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tosa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7초

난소제거 흰쥐에서 단삼과 키토산 혼합물의 골다공증 개선효과 (The Study of the Combination of Salvia Miltiorrhiza and Kitosan on Osteoporosis in Ovariectomized Rats)

  • 김도성;한송희;이용철;박성주;류완희;김형룡;채한정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5-80
    • /
    • 2009
  • The preventive effect of Salvia miltiorrhiza extracts (SM) with or without high molecular weight soluble kitosan (K) on the progress of bone loss induced by ovariectomized (OVX) was studied in rats. From light microscopic analyses in histochemistry data, trabecular bone area in OVX rat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in sham rats. The decrease was regulated by administration of SM and especially the combination of SM and K (SM + K) for 7 weeks. In addition, the numbers of osteoblasts and osteoclasts were regulated in SM + K-administered rats but not different from those in either SM or K-administered rats. In OVX rats, free Triiodothyronine ($T_3$) and Thyroxine ($T_4$) were similar to control, ruling out the involvement of abnormal thyroid hormone. Although serum calcium is similar among all the groups, estrogen level was higher especially in SM+K-administered rats.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SM+K are effective in preventing the development of bone loss induced by OVX in rats.

  • PDF

키토산, 목초액 및 EM 처리가 토양 미생물상의 변화 및 토마토의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itosan, Wood Vinegar and EM on Microorganisms in Soil and Early Growth of Tomato)

  • 정순재;오주성;석운영;김정완;김도훈;정원복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33-443
    • /
    • 2006
  • 친환경 농자재인 키토산, 목초액 및 EM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토양 미생물상 변화와 토마토의 초기생육특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마토의 초기생육은 전반적으로 대조구에 비해 키토산, 목초액 및 EM 처리구가 비교적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처리간에는 키토산 500배액 처리구에서 초장, 엽면적, 과중등이 양호하게 나타났다. 2. 엽록소함량의 경시적 변화는 생육초기에는 처리간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생육기간이 길수록 엽록소함량이 증가하였는데 자재간에는 키토산이 EM 및 목초액에 비해 엽록소함량이 증가하였다. 3. 토양 미생물상의 변화는 대조구에 비해 키토산, 목초액 및 EM 처리구에서 세균, 트리 코데마 및 방선균수은 다소 증가하였고, 사상균수는 약간 감소하였으나 처리간 일정한 경향은 없었다.

  • PDF

건강기능성 식품의 현황 및 전망 (Some Aspects of functional foods and their perspective)

  • 이건순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6권1호
    • /
    • pp.17-4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some aspects of functional foods and to give an prospective view of the foods. Recently the increasing rate of old ages is very rapid so that the functional foods is demanded as the treatment of cure and health foods for the old ages. Those are the foods which includes such elements as polyphenol, vitamin E & C, 𝛽-carotene, selenium, lycopene, lutein, isoflavon, capsaicin, DHA, lecithin, peptide, dietry fiber, alginic acid, lactic ferments, caffeine, kitin and kitosan, taurine, and phenylalanine. The total amounts of those foods are $ 112 billion in 2001, the American market marks $36.3 billion (32%) and Europe marks $32.6 billion (29%) and Japan marks $27.1 billion (24%), however, Korea marks $11 billion which equivalent to 1%. We are in need to develop the new foods for the antioxidant effect, anti-cancer, the prevention of cardio vascular disease, the control of intestine vacillius, control of diabetes, with those functional elements in order to secure the world market for the functional foods.

소독제 및 항생제의 적변삼 발생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Disinfectants and Antibiotics on Rusty-root Symptoms in Panax Ginseng C. A. Meyer)

  • 박홍우;이은정;최재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336-341
    • /
    • 2006
  • The endophytic bacteria were isolated from the rusty-root ginseng. This isolated bacteria were occurred the rusty-root ginseng with artificial inoculation. For the suppressing of rusty-ginseng, disinfectants, antibiotics, kitosan, micro-organisms and metabolites were tested to isolated endophytic bacterium. All of the isolated bacteria strains were sensitive sodium hypochlorite, however, some of isolated bacteria lines were sensitive to other tested materials. For example, D (didecyl dimethyl ammonium bromide), CIO$_2$, ODDA (octyldecyl dimethyl ammonium chloride + diocyul dimethyl ammonium chloride + alkyl diethyl benzyl ammonium chloride), GD (glutaraldehyde + dimethy cocobenzyl ammonium chloride) suppressed some of bacteria strains. Otherwise, some of antibiotics (e.g. ampicillin, chloramphenicol, erythromycin, kanamycin, neomycin, rifampin, streptomycin, tetracycline) were sensitive to the isolated bacteria strains. All of isolated bacteria strainswere inhibitive to the mixed formation with neomycin and streptomycin, and neomycin and tetracycline. Both sodium hypochlorite and antibiotic mixing of neomycin and tetracycline were effective to prevention of rusty-root ginseng of sub-merging ginseng in the ginseng field.

