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nds of sugar

검색결과 388건 처리시간 0.031초

석탄병의 재료배합비에 따른 Texture 특성 (Texture Chracteristics of Seoktanbyung as Affected by Ingredients)

  • 차경희;이효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5-71
    • /
    • 199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Seoktanbyung, when the ingredients were changed in a variety aspects; the amount of sweetpersimon flour to rice flour, and the amont of water and several kinds of sweeteners as sugar, syrup and honey. The evaluation of these resul were as followings: 1. The standard recipes of Segktanbyung were that the ratio of 30% of sweetpersimon flour was added to ingredients for it. In case of group of sugar added, 30 g of sugar and 90 ml of water were added, in case of group of syrup added, 40 ml of syrup and 60 ml of water, and in cage of group of honey added, 40 ml of honey and 60 ml of water were added. 2. According to the sensory evaluation, the color, flavor, softness, overall quality of Seoktanbyung were the most excellent the ratio of sweetpersimon flour 30%. The grain was gradually coarsen accrording to incremont of sweetpersimon flour added, but chewiness was gradually diminished. The moistness increase according to increment of sweeteners, sweetness was felt heavily according to gradual increment of sweetpersimon flour and sweeteners. 3. According to Instron evaluation, the hardness, gumminess, adhesiveness and chewiness of Seoktanbyung were shown to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the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of it were not shown to significant differences. 4. The evaluation of colors which were shown that as more sweetpersimon flour was added, lightness was diminished, and ${\Delta}E$ which represents total difference in colors was incresed. 5. The content of moisture in Seoktanbyung is such as; 42.96% in sugar added, 38.73% in syrup added, 37.43% in honey added.

  • PDF

고수의 가열처리에 따른 향미 성분의 변화 (Variation of flavor components of Coriandrum sativum L. by blanching)

  • 최옥자;김경수;정현숙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94-106
    • /
    • 2002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free sugar, organic acid, volatile components in fresh leaf and root of the coriander respectively, and in blanched leaf and root of the coriander, respectivel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were detected in leaf and root of the coriander. The content of total free sugar was 22.91mg% in leaf and 23.84mg% in root. By blanching, the contents of total free sugar decreased to 21.28mg% and 21.89mg% in leaf and root respectively. Malic acid, trataric acid were detected in leaf and root of the coriander. The content of total organic acid in leaf was higher than that in root of the coriander. By blanching, the content of total organic acid significantly decreased in leaf and slightly decreased in root. A total of 98 flavor components were detected in the leaf of coriander and total contents of those were 878.485mg/kg. The major components were (E)-2-Decen-1-ol, (E)-2-Decenal, and (E)-2-Tetradecenal. And a large amount of aldehydes and alcohols were shown in the leaf of coriander. By blanching, a total of 75 flavor components were detected in the leaf of coriander and total contents of those were 846.49mg/kg. The major components were (E)-2-decenal, (E)-2-Tetradecenal, decanal. The amounts of aldehydes were increased more. However, the amounts of alcohols were decreased more than those of the fresh leaf, respectively. A total of 77 flavor components were detected in the root of coriander and total contents of those were 455.064mg/kg. The major components were (E)-2-Tetradecenal, (E)-2-Decenal, and (E)-2-Dodecenal. By blanching, the kinds and the contents of the flavor components decreased and the major components is the same of the fresh root. And the contents of aldehydes and alcohols, acids decreased. However, the contents of esters and ketons increased.

  • PDF

Agrocybe cylindracea로 부터 분리한 다당류의 정제와 특성 (Characteristics and Purification of Polysaccharide Produced from Agrocybe cylindracea)

  • 김선희;정인창;김소연;이종숙;조현제;이항우;이재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2호통권89호
    • /
    • pp.100-106
    • /
    • 1999
  • Agrocybe cylindracea의 배양방법별 균사체 및 다당류 생산수율비교 실험에서는 모두 진탕배양이 효과적이었다. 다당류의 정제는 조단백다당류를 이용하여 DEAE-cellulose column에 의한 1차 정제를 행하였고, 최종으로 Sepharose 2B를 이용한 2차 정제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균사체내다당류(ACIPDG, ACIPAG)와 균사체외다당류(ACEPDG, ACEPAG)를 얻었다. ACEPDG는 총당 75.8%, ACEPAG는 총당 65.4%를 함유하였으며, ACIPDG는 총당 89.2%, ACIPAG는 총당 54.2%의 조성을 보였다. 다당류 분획물들의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모두 10만이 넘는 거대분자로 ACEPDG 300KDa에서 ACIPAG 600KDa까지 나타났다. 다당류의 조성을 HPLC로 분석한 결과, ACEPDG분획물은 glucose, inositol이 검출되었으며 ACIPDG, ACEPAG, ACIPAG 분획물은 glucose, fructose, inositol이 검출되었다.

