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lebsiella pneumoniae

검색결과 378건 처리시간 0.028초

Prevalence of Multi-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Isolated from Children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from Baghdad, Iraq

  • Salman, Hamzah Abdulrahman;Alhameedawi, Alaa kamil;Alsallameh, Sarah Mohammed Saeed;Muhamad, Ghofran;Taha, Zahraa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47-156
    • /
    • 2022
  • Urinary tract infections (UTIs) are one of the most common infections in different age groups, including children. Bacteria are the main etiological agents of UTI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solate, identify, and determine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bacteria isolated from children with UTIs from Baghdad, Iraq. Three hundred and two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children aged 6 months to 12 years. The samples were cultured on blood agar and MacConkey agar. The selected colonies were subjected to biochemical tests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analysis using the Vitek® 2 Compact automated microbial identification system. In this sample, 299 bacteria were identified, of which, 267 were gram-negative bacteria, and 32 were gram-positive bacteria. Escherichia coli (56%) was the most commonly isolated gram-negative bacteria, followed by Pseudomonas aeruginosa (14%), Enterobacter spp. (10.48%), Klebsiella pneumoniae (9.36%), Proteus spp. (7.8%), Acinetobacter baumannii (1.5%), and Morganella morganii (0.37%). Enterococcus faecalis (62.5%) was the most commonly detected gram-positive bacteria, followed by Staphylococcus aureus (37.5%). E. coli and P. aeruginosa were the most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Among the tested antibiotics, meropenem showed 100% sensitivity, followed by imipenem (97.4%), amikacin (91.8%), and tobramycin (83.5%). In contrast, the high frequencies of resistance were observed with cefixime (93.2%), cefotaxime (78.7%), and ceftriaxone/cefotaxime (71.2%). In conclusion, carbapenems and aminoglycosides are highly recommended for the empirical treatment of UTIs, while, Quinolones, penicillins, and cephalosporins are not suggested. Frequent antibiotics susceptibility testing are warranted to determine the resistance pattern of UTI bacteria.

Intraventricular Antimicrobial Therapy for Intractable Ventriculitis: Two Case Reports

  • Lee, Ji Weon;Yoon, Yoonsun;Kim, Sang-Dae;Kim, Yun-Kyung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9권1호
    • /
    • pp.46-53
    • /
    • 2022
  • 뇌실염은 일반적으로 정맥 내 항생제를 통하여 치료하나, 불응성 뇌실염의 치료는 정맥 내 항생제 치료와 뇌실 내 항생제 치료의 병행이 요구되기도 한다. 이론적으로 항생제의 뇌실 내 투여는 정맥 내 단독 투여보다 뇌척수액에서 더 높은 항생제 농도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 본 증례 보고는 기존의 전신 항생제 치료에 불응하는 폐렴 간균과 메티실린 내성 표피 포도상 구균에 각각 뇌실 내 겐타마이신과 반코마이신 투여를 통하여 뇌실염을 치료한 2례로서 이후에도 주요 합병증 등이 없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Bactericidal Effect of Cecropin A Fused Endolysin on Drug-Resistant Gram-Negative Pathogens

  • Lim, Jeonghyun;Hong, Juyeon;Jung, Yongwon;Ha, Jaewon;Kim, Hwan;Myung, Heejoon;Song, Miryo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6호
    • /
    • pp.816-823
    • /
    • 2022
  • The rapid spread of superbugs leads to the escalation of infectious diseases, which threatens public health. Endolysins derived from bacteriophages are spotlighted as promising alternative antibiotics against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In this study, we isolated and characterized the novel Salmonella typhimurium phage PBST08. Bioinformatics analysis of the PBST08 genome revealed putative endolysin ST01 with a lysozyme-like domain. Since the lytic activity of the purified ST01 was minor, probably owing to the outer membrane, which blocks accessibility to peptidoglycan, antimicrobial peptide cecropin A (CecA) was fused to the N-terminus of ST01 to disrupt the outer membrane. The resulting CecA::ST01 has been shown to have increased bactericidal activity against gram-negative pathogens including Pseudomonas aeruginosa, Klebsiella pneumoniae, Acinetobacter baumannii, Escherichia coli, and Enterobacter cloacae and the most affected target was A. baumannii. In the presence of 0.25 µM CecA::ST01, A. baumannii ATCC 17978 strain was completely killed and CCARM 12026 strain was wiped out by 0.5 µM CecA::ST01, which is a clinical isolate of A. baumannii and resistant to multiple drugs including carbapenem. Moreover, the larvae of Galleria mellonella could be rescued up to 58% or 49% by the administration of CecA::ST01 upon infection by A. baumannii 17978 or CCARM 12026 strain. Finally,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CecA::ST01 was verified using 31 strains of five gram-negative pathogens by evaluation of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Thus, the results indicate that a fusion of antimicrobial peptide to endolysin can enhance antibacterial activity and the spectrum of endolysin where multi-drug resistant gram-negative pathogens can be efficiently controlled.

