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endemic plants

검색결과 523건 처리시간 0.033초

한국의 희귀 및 특산식물에 대한 국내·외 연구동향 (Korean and Worldwide Research Trends on Rare Plant and Endemic Plant in Korea)

  • 채현희;김영철;손성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57-276
    • /
    • 2022
  • 희귀식물과 특산식물의 보전연구는 국가적 수준에서 식물다양성 유지를 위해 우선되어야 한다. 식물다양성 보전의 필요성에 따라 이들 분류군이 대상이 되는 다양한 연구가 보고되었다. 이러한 시점에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비교하고 평가할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로부터 국내 희귀식물과 특산식물의 효과적인 보전을 위해 필요한 연구항목과 연구의 방향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희귀식물 및 특산식물이 연구의 대상이 되는 전 세계적인 연구동향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특별히 한국에서의 연구동향을 수집하였다. 희귀 및 특산식물에 대한 연구 분야를 6개의 분야로 구분하였고 그 중 보전생태학의 분야는 '종 특성연구', '개체군 연구' 및 '생물학적 상호작용'의 세부항목으로 구분하였다. 수집된 연구를 종합해 볼 때 보전생태학적 연구는 권역별 그리고 국가별로 큰 차이가 있었다. 보전생태학 연구는 권역별로는 유럽과 북아메리카에서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국가별로는 일본과 미국에서 비율이 높았다. 반면에 한국은 기초생태학 연구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보전유전학, 복원생태학 순이었다. 한국에서 보전생태학 연구비율은 세계적인 수준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희귀식물과 특산식물 중에서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식물과 같은 특정 분류군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보전유전학 및 복원생태학 연구의 비율이 높았다. 세계적인 연구동향, 특히 보전생태학적 연구를 선도하는 유럽 및 북아메리카와 비교해 볼 때 우리나라에서 희귀 및 특산식물의 효과적인 보전을 위해서는 종 특성에 대한 정보 확보, 개체군 구조와 동태 그리고 식물과 식물, 동물과 식물과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보전생태학적인 연구의 비율을 높이는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종도와 용유도 일대의 식물상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Youngjongdo and Yongyudo)

  • 이혜정;박수현;하상교;황희숙;장계선;이유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839-867
    • /
    • 2012
  • 2009년 5월부터 동년 10월까지의 5회 조사, 그리고 2011년 7월 1회의 추가조사로 총 6회에 걸쳐 인천광역시 중구 영종도와 용유도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의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된 소산식물은 98과 352속 556종 4아종 73변종 11품종으로 총 644분류군이다. 이들 중 모래지치, 갯사상자, 큰조뱅이, 참지네고사리, 홍지네고사리를 포함한 250 분류군의 분포가 새롭게 확인되었다. 관속식물의 생활형 중 휴면형은 반지중식물이 37.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 특산식물은 총 4분류군, 한국 희귀식물은 6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총 3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95분류군이 조사 되었으며, 도시화지수는 29.6%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가거도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Gageodo in Korea)

  • 양선규;장창석;장현도;이로영;박민수;김기홍;오병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97-612
    • /
    • 2013
  • 전라남도 신안군 가거도(북위 $34^{\circ}02^{\prime}{\sim}34^{\circ}05^{\prime}$, 동경 $125^{\circ}05^{\prime}{\sim}125^{\circ}08^{\prime}$)에 자생하는 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2010년 4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총 23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은 98과 258속 348종 3아종 31변종 4품종의 총 385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이중 기존의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에서 최초로 밝혀진 분류군은 50분류군이었다. 가거도에 자생하는 식물들 중에는 한국 특산식물 7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8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III등급 이상에 해당하는 30분류군 등이 생육하고 있었다. 귀화식물은 28분류군이 조사되었다.