  • PDF

덩굴차(Gynostemma pentaphylum Makino)의 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 이헌옥;고영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6권4호통권13호
    • /
    • pp.69-83
    • /
    • 1990
  • 덩굴차의 차로서 맛에 관계되는 성분과 약리 효과를 타나내는 saponin에 대해서 알아보고, 또한 이들 성분이 산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된 실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일반성분의 함량중 조지방은 거창산에 1.62%로 가장 많았고, 수원산 1.56%, 및 울릉도산 1.00%의 순이었다. 조단백은 거창산이 17.83%. 수원산 15.83%, 및 울릉도산 12.28%로 나타났으며, 회분의 함량은 거창산이 14.80%, 울릉도산이 10.17%, 및 수원산이 9.34%로 조지방, 조단백질, 회분이 모두 거창산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환원당의 함량은 수원산이 3.3%로 가장 높았고, 거창산이 1.3%, 울릉도산이 0.5%로 나타났다. 각각의 유리당의 함량은 수원산과 거창산 모두에서 과당과 포도당의 양이 가장 높았다. 3. 아미노산의 함량은 수원산이 1.41%로 가장 높았고, 거창산이 1.37%. 울릉도산이 0.53%로 가장 낮았다. Asp. Thr. Ser. Glu. Gly. Ala. Val. Met. Ileu. Leu. Tyr. Phe. Lys. His. Arg.및 Try.외 16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는데 glutamic acid와 methionine을 제외하고는 수원산의 아미노산 함량이 거창산이나 울릉도산에 비해 모두 높았으며, glutamic acid는 울릉도산에서, methionine은 거창산에서 가장 높았다. 공통적으로 함량이 많은 아미노산의 순은 Gly. Asp. 및 Glu였고, 가장 적은 아미노산의 순은 Lys. Ser. 및 Try. 이었다. 4. 무기질은 칼슘, 망간. 카드뮴, 칼륨, 나트륨, 납, 마그네슘, 철, 아연, 구리 등 10종이 검출되었는데 카드뮴, 나트륨, 마그네슘, 아연, 구리의 함량은 울릉도산에서 가장 높았고, 칼슘, 망간. 철은 거창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칼륨은 수원산에서 가장 높았다. 5. Tannin은 거창산이 6.3%로써 수원산 2.5%. 이나 울릉도산 2.6%에 비해 월등히 많은 양을 함유하고 있다. Caffeine과 vitamin C는 수원, 거창 및 울릉도산이 1.77%, 수원산이 1.49%로 나타났으며, 덩굴차에는 인삼 saponin성분과 동일한 saponin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실험 결과에 나타난 것과 같이 산지에 따라서 그 성분의 차이가 있으므로 그 맛이나 향기, 색깔 또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앞으로 관능검사나 독특한 향기성분, 색소성분등을 분석연구한다면 좀더 우리 입맛에 맞는 맛을 가진 보편성을 가진 차로 한층 더 개발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조리방법에 따른 고구마의 당 함량 변화 (Changes in Sugar Content of Sweet Potato by Different Cooking Methods)

  • 서형주;정수현;최양문;배송환;김영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82-187
    • /
    • 1998
  •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고구마 조리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인 전자렌지, 가스오븐렌지 및 증자에 의해 조리과정 중 고구마의 중량, 환원당의 양, 당의 조성 및 효소의 활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조리과정 중의 중량변화는 전자렌지와 가스오븐렌지를 이용하여 조리하였을 때 수분의 증발이 일어나 중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증자의 경우에는 중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의 함량은 전자렌지를 이용하여 조리한 경우 조리과정 중 환원당의 양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가스오븐렌지와 증자 시 환원당의 양이 증가되는 경향을보여, 중심부지 온도가 10$0^{\circ}C$일 때 334.60 mg/g과 381.29 mg/g으로 상당히 많은 양의 환원당이 생성되었다. 조리시 당의 성분변화는 가열전 fructose, glucose, surose는 각각 1.56 mg/g, 1.79 mg/g, 5.58 mg/g의 함량을 보였으나, 조리과정 중 fructose, glucose, surose는 조리전에 비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조리전 2.22 mg/g의 함량을 보인 maltose는 조리가 진행될수록 증가하여 전자렌지에서 60초 조리하였을 때 9.01 mg/g, 가스오븐렌지 에서 중심온도가 10$0^{\circ}C$일 때 24.81 mg/g, 증자시 중심온도가 10$0^{\circ}C$일 때 28.10 mg/g으로 증가하였다. 조리과정 중의 $\beta$-amylase의 활성은 조리과정이 진행될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열전도율이 높은 증자에 의한 조리시 전자렌지나 가스오븐렌지에 비해 효소의 활성이 급격히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invertase의 효소활성 역시 조리가 진행될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가스오븐렌지와 증자에 의해 중심온도가 7$0^{\circ}C$와 8$0^{\circ}C$에 도달하였을 때 56.8 unit, 3.2 unit와 65.7 unit와 13.3 unit의 잔존활성을 보였으나 중심온도가 9$0^{\circ}C$와 10$0^{\circ}C$일 때 잔존활성은 측정되지 않았다.

