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ee dislocation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35초

Arthroscopic Reduction of Irreducible Posterolateral Knee Dislocation with Interposition of the Vastus Medialis: A Case Report

  • Sim, Jae-Ang;Kim, Byung-Kag;Lee, Beom-Koo;Yoon, Yong-Cheol;Choi, Eun-Suk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9권4호
    • /
    • pp.167-171
    • /
    • 2016
  • Irreducible traumatic knee dislocation is rare. The knee dislocation is classified depending on the incarcerated structures. Complete reduction is achieved by extracting the incarcerated structure. Several reports introduce the reduction of irreducible traumatic knee dislocation by open surgery or arthroscopy. This case describes irreducible posterolateral knee dislocation with interposition of the vastus medialis. Closed reduction failed in the emergency room, and complete reduction was attained by arthroscopically sectioning the muscle and fascia of the vastus medialis in the intercondylar notch.

정복 불가능한 슬관절 탈구의 관절경적 치료 (Arthroscopic Reduction of Irreducible Knee Dislocation - A Case Report -)

  • 정진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1-164
    • /
    • 2009
  • 외상성 슬관절 탈구 중 도수 정복되지 않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대개는 관혈적 정복술을 요한다. 본 증례는 도수 정복되지않는 슬관절 탈구에 대한 관절경적 치료 경험으로 자기공명 영상에서 정복을 방해하는 내측 인대 및 관절낭 구조물을 관찰하고 관절경 검사로 확인한 후 대퇴골 내측와가 완전히 관찰되고 관절이 정복 될 때까지 끼어있는 조직을 제거하였으며 인대 봉합이나 재건술은 시행하지 않았다. 술 후 약 4주간의 신전상태에서 고정 후 점진적인 관절운동 및 체중부하 보행을 허용하였다. 3년 추시 관찰에서 경도의 슬관절 불안정성은 있었으나 일상생활에 지장 없었으며 정상범위의 관절운동범위를 회복하였다.

  • PDF

단순 견인으로 정복되지 않는 슬관절 후외측 회전 탈구의 비관혈적 정복 (Closed Reduction of Irreducible Posterolateral Rotatory Knee Dislocation)

  • 이화성;이상헌;이세원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95-100
    • /
    • 2020
  • 일반적으로 슬관절 탈구의 대부분은 단순 견인에 의하여 쉽게 정복된다. 매우 드물게 슬관절 탈구에서 도수정복을 시도하나 파열된 인대나 근육이 관절에 끼어 정복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정복되지 않는 슬관절 탈구의 증례가 종종 보고되었으나 넙다리빗근(sartorius muscle)에 의한 포착으로 인한 경우는 문헌상 보고된 바가 없다. 저자들은 단순 견인으로 정복되지 않는 슬관절 후외측 회전 탈구를 비관혈적 도수정복으로 정복한 증례 1예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이 증례는 임상의가 도수정복으로 정복되지 않는 슬관절 탈구를 경험할 때 임상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짚어 보는 기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슬와 동맥 손상을 동반한 슬관절 탈구에서 혈관내 중재술 후 시행한 수술적 치료 - 증례 보고 - (Surgical treatment for knee dislocation with popliteal artery injury after endovascular intervention for arterial injury - A case report -)

  • 안지현;김상길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3-116
    • /
    • 2011
  • 발생 빈도가 높진 않지만, 슬관절 탈구 시 슬와 동맥 손상이 종종 동반된다. 발견된 모든 동맥 손상에 대한 치료의 필요성이 보고되어 왔으며 관혈적 수술이 보편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왔다. 슬관절 탈구에 동반된 슬와 동맥 손상에 대하여 혈관내 중재술로 혈류를 회복하고 이후 손상된 인대에 대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1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대퇴 연골편에 의해 정복이 불가능한 슬관절 후외방 탈구 - 1예 보고 - (An Irreducible Posterolateral Dislocation of Knee by the Detached Femoral Cartilage - A Case Report -)

  • 김성태;이봉진;박우성;이상훈;김태호;이성락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6-129
    • /
    • 2007
  • 도수정복이 불가능한 슬관절 탈구는 아주 드물게 발생하며, 대부분의 도수정복이 불가능한 슬관절 탈구는 후외방 탈구 시 연부조직이 끼이면서 발생하게 되는데 저자들은 51세 여자환자의 슬관절 탈구에서 박리된 대퇴 내과 연골편에 의해 정복이 불가능했던 지금까지 보고가 없었던 예를 경험하였고, 이를 관절경을 이용한 변연절제술로 연골편을 제거하여 관혈적 수술이 필요 없이 정복을 얻을 수 있었으며 지연성 전방 및 후방 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 PDF

Factors Affecting Tibial Tuberosity-Trochlear Groove Distance in Recurrent Patellar Dislocation