2018-2021년 제주도 내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 균종 감염증의 역학 (Epidemiology of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in Jeju Province, Korea, using national surveillance data, 2018-2021)

  • 박주영;조은숙;배종면
    •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
    • /
    • 제20권2호
    • /
    • pp.67-72
    • /
    • 2023
  •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infections have increased rapidly over the past decade and are recognized as a severe health threat in Korea and worldwid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RE infection in Jeju province and provide important basic data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RE infection. A descriptive epidemiolog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reported cases of CRE infection in Jeju Province between 2018 and 2021 using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disease, an infectious disease reporting system from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The annual difference and distribution trends of CRE infection were analyzed using CRE isolates, carbapenemase-producing CREs (CP-CRE) and their genotypes, and the type of medical institution in Jeju Province. CRE infections steadily increased in Jeju from 2018 to 2021, and the proportion of CP-CRE among the CREs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each year. Among the CRE isolates, Klebsiella pneumoniae (KPC, 62.13%) was the most common, and among the CP-CRE genotypes, KPC (81.62%)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and increased each year. As the distribution of CP-CRE in have increased over the past 4 years, measures to prevent the spread and outbreak of CRE infections are warra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RE infections in the province.

중소병원으로 전원 온 환자의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 보균 위험요인 (Risk factors for the colonization of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in patients transferred to a small/medium-size hospital in Korea: a retrospective study)

  • 이미선;김현정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5권4호
    • /
    • pp.285-294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olonization rate of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the characteristics of CRE isolates, and risk factors for CRE colonization in patients transferred to the general wards of a small/medium-sized hospital.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patients who underwent CRE culture tests within 24 hours of admission among patients transferred to a small/medium-sized hospital. Forty-seven patients confirmed as positive for CRE were classified as belonging to the patient group. For the control group, 235 patients (five times the number of the patient group) were matched by sex, age, and diagnosis, and then selected at random.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CRE colonization rate was 5% (47 out of 933 patients), and Klebsiella pneumoniae (68.0%) was the most common isolate of CRE. The positivity rate of carbapenemase-producing Enterobacteriaceae was 61.7%. The risk factors for CRE colonization included renal disease (odds ratio [OR]=4.93; 95% confidence interval [CI], 1.49-16.31), heart disease (OR=3.86; 95% CI, 1.35-11.01), indwelling urinary catheters (OR=4.43; 95% CI, 1.59-12.36), and cephalosporin antibiotic use (OR=8.57; 95% CI, 1.23-59.60). Conclusion: Having a comorbid renal or cardiac disease, an indwelling urinary catheter, or a history of exposure to cephalosporin antibiotics could be classified as risk factors for CRE colonization in patients transferred to small and medium-size hospitals. It is necessary to perform active infection control through proactive CRE culture testing of patients with risk factors.

A Moonlighting Protein Secreted by a Nasal Microbiome Fortifies the Innate Host Defense Against Bacterial and Viral Infections

  • Gwanghee Kim;Yoojin Lee;Jin Sun You;Wontae Hwang;Jeewon Hwang;Hwa Young Kim;Jieun Kim;Ara Jo;In ho Park;Mohammed Ali;Jongsun Kim;Jeon-Soo Shin;Ho-Keun Kwon;Hyun Jik Kim;Sang Sun Yoon
    • IMMUNE NETWORK
    • /
    • 제23권4호
    • /
    • pp.31.1-31.18
    • /
    • 2023
  • Evidence suggests that the human respiratory tract, as with the gastrointestinal tract, has evolved to its current state in association with commensal microbe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how the airway microbiome affects the development of airway immune system. Here, we uncover a previously unidentified mode of interaction between host airway immunity and a unique strain (AIT01) of Staphylococcus epidermidis, a predominant species of the nasal microbiome. Intranasal administration of AIT01 increased the population of neutrophils and monocytes in mouse lungs. The recruitment of these immune cells resulted in the protection of the murine host against infection by Pseudomonas aeruginosa, a pathogenic bacterium. Interestingly, an AIT01-secreted protein identified as GAPDH, a well-known bacterial moonlighting protein, mediated this protective effect. Intranasal delivery of the purified GAPDH conferred significant resistance against other Gram-negative pathogens (Klebsiella pneumoniae and Acinetobacter baumannii) and influenza A virus. Our findings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a native nasal microbe and its secretory protein to enhance innate immune defense against airway infections. These results offer a promising preventive measure, particularly relevant in the context of global pandemics.