Floristic Study of Gyodongdo Island in Ganghwa-gun, Korea

  • Kim, Jung-Hyun;Kim, Sun-Yu;Lee, Byoung Yoon;Yoon, Chang-Young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05-131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Gyodongdo island (Ganghwa-gun). The vascular plants from 11 field surveys were revealed to belong to a total of 629 taxa; 118 families, 364 genera, 561 species, 5 subspecies, 53 varieties, 7 forms and 3 hybrids. 184 taxa were the first records from this region. The plants in Gyodongdo island are composed of the deciduous broad-leaved and conifer-mixed forests which are the common ones in the middle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Five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such as Clematis brachyura Maxim., Viola seoulensis Nakai, Populus ${\times}$ tomentiglandulosa T. B. Lee,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and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were collected. Endangered wild plants designated by the law called 'Protection Law for Endangered wild fauna and flora' were one taxon. The red list plants according to IUCN valuation basis were examined for 13 taxa; endangered (EN) species of Prunus yedoensis Matsum., Vulnerable (VU) species of both Utricularia pilosa (Makino) Makino and Iris ruthenica var. nana Maxim., Near Threatened (NT) species of Senecio argunensis Turcz., Least Concern (LC) species of 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Potentilla discolor Bunge, Limnophila sessiliflora (Vahl) Blume, Acorus calamus L., Phacelurus latifolius (Steud.) Ohwi, Pseudoraphis ukishiba Ohwi, Belamcanda chinensis (L.) DC., and Not Evaluate (NE) species of both Astragalus sikokianus Nakai and Potamogeton oxyphyllus Miq.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a total of 47 taxa comprising three taxa of grade V, four taxa of grade IV, nine taxa of grade III, 10 taxa of grade II, and 21 taxa of grade I.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62 taxa and the percentage of naturalized index (NI) was 9.9 % and the percentage of urbanization index (UI) was 19.3 %, respectively. Furthermore, hemicryptophytes (28 %), therophytes (26 %), hydrophytes (13 %) and geophyte (12 %) showed high proportional ratio in life form spectrum.

불명산(완주군)의 관속식물상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Bulmyeong (Wanju-gun), Korea)

  • 신소희;김현준;강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6-70
    • /
    • 2018
  • 본 연구는 불명산(완주군)지역에 대하여 2015년 4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20차례에 걸쳐 관속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은 100과 290속 382종 4아종 38변종 9품종 총 43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재종을 제외한 주요 식물로 한국특산식물 5분류군, 산림청지정 희귀식물 중 취약종이 1분류군, 약관심종이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환경부 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 중 IV 등급종 1분류군, III 등급종 10분류군, II 등급종 3분류군, I등급종 1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본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외래 및 귀화식물은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등을 포함한 28분류군으로 조사지역 관속식물의 6.5%에 해당한다.

대청도(옹진군)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Daecheong Island, South Korea)

  • 양종철;박수현;하상교;이유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1-47
    • /
    • 2012
  • 본 연구는 2008년과 2010년에 걸쳐 3차례 식물상을 조사하였으며, 전체 조사된 분류군은 90과 269속 351종 3아종 43변종 6품종등 40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주요 식물들로 특산식물이 서울제비꽃 등 2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산림청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이 대청부채(CR) 등 8분류군, 환경부 지정 특정식물은 금방망이(V) 등 35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물지리학적 분포특성에 있어 남방계 식물과 북방계식물이 함께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대청가시풀 등 40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한반도 미기록종인 대청지치가 새로이 발견되었다.

오음산(강원, 홍천 및 횡성)의 관속식물상 (Flora of the vascular plants of Oeumsan Mountain (Hongcheon-gun and Hoengseong-gun, Gangwon-do))

  • 김경아;천경식;유기억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48-64
    • /
    • 2018
  • 강원도 홍천군 및 횡성군에 위치한 오음산(930 m)에 대한 관속식물 조사를 2016년 3월부터 2017년 9월까지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분포가 확인된 관속식물은 98과 301속 436종 4아종 57변종 12품종으로 총 509분류군이었다. 특산식물은 9분류군이었으며, 멸종위기야생식물은 2급에 1분류군이었고, 희귀식물은 8분류군이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V등급 1분류군, IV등급 4분류군, III등급 9분류군, II등급 19분류군, I등급 24분류군으로 총 5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생태계교란야생식물 2분류군을 포함하여 총 35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도시화지수와 귀화율은 각각 6.9%와 10.9%로 산출되었다.