  • Prakash, Jatin;Seon, Jong-Keun;Ahn, Hyeon-Woon;Cho, Kyu-Jin;Im, Chae-Jin;Song, Eun Kyoo
    • Clinics in Orthopedic Surgery
    • /
    • 제10권4호
    • /
    • pp.420-426
    • /
    • 2018
  • Background: The tibial tuberosity-trochlear groove (TT-TG) distance is used to determine the necessity of tibial tubercle osteotomy. We conducted this study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each of the tibial tuberosity lateralization, trochlear groove medialization, and knee rotation angle affects the TT-TG distance in both normal and patella dislocated patients and thereby scrutinize the rationale for tuberosity transfer based on the TT-TG distance. Methods: Retrospective analysis of rotational profile computed tomography was done for patella dislocated and control group patients. Femoral anteversion, tibial torsion, knee rotation angle, tuberosity lateralization, and trochlear groove medialization were assessed in all patients. Relationship of these parameters with the TT-TG distance was investigated to evaluate their effects on the TT-TG distance. Results: We observed that the patellar dislocation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ad increased TT-TG distance (mean, 19.05 mm vs. 9.02 mm) and greater tuberosity lateralization (mean, 64.1% vs. 60.7%) and tibial external rotation in relation to the femur (mean, $7.9^{\circ}$ vs. $-0.81^{\circ}$). Conclusions: Tuberosity lateralization and knee rotation were factors affecting patellar dislocation.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to the TT-TG distance to determine the need for tibial tubercle osteotomy in patients with patellar dislocation.

Surgical Treatment of Acute Traumatic Knee Dislocation

  • Bin Seong Il;Joo Dong-Man;Ahn Ji-Hyun;Kim Dong-Uk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4년도 The 7th korea-japan joint meeting of orthopaedic sports medicine
    • /
    • pp.33-33
    • /
    • 2004
  • PDF

급성 슬개골 탈구증의 관절경적 내측 지지대 봉합술 (Arthroscopic Medial Retinacular Repair in Acute patellar Dislocation)

  • 빈성일;차유철;문호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8-101
    • /
    • 1997
  • Acute patellar dislocation is a painful, terrifying experience that always occurs suddenly. The recurrence is unfortunately common and each experience is just as painful to the patient. With each acute dislocation, additional intraarticular derangement occurs. Therefore the goals of treatments are not only to relieve acute pain by prompt reduction of the dislocation but also to remove any chondral or osteochondral fragments that may be present within the knee joint and to restore normal patellofemoral anatomy, thereby preventing recurrent dislocation and avoiding future patellar subluxation. To present the details of arthroscopic medial retinacular repair in acute patellar dislocation. we report 2 patients with treatment of acute patellar dislocation with osteochondral loose body.

  • PDF

슬관절 다발성 인대 손상의 치료 (Management of Multiple Ligament Injured Knee)

  • 심재앙;이범구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6-23
    • /
    • 2013
  • 슬관절의 다발성 인대 손상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인대가 손상된 경우를 의미하고, 이 중 3개 또는 4개의 인대 파열이 일어나게 되면 대퇴골-경골 관절의 통합성이 파괴된 상태, 즉 슬관절의 탈구가 일어날 수 있다. 슬관절의 다발성 인대 손상이 있는 경우 혈관, 신경 상태를 단계적으로, 세심하게 평가하여야 하며 동맥 손상이 의심 시 지체하지 말고 응급 수술을 시행하여야한다. 슬관절의 다발성 인대 손상 치료에는 여러 이견이 있을 수 있으나 보존적 치료보다는 수술적 치료가, 지연 수술보다는 조기 수술이 권유되고, 전, 후방 십자 인대의 경우 재건술이, 후외방 인대의 경우 재건술이, 내측 측부 인대의 경우 봉합술 혹은 재건술이 권유되며, 다발성 인대 손상은 단일 인대 손상보다는 좀더 적극적인 치료가 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정복 불가능한 슬관절 탈구의 드문 예: 내측광근의 단추구멍손상 - 증례 보고 - (A Rare Case of Irreducible Knee Dislocation: Vastus Medialis Obliqus-Buttonholing of Medial Femoral Condyle - A Case Report -)

  • 김형수;박승림;강준순;이우형;김기욱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1-44
    • /
    • 2001
  • 정복되지 않는 슬관절 탈구 중 내측 광근에 의한 단추구멍 손상에 의한 경우는 매우 드문 경우로 이에 대한 신속한 정복이 지연된 슬관절 탈구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 저자들은 슬부의 후외방 전위와 대퇴골 내과의 돌출을 보이는 환자를 자기 공명 영상으로 진단하고 이에 대해 관절 절개술을 이용하여 정복술 및 양측 십자인대 복원술로 치료한 환자를 경험하였다. 술후 10개월에 환자는 경도의 후방 불안정이 있었으나 관절의 운동 범위는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