학교 급식설비 및 집기류의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분석 (The Microbiological Assessment and Identification of Food Utensils and Food Service Facilities in School)

  • 홍승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89-19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식중독으로 인한 지속적인 위해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학교의 급식시설 및 집기류에서 미생물 오염수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총 세균 측정용 배지에서 $12.3{\pm}2.6$건으로 가장 많은 미생물이 배양되었고, 황색포도상구균 측정용 배지에서 $10.3{\pm}3.9$건과 대장균 측정용 배지에서 $9.5{\pm}3.9$건으로 미생물이 배양되었다. 그러나 비브리오 측정용 배지에서는 $1.5{\pm}1.0$건으로 가장 적은 미생물이 배양되었다. 급식시설 및 집기류에서 미생물 오염이 심한 곳은 전처리실 바닥으로 $4.5{\pm}0.6$건으로 가장 높고, 조리실 바닥도 $4.3{\pm}1.0$건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조리대가 $3.3{\pm}1.0$건으로 나타났으며, 급식식탁에서도 $3.0{\pm}0.0$건으로 상당히 높은 미생물 오염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집기류에서는 시설들에 비하여 낮은 미생물 오염도를 보였다. 칼과 도마를 사용용도에 따라 구분하여 미생물을 분석한 결과, 생선용 칼에서 $2.0{\pm}0.8$건과 생선용 도마에서 $1.3{\pm}1.5$건으로 다른 용도에 비하여 약간 높은 미생물 오염도를 보였다. 배양된 미생물들을 동정한 결과, 다양한 미생물들이 오염되어 있으며 일부는 2번 이상씩 반복하여 검출되었다. 특히, 주요 식중독균인 Staphylococcus aureus는 조리대, 트렌치, 칼에서 3번에 걸쳐서 확인되었다. 또한 주요 식중독균에 속하는 Bacillus cereus가 칼에서 확인되었으며, 자연에 널리 분포하면서 때로는 급성폐렴을 일으키기도 하는 Klebsiella pneumoniae는 4번 반복하여 검출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황색포도상구균을 비롯한 주요 식중독균뿐만 아니라 식품의 부패를 일으키는 미생물들이 학교급식의 시설 및 집기류에 오염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학교급식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학생들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더욱 철저한 개인위생 및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시설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 Lactobacillus plantarum의 이화학적 특성 및 ${\beta}-galactosidase$ 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eta}-galactosidase$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from kimchi)

  • 강미선;이영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1호
    • /
    • pp.54-59
    • /
    • 1996
  •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 중에서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Klebsiella pneumoniae, Escherichia coli(ATCC33694) 그리고 Bacillus substilis(ATCC 6633) 등 5종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성이 우수한 3주(No. 49, No. 61, No. 75)를 최종 선발하여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동정 되었다. 이들 3 균주를 starter로 사용하여 요구르트 등 여러 발효식품에 응용할 수 있는지 검토하기 위하여, 이들 균주로 요구르트를 제조한 후 요구르트의 ${\beta}-galactosidase$ 활성도를 균주 첨가 후 24시간 부터 72시간 동안 경시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48시간 후에 효소활성은 최고에 도달하였으며 그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2시간 동안 경시적으로 요구르트 고유의 pH값보다 낮은 산성조건에서 ${\beta}-galactosidase$ 활성도와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pH 3.5에서 2시간 후에는 3균주 모두 50% 정도 활성이 감소하였으나 pH 2.5와 pH 1.5에서 ${\beta}-galactosidase$ 활성은 거의 없었다. 유산균의 생존율은 pH 3.5에서 2시간 후 거의 변화가 없었고, pH 2.5에서는 각각 $0.12%{\sim}0.75%$ 그리고 pH 1.5에서는 생존율이 거의 없었다. 한편, 제조 요구르트의 이화학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 요구르트 고유의 pH 값은 4.08 부터 4.30사이이었으며, 적정산도는 $1.05{\sim}l.25%$ 점도는 $1,818{\sim}2,124\;cps$, 생균수는 $7.3{\times}10^8{\sim}3.0{\times}10^9\;cfu/m{\ell}$였다. 유산균이 살아있는 상태로 장내에 도달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완충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1.0N HCl로 요구르트 $100\;m{\ell}$를 고유의 pH값에서 2단위 낮은 pH값까지 적정한 결과 소모된 HCl량은 $11.98{\sim}13.02\;m{\ell}$이었고 1.0 N NaOH로 4단위 높은 pH값까지 적정하는데 소모된 NaOH량은 $10.82{\sim}12.86\;m{\ell}$로 시판 요구르트 보다 높은 완충능을 보여 주었다.