검마산(경북 영양) 관속식물의 분포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Geommasan (Yeongyang, Gyeongbuk))

  • 유병찬;정형진;박명순;이선희;최하나;정수영;정규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81-291
    • /
    • 2007
  • 본 연구는 경북 영양군 검마산(해발 1,0l7m, 북위 $36^{\circ}\;42^{'}\;30.0^{"}{\sim}36^{\circ}\;45^{'}\; 30.1^{"}$, 동경 $129^{\circ}\;12^{'}\;30.0^{"}{\sim}129^{\circ}\;18^{'}\; 00.0^{"}E$)의 관속식물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4년 4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11회에 걸쳐 채집된 관속식물은 총 91과 318속 424종 3아종 73변종 13품종의 총 513종류로 정리되었으며, 이들을 유용성에 따라 구분하면 식용 243종류, 약용 307종류, 공업용 122종류, 관상용 85종류,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 77종류이었다. 특기할만한 식물로는 한국특산식물이 9종류, 환경부지정 법적 보호식물 4종류, 귀화식물이 21종류로서 귀화율은 4.1%, 도시화지수는 7.5%로 나타났다.

일월산(경북)의 관속식물상 (Flora of vascular plants in Irwolsan of Gyeongbuk)

  • 정형진;남기흠;박재호;정규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31-147
    • /
    • 2005
  • 본 연구는 경북 영양군 일월산(해발 1218.5m, 북위 $36^{\circ}\;45'\;00'\~36^{\circ}\;50'\;10'$, 동경 $129^{\circ}\;02'\;50'\~129^{\circ}\;09'\;00'$)의 관속식물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2년 5월부터 2003년 5월까지 16회에 걸쳐 채집된 관속식물은 총 105과 381속 618종 6아종 104변종 12품종의 총 740종류로 정리되었으며, 이들을 유용성에 따라 구분하면 식용 315종류, 약용 428종류, 공업용 100종류, 관상용 84종류,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 201종류이었다. 특기할만한 식물로는 한국특산식 물이 22종류, 환경 부지정 법적보호종이 6종류, 귀화식물이 27종류로서 귀화율은 $3.6\%$, 도시화지수는 $9.7\%$로 나타났다.

마니산(강화군)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Manisan (Ganghwa-gun) in Korea)

  • 김중현;박성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27-53
    • /
    • 201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anisan (Ganghwa-gun) from April of 2017 to August of 2018. The vascular plants identified during the 12 round field surveys were a to total of 508 taxa: 107 families, 306 genera, 456 species, 7 subspecies, 43 varieties, 1 form, and 2 hybrids. The largest families were as follows; Asteraceae (66 taxa), Poaceae (59 taxa), Fabaceae (25 taxa), Cyperaceae (25 taxa), Rosaceae (22 taxa), Liliaceae (20 taxa), Polygonaceae (17 taxa), Lamiaceae (14 taxa), Ranunculaceae (13 taxa), and Caryophyllaceae (13 taxa). Among these plants, 169 taxa were recoed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region. The six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including Clematis brachyura Maxim., Viola seoulensis Nakai, Carex brevispicula G. H. Nam & G. Y. Chung, C. erythrobasis H. $L{\acute{e}}v$. & Vaniot,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and Lycoris flavescens M. Y. Kim & S. T. Lee were found in this region. The vascular plants on the red list according to IUCN evaluation basis were found to be two taxa: Near Threatened (NT) species of Wikstroemia trichotoma (Thunb.) Makino, and Not Evaluate (NE) species of Tylophora floribunda Miq., respectively.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26 taxa comprising three taxa of degree IV, four taxa of degree III, seven taxa of degree II, and 12 taxa of degree I. In addition, the alien plants were identified as 49 taxa and the percentage of naturalized index (NI) was 9.7%, and urbanization index (UI) was 15.3%,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