완효형 Etofenprox 제재의 목화진딧물에 대한 살충효과 (Insecticidal Effects of the Control Released Etofenprox Against Cotton Aphid)

  • 채시라;황채은;서미자;유용만;윤영남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3호
    • /
    • pp.361-365
    • /
    • 2010
  • For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insecticides for aphids, including the cotton aphid, Aphis gossypii Glover, control released insecticides were developed and tested as new type of formulation for the cotton aphid. Etofenprox is a target-of-control-released formulation that is toxic to insects with piercing-sucking type mouths including aphids and hoppers. The insecticidal effect of etofenprox is distinguished among others; however, continuance period of the effect of insecticide is shorter than other insecticides. In addition, the control effect of control released etofenprox on the cotton aphid was examined. The results show that control released etofenprox induced no control effects to the cotton aphid within 5 days of treatment. The cotton aphid's population was increased, and their reproduction rate was also high. However, control effect was shown to have very low levels 7 days after treatment, and it increased to higher effect. It is supposed tha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tton aphid using the type of control released etofenprox with a kitosan carri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ore effective carrier type to release more of the insecticidal ingredient on the leaf after spraying.

유기산, 기능성물질 혼합에 의한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의 병원성 증진효과 (Enhanced Effectiveness of Spodoptera litura Nucleopolyhedrovirus with Organic Acids and Functional Matters)

  • 김선곤;박종대;김도익;박진영;최형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5-60
    • /
    • 2004
  •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SINPV)의 살충력 증가를 위하여 유기산 및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활성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핵다각체병바이러스(NPV) 1${\times}$$10^{5}$ PIBs/$m\ell$에 ascorbic acid, succinic acid, sulfanilic acid 2,000ppm을 바이러스 1${\times}$$10^{5}$ PIBs/$m\ell$에 첨가하였을 때 각각 7.0일, 7.일, 10.7일로 바이러스 단독으로 처리한 6.0일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나 boric acid 2,000ppm을 첨가한 경우 L $T_{50}$은 4.5일로서 단독처리보다 1.5일 짧았다. 유충 체중변화에서도 boric acid는 2,000ppm에서 7일째 이후 생존하는 개체가 없어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1,000ppm과 500ppm에서도 체중이 증가하지 않아 바이러스 활성 증진을 지속시키는 물질로 판단되었다. 기능성 물질과 혼합 처리에서는 바이러스 1${\times}$$10^4$ PIBs/$m\ell$ 단독 처리는 L $T_{50}$이 7.4일이 걸리는 반면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와 전해산화수, 키토산, 목초액 혼합처리는 모두 살충기간이 길어져 혼합효과가 없었다.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 농도 1.0${\times}$10$_{6}$, $10^{8}$ PIBs/$m\ell$와 기능성 물질을 혼합하였을 때도 같은 경향으로 오히려 바이러스 병원성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Poa pratensis L. 에서 유기질 토양개량재 및 수분 중합체가 잔디생육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oil Organic Amendment and Water-Absorbing Polymer on Growth Characteristics in Poa pratensis L.)

  • 김경남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17-330
    • /
    • 2009
  • 본 실험을 통해 고품질 켄터키 블루그래스에서 유기질개량재 및 중합체 혼합율에 따라 잔디생존력, 지상부 생장, 초장 및 잔디품질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Table 5). 1.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발아율은 혼합 처리구에 따라 최소 0%~최대 56.3% 사이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최고 발아율 56.3%는 SOA 20% 및 중합체 0% 혼합된 처리구 13(SOA 20%+sand 80%+polymer 0%)에서 나타났다. 잔디생존력에서 유기질개량재 효과는 SOA 10% 및 20% 처리구가 SOA 100% 보다 더 양호하였다. 잔디발아 측면에서 중합체 혼합비율은 낮을수록 바람직하였으며, 특히 중합체 3% 이상은 발아에 불리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2. 지상부 엽생장의 생장지표인 전체엽수는 켄터키 블루그래스에서 2.2~4.0엽 사이였고, 유기질개량재 SOA 효과는 SOA 20% > SOA 100% > SOA 10% 순서로 나타났다. 그리고 잔디엽수 생장을 고려 시 중합체 혼합비율은 12% 이하가 적절하였다. 3. 초장에서 유기질개량재 SOA 효과는 SOA 20% > SOA 10% > SOA 100% 순서로 나타났으며, 중합체 혼합 시 처리구 14(SOA 20%+sand 80%+polymer 3%)를 제외하고는 3~15% 사이에서 잔디 초장 차이는 없었다. 4. 잔디밀도는 파종 후 생장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지만, 유기질개량재 SOA 및 중합체 혼합비율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켄터키 블루그래스에서 유기질개량재 SOA 효과는 SOA 10% 및 20% 혼합구가 SOA 100% 에 비해 좀더 양호하게 나타났다. 5. 향후 유기질 토양개량재 및 모래 혼합구에서 중합체 K-36의 구성요소인 K-SAM, Ca, perlite, Kitosan 등 개별 요인에 대한 추가 생육검정을 통해 이들 소재를 이용한 토양개량재의 개발 및 실무적용에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되었다. 6. 본 실험에서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엽수는 정상적인 엽수보다 1엽 정도 적은 2.5~4.0엽으로 나타났는데, 향후 토심이 좀 더 깊은 포트 또는 포장에서 실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7. 또한 수분 흡수 중합체는 식물 생장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잔디밭에서 파종 후 발아과정에 필요한 수분을 흡수 및 저장함으로 초기 생육 단계에서는 불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들 구성요소 및 조합비율에 대한 조정과 함께 종자파종 잔디밭과 함께 뗏장 이식 후 잔디밭에서 비교검토 하는 것도 장기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