formed forest with low soil content that is unique in the world. Around 6 percent of the Jeju Iand is classified as a lava-based specific forest. The forest has been gradually disappearing during the last several decades, with approximately one half having been destroyed. Our study undertakes a detailed analysis of the landscape of the lava subsidence, and describes the fungi, vegetation, and soils of Cheongsu Gotjawal. Soil samples from the Gotjawal were collected, and soil analyses as well as pyrosequencing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gene for fungal communities were performed. Soil fungal communities are represented by Discisedars, Fusarium, Pleochaeta, and Fuscoporia genera. Endemic vegetation of the Gotjawal includes the plants Pleris critical, Machilus japonica, Quercus glauca, Arachniodes aristata, and Neocheiropteris ensata. Results of soil analysis indicate sandy loam with 31.70% organic matter, and 1.36 mg/kg of total nitrogen. This fundamental information can help understand the invaluable and unique nature of Cheongsu Gotjawal, and the necessity for more studies on Gotjawal.

Biological Resources Potential and the Recent Stat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Indonesia

  • Park, Chang-Ho;Junaedi, Ahmad;Lee, Mi-Ra;Lee, Yeon-Hee
    • Interdisciplinary Bio Central
    • /
    • 제2권4호
    • /
    • pp.11.1-11.8
    • /
    • 2010
  • Indonesia is a mega-biodiversity country having at least one trillion US Dollars value of biological resources per year over the next 20 years. Indonesia is home to 11 percent of the world's flowering plant species and 12 percent of all mammals. Many of Indonesia's species and more than half of the archipelago's endemic plant species are found nowhere else on the Earth. This information is just a small portion of all higher plants and animals being found in Indonesia. Former studies described that total number of species in Indonesia is estimated more than 1,000,000 and most of them remain unknown scientifically. Most of lower plants and animals have not been studied yet, so that greatest portion of Indonesia's biological resources has never been assessed with respect to its economic value or conservation status. Many developed countries are building cooperation with Indonesia on resources, mainly in the fields of grant aid, socio-economic services, R & D, researcher exchange, technology transfer, infrastructure, education/training, finance, etc. Indonesia will obtain greater benefits and management of its biological richness via increasing its international capacity to add value and information to its biological diversity. These goals can be achieved by close international collaboration on search of important biological resources and other bioactive products that have potential economic values. Development of biological resource-based technology stands as the industry of the $21^{st}$ century and, therefore, Indonesia has a unique opportunity to lead the process in the world.

비룡산 신갈나무림의 식물 다양성 (Plant Diversity of Qurecus mongolica Forest in Mt. Biryong)

  • 김준수;홍진기;김경수;조용찬;배관호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3호
    • /
    • pp.9-18
    • /
    • 2011
  • 본 연구는 경상북도 봉화군 비룡산 일대의 신갈나무림을 대상으로 하층수관층에 출현하는 식물 다양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종-면적 곡선의 분석결과 신갈나무림 내의 식물다양성의 분석에 적정 크기의 방형구를 설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5개 조사구 전체의 소산식물은 47과 80속 91종 11변종 2아종 3품종으로 총 107분류군이다. 본 조사에서 기록한 식물종 중 우리나라의 특산식물은 지리대사초, 고광나무, 병꽃나무로 총 3종이다. 한편 희귀식물로는 꼬리진달래 1종 뿐이다. 생육형은 광엽초본에 해당하는 식물종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관목, 교목 순이었다.

한국 전통사찰 경내 식재실태 및 식재정비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Planting Status and Maintenance Plans of Traditional Korean Temples)

  • 이선희;진혜영;이현채;문애라;최우경;송유진;송정화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3-70
    • /
    • 2016
  • 한국의 사찰정원은 자연과의 조화로운 삶을 추구하는 조상들의 지혜가 반영되어 있는 전통정원 중의 하나로, 전통사찰은 종교적 공간으로도 그 가치가 높지만 지리적 이점으로 주변경관이 아름다운 곳에 입지해 있기 때문에 종교적 공간으로써 사찰뿐만 아니라 경관감상을 위해 국내 외적으로 관심과 방문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많은 사찰정원은 전통적 공간과 어울리지 않는 식물들의 무분별한 식재로 전통적 공간으로써 본래의 가치와 의미를 잃어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역사 문화를 간직한 사찰이 세계화에 앞서 전통성을 유지하기 위해 전국 전통사찰 51개소를 대상으로 사찰 경내 식재현황을 조사하였다. 식재현황 조사 결과, 사찰에 식재된 식물은 총 207종으로 그 중 자생식물은 128종(61.84%), 재배식물은 76종(36.71), 귀화식물은 2종(0.97%), 도입식물은 1종(0.48)으로 자생식물의 식재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전국 사찰에 가장 많이 식재된 상위 3종으로는 소나무(46개소), 느티나무(38개소), 은행나무(36개소)였다. 희귀식물로는 검팽나무, 구상나무 등이 조사되었으며 이는 전체식물 중 5.3%에 해당되며, 한국의 특산식물로는 병꽃나무, 오동나무 등이 조사되었으며 이는 3.4%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연꽃, 파초, 불두화와 같이 불교와 관련이 있는 수종의 비율은 적었는데, 이로 미루어 볼 때, 전통 사찰정원에는 불교적 의미가 있는 식물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통적 의미를 가지는 식물의 식재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역사적인 공간으로써의 특징이 더 크게 보였다. 위와 같은 식재현황을 바탕으로 사찰정원의 의미와 특징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찰의 진입로 영역, 경내 마당, 배경림과의 경계 및 화계 등 사찰 내부공간의 성격에 따라 식재 정비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새로운 한국사찰정원을 조성함에 있어 종교적, 역사적으로 의미가 있는 등 상징성 있는 식물의 식재 및 장소에 알맞은 수종을 식재할 것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