  • PDF

문헌(文獻)속에 나타난 죽(粥)의 분석적(分析的) 고찰(考察) (Analytical Study of Jook(Korean gruel) Appeared in the Books)

  • 신혜승;조은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609-619
    • /
    • 1996
  • In this study, the alteration of Jook was studied by analyzing and comparing ingredients of Jook appeared in the reference of cookbooks from 1611 to 1958. 121 kinds of Jooks were mentioned 371 times. The Jooks made only with grains, mostly Hin Jook (white Gruel) made of rice, were recorded 31 times in 10 kinds. Rice or processed rice appeared most (194 times) as main ingredients in Jooks other than Hin Jook. As for condiments, honey and sugar were mentioned 37 times, accounting for one third of the condiments recorded as used for Jooks. The basic ingredient of Jooks were rice, but mostly the Jooks were named after the subsidiary materials. Chinese medicinal ingredients were most among the subsidiary materials; 35 kinds of them were mentioned 73 times. As regards the ingredients of the Jook, the other ingredients were added to the grain ingredients between the 17th century and the 19th century whereas only grains were put into Jook during the 20th century.

  • PDF

고추의 건조방법(乾燥方法)에 따른 성분(成分)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 2 보 Free amino acid 및 Free sugar의 변화(變化)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Drying Methods upon the Chemical Changes in Red Pepper - 2. Changes of Free amino acid, Free sugar -)

  • 박춘란;이강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8권4호
    • /
    • pp.33-37
    • /
    • 1975
  • This investigation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drying methods on the free amino acids and free sugars in red pepper and to study the browning mechanism of brown-colored red pepper. Three different drying methods were employed: 1) Sun-drying at $25{\sim}28^{\circ}C$ for 15 days, 2) Drying in oven at $60^{\circ}C$ for 49 hours, and 3) Drying in oven at $90^{\circ}C$ for 8 hours. Dried and ground peel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free amino acids and free suga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ixteen kinds of amino acids i.e. asparagine, methionine, and cystine etc. were identified. Total amino acid content of the sun-dried sample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the fresh sample, but the samples dried at $60^{\circ}C$ and $90^{\circ}C$ in the oven were decreased to 24.9% and 67.4% respectively. Of amino acids identified, methionine, lysine and aspartic acid were decreased in all treatments. Especially, methionine ana aspartic acid were decreased rapidly to 71.8% and 73.3% , respectively. 2. Three kinds of free sugars i.e.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were identified. The total content of free sugar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each treatment. Among the reducing sugars, glucose was rapidly decreased; 65.9% for the glucose of sample dried at $90^{\circ}C$ in the oven. 3. At the higher drying temperature, the darker red color was found. Brown-color appeared at $90^{\circ}C-drying$ showed appreciable losses in carotenoid content, but the major color seems to be due to the large increase in browning compounds. 4. It was assumed that increased browning compounds of red pepper were due to the Maillard reaction which is a nonenzymatic browning process.

  • PDF

한국산 비파의 부위별 영양성분 (Nutrition Components in Different Parts of Korean Loquat(Eriobotrya japonica Lindl.))

  • 배영일;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7-63
    • /
    • 1998
  • To furnish basic data about the utilization of Korean loquat as floo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Nutritional components in leaves, fruit excluded seed, flesh and seed of Korean loquat were analyzed as follows : moisture 48.7%, 87.8%, 88.3% and 59.5% ; total sugar 1.57%, 7.21%, 7.36% and 2.41% ; crude protein 5.23%, 1.61%, 1.44% and 4.31% in each portion, respectively. The highest mineral contents of loquat leaves, fruit excluded seed, flesh and seed were Ca 2,458ppm, K 661ppm, 654ppm and 1,528ppm, and water soluble vitamins such as ascorbic acid, thiamin and pyridoxine were confirmed in different pares of Korean loquat, the contents of those were high thiamin 5.86mg% in leaves and ascorbic acid 1.l0mg%, 1.26mg% and 4.90mg% in fruit excluded seed flesh and seed,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free sugars were high sucrose 0.87%, glucose 0.62%, 0.6475 and rhamnose 0.20%, and major organic acid were detected oxalic acid 1,693.70mg%, malic acid 201.70mg%, 207.60mg% and citric acid 55.70mg% in each portion, respectively. Free amino acid were identified 21, 14, 14 and 16 kinds of leaves, fruit excluded seed, flesh and seed, respectively and their contents in each portion were highest glutamic acid 280.22mg%, proline 35.l0mg%, glutamic acid 56.96mg% and sarcosine 230.24mg%, respectively. Volatile components were identified 25 and 11 kinds of leaves and flesh and their contents were highest d-nerolidol 28.70ppm, hexadecanoic acid 16.67ppm, respectively.