  • PDF

Clinical Features of and Antibiotic Resistance in Recurrent Urinary Tract Infection in Children with Vesicoureteral Reflux

  • Eun, So Hyun;Kang, Ji-Man;Kim, Ji Hong;Kim, Sang Woon;Lee, Yong Seung;Han, Sang Won;Ahn, Jong Gyun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7권1호
    • /
    • pp.35-44
    • /
    • 2020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방광 요관 역류(vesicoureteral reflux) 환아에서 재발성 요로감염의 임상양상을 조사하고, 첫 번째 및 재발성 요로감염 간의 원인균과 항생제 감수성 결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방법: 방관 요관 역류로 진단된 소아 환자 중에서 요로감염이 발생한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요로감염 건에서 같은 균종이 동정된 경우를 1군으로, 다른 균종이 동정된 경우를 2군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2005년 4월부터 2018년 2월까지 총 13년 간의 연구 기간 동안, 총 77명의 방관 요관 역류 환아가 적어도 한 번 이상의 요로감염을 경험하였다. 이중 47명의 환자(61.0%)가 재발성 요로감염소견을 보였다. 재발성 요로감염 환자중에서 1군은 19명(40.4%)이었고, 2군은 28명(59.6%)이었다. Escherichia coli (n=37, 39.4%)는 재발성 요로감염환자의 첫번째 및 두번째 요로감염 건에서 가장 흔하게 분리된 원인균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Klebsiella pneumoniae (n=18, 19.1%), Enterococcus faecalis (n=14, 14.9%), Enterobacter aerogenes (n=7, 7.4%), 및 Pseudomonas aeruginosa (n=4, 4.3%) 순이었다. 비록 통계적 차이는 없었지만, E. coli에 의한 재발 시, 같은 균에 의한 재발 임에도 ceftazidime, piperacillin/tazobactam과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대한 항생제 내성의 비율이 첫 번째보다 두 번째 감염에서 증가하였고, E. aerogenes에의한재발에서도 cefotaxime, ceftazidime, piperacillin/tazobactam 및 meropenem에 대한 항생제 내성의 비율이 첫 번째보다 두 번째 감염에서 증가하였다. 결론: 방관 요관 역류 환아의 재발성 요로감염에서 경험적 항생제를 선택할 때, 이전 감염의 병원균 및 항균제 감수성 결과가 재발 시에 항상 동일하지는 않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영유아용 분말 조제분유의 미생물 품질분석과 위해세균 모니터링 (Microbiological Quality and Potential Pathogen Monitoring for Powdered Infant Formulas from the Local Market)

  • 황지연;이지연;박종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55-561
    • /
    • 2008
  • 국내에서 생산, 유통되고 있는 영유아용 분말 조제분유 99제품을 수집하여 일반세균, 대장균군, FAO/WHO Category A, B, C 위해세균 분류에 따른 오염현황을 분석하였다. 일반세균수는 총 99개의 제품 중 92개의 제품에서 검출(93%)되었으며 $1.83{\pm}0.68\;Log\;CFU/g$의 분포를 보였다. 최고 $4.5\;Log\;CFU/g$가 검출된 한 제품을 제외하고는 조제분유의 총균수의 기준규격에 적합하였다. 대장균군은 조제분유 대장균군의 기준규격이 음성인 것에 비해 99개의 제품 중 12개의 제품에서 검출(12%)되었으며 $1.26{\pm}1.03\;\log\;MPN/g$의 분포를 보였다. 대장균은 한 제품에서 0.48 log MPN/g으로 검출되었다. Category A 세균인 Salmonella와 En. sakazakii의 오염도 분석 결과 총 99개의 모든 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Category B group인 세균 중에서 장내세균은 99개의 제품 중 25개의 제품에서 검출(25%)되었고 오염수준은 $0.83{\pm}1.37\;\log\;MPN/g$으로 나타났다. 검출된 Category B group 세균들로는 Escherichia vulneris, Es. hermannii, Pantoea spp., Citrobacter koseri, Klebsiella pneumoniae, Enterobacter cloaceae 등이었다. Category C세균의 오염은 Bacillus cereus가 조제분유 99개의 제품 중에서 29개의 제품이 검출(29%)되어 비교적 높은 오염도를 보였지만 오염수준은 $0.69{\pm}0.32\;\log\;MPN/g$으로서 B. cereus의 국내 기준규격에 모두 적합하였다. 그 외의 Category C 세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국내 유통 조제분유의 주요 위해세균의 대한 미생물 오염정도가 낮아 미생물 기준 규격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Category B의 장내세균은 높은 검출율을 보였고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는 균들이 확인되어 잠재적인 위험이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비살균식품인 조제분유의 특성상 잠재적인 위해세균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그에 대한 안전성 확보에 능동적 자세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