  • PDF

배합사료 원료에 대한 방사선 살균 효과 ; 탄수화물의 살균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Decontamination of Animal Feeds: Sterilization of Carbohydrate Sources)

  • 조한옥;변명우;권중호;이재원;김영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97-102
    • /
    • 1987
  • 배합 사료의 전분질원으로 사용되는 13종의 곡류 및 곡류 부산물의 미생물 오염 정도와 방사선 조사에 의한 살균효과 및 이화학적 특성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3종의 사료 원료의 호기성 전세균의 오염은 $10^2-10^6/\;g$ 범위였으며 5-7 kGy의 방사선 조사로 거의 살균되었고, 대장균 균은 $10^2-10^5/\;g$로 높게 오염되었으며 이들은 3-5 kGy 조사로서 완전 사멸되었다. 총 곰팡이의 오염은 $10^2-10^4/\;g$ 정도로서 오염 곰팡이의 대부분이 내삼투압성 곰팡이었으며 5-7 kGy 조사로서 검출 한계 이하로 사멸되었다. 또한 이들에서 분리된 곰팡이는 Aspergillus속과 Penicillium속이었으며, 분리된 10여종의 곰팡이중 Aspergillus flavus group을 포함한 7여종의 잠재적 독소를 생성하는 균이었다. 총 아미노산과 전당 함량, 색도, TBA 등이 이화학적 특성변화에서는 고선량 방사선 조사와 훈증처리는 다같이 대조구에 비해 다소의 영향을 미쳤으나 훈증처리구는 더욱 현저하였다.

  • PDF

재료 배합을 달리한 브라운소스의 저장 중 품질 특성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ombination of Brown Sauce during Storage)

  • 이광일;이경희;이영순;신민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698-703
    • /
    • 2002
  • 소뼈의 일부를 돼지뼈와 닭뼈로 대체하고 와인을 첨가한 것과 와인을 첨가하지 않은 4종류의 브라운소스의 저장 중 품질변화를 pH, 효소활성, 환원당 등의 이화학적 특성과 소스의 색, 점도를 중심으로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4종류의 브라운소스의 pH는 5.0~5.6이었다. 와인이 첨가되지 않고 돼지뼈로 대체한 소스가 5.51~5.56으로 가장 높았고 와인 첨가되고 닭뼈로 대체한 소스의 pH가 5.0~5.06으로 가장 낮았으며 시일 경과에 따른 pH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2. $\alpha$-amylase의 활성은 와인이 첨가되고 닭뼈를 대체한 소스가 가장 높았고 그밖의 소스는 효소 환성이 유사한 정도로 낮았다. 저장 기간 중 효소 활성은 2~6일 사이에 높아졌다가 그 이후에 떨어졌다. 3. 환원당 함량은 와인이 첨가되고 닭뼈를 대체한 소스가 35.5%로 가장 높았고 와인이 첨가되며 돼지뼈를 대체한 소스는 18.2%이었으며 와인이 첨가되지 않은 소스는 첨가된 소스보다 환원당 함량이 낮았다. 저장 10일 후의 환원당 함량 변화는 크지 않았으며 일관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4. 소스의 색은 와인 첨가된 것이 첨가되지 않은 것보다, 동일 조건에서 닭뼈를 대체한 것이 돼지뼈를 대체한 것보다 L, a, b값이 낮았다. 따라서, 와인이 첨가되고 닭뼈로 대체한 소스는 L, a, b값이 가장 낮았고 색이 가장 진했다. 또한 냉장 저장한 후의 브라운소스의 색은 L, a, b값이 모두 낮아져서 색이 진해지는 변화를 보였다. 5. 브라운소스의 점도는 와인이 첨가되지 않고 닭뼈로 대체된 소스의 점도가 가장 높고 와인이 첨가되고 닭뼈로 대체된 소스의 점도가 가장 낮았으며, 와인이 첨가되지 않은 소스는 와인이 첨가된 소스보다 점도가 높았다. 저장 시일이 경과됨에 따라 모든 소스는 효소 활성이 증가하기 전인 2~6일까지 점도가 높아졌으나 그 후에는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으로 4종류의 소스 중 와인을 첨가하고 닭뼈를 대체한 소스는 $\alpha$-amylase 활성이 높아 환원당 생성이 가장 많았고 환원당에 의한 갈변반응이 잘 일어나 색이 진했으며 저장 중의 점도 변화도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