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ndergarten experience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1초

유치원 아동의 의복구매와 치수 맞음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othes Purchase and Size Fit for Kindergarten Children)

  • 장미나;이영숙;김순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6-129
    • /
    • 2013
  • This research analyzes the status of clothes purchase and the size fit of the clothes for kindergarten children in the Daegu city area. The total of 344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summary and the conclusion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accompanying children when purchasing appeared mostly 'sometimes accompany'. Second, the parents appeared 'sometimes reflect children's opinions'. Third, the main information source was 'store display'. The main place of purchase was large discount stores, internet home-shopping, and department stores (respectively)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ge of the parent(p<.05) and monthly incomes(p<.001). In the clothes size selection, 72.1% of the parents selected 'one size larger' at time purchase and showed asignificant difference by monthly income. Repair-experience after purchase appeared in 31.4% of the samples because of the inadequate length and width of the clothes. The unfit clothes parts were in the order of pant length, sleeve length, waist part, jacket length, pant width, hip part, and crotch,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 based on gender. The salient purchasing point for child clothing was in the order of 'size fit', 'color and pattern', 'design' and 'convenience in actio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at kindergarten children need adequate size for growing and convenient pattern designs (that include materials at stretching parts) for positive acting because they are in a period of frequent activity and growth.

BP 신경 망 기반 유치원 공간 설계 (Kindergarten space design based on BP (back propagation) neural network)

  • 랴오펑청;반영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1-10
    • /
    • 2021
  • 과거에 설계자는 주로 과거의 경험과 설계 공간에 대한 산업 표준 임계값에 대한 참조에 의존했습니다. 이러한 설계는 종종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하지 않는 공간을 초래합니다. 공간설계를 위한 BP신경망 알고리즘을 구축해 설계 매개변수를 생성하는 과정과 방법을 조사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런 관점에서. 본 논문은 공간 내 복잡한 욕구가 많은 유치원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기계학습의 BP신경망 알고리즘을 통해 환경행동변수와 공간설계변수의 상관관계를 각인하고 있다. 공간 설계 매개변수를 생성하는 방법을 연구합니다. 미래에는 특정 환경행동영향요소를 대체하여 해당 공간설계 매개변수를 도출할 수 있어 보다 광범위한 시나리오에 적용할 수 있고 설계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유치원 아동들의 구강보건행태에 따른 구강건강실태 연구 (A Survey on the Oral Health in Accordance with The Oral Health Behavior of Children in Kindergarten)

  • 이윤희;좌수경;최성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419-426
    • /
    • 2013
  • 본 연구는 유치원 아동들의 구강보건행태에 따른 구강건강실태를 조사하여 치아우식증을 예방하기 위한 올바른 습관 형성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자 한다. 연구대상은 대구시에 위치한 유치원 7세 아동 213명으로 조사된 자료는 spss ver.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일 칫솔질을 3회, 4회 수행하는 아동들은 자발적 수행능력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매 식사후 칫솔질을 하는 아동들 역시 치아우식경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평소 회전법으로 칫솔질을 한다는 아동의 우식경험유치지수와 당일 칫솔질을 하고 온 아동의 치면세균막지수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올바른 방법의 수행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사료되며 구강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칫솔질 실천율을 높이는 것과 동시에 구강보건교육에 있어 올바른 칫솔질 수행 능력의 증대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사립유치원장의 교사 채용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eacher Recruitment Experience of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

  • 변영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199-204
    • /
    • 2018
  • 본 연구는 유치원교사 채용 시 고려하는 사항과 그 이유를 조사하여 대학(유아교육과)에게 성공적 취업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원장 경력 10년 이상 사립유치원장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근거이론의 개방코딩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심층면담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11개의 중심개념별 하위요인을 도출하여 이를 4개요인(성격요인, 사회성요인, 인성요인, 전문성요인)으로 유목화 하였다. 연구 참여자 모두 성격요인에서는 성실성, 사회성요인에서는 대인관계안정성, 인성요인에서는 정직성, 전문성요인에서는 교육과정 수행 능력을 최우선 고려요인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좋은 인성을 지닌 교사가 성공적인 교사직무수행의 전건이라 지각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라 대학에서는 교과별 포트폴리오 제작 등을 통하여 재학 중 현장 밀착형 교육과 더불어 방학을 이용한 교육봉사활동 등의 제도화와 공동체 삶에 대한 역량개발을 위한 교양교과 개발 등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밖에도 전공역량 강화를 위한 현장중심형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재학 중 현장직무능력을 함양하도록 해야 함을 제기하였다.

Current Status and Parents' Perception on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s for Preschoolers in Korea

  • Lee, Joo Eun;Hong, Jong Won;Kim, Jongyu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5-65
    • /
    • 2020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163 parents in Korea to investigate their interest in plants, experience in growing plants, and perception on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s (HAP) for their children. Most children (80.4%) of the respondents had experience participating in HAPs, and most of their experience occurred during school hours in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s more than once a month (60.3%). The more interest in plants and experience in growing plants the parents had, the more experience the preschoolers had in participating in HAPs, which implies that the experience of the parents with plants affected their children's participation in HAPs. Parents' most preferred location of HAPs was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most preferred time was school hours with a frequency of more than once a week (57.1%), which is more frequent than the current status of HAPs in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s. Parents also responded that the most preferred instructors of HAP has are those with a professional background in horticulture. Among the activities in HAP for preschoolers, parents most preferred cooking (M = 4.05) activity, and they did not dislike any of the activities. They responded that the facilities for HAP needed to be improved to make HAP more active in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s. Overall, based on the current results, developing suitable HAPs and facilities for preschoolers, fostering professional HAP instructors, and educating parents about horticulture would enhance HAPs in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s, thus providing preschoolers with many benefits of HAPs.

난독증 인식차이에 대한 실태조사 연구 - 교사와 학부모집단을 중심으로 - (A Survey on Perception Gaps in Dyslexia: Focusing on Teachers and Parents Group)

  • 한윤옥;오덕성;이아영;변현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7-43
    • /
    • 2015
  • 난독증은 초기에 발견해야 할 중요한 독서 장애요소이다. 비록 난독증 인구는 많지 않지만 국가적으로 관심을 갖고 지원해야 할 독서소외계층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이것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는 난독증이 본격적으로 드러나는 시기에 가장 민감하게 이를 선별해야 하는 학부모, 초등학교교사, 유치원교사, 사서(사서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난독증에 대해 얼마나 인식하고 있으며, 그 차이는 어떤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도시와 중소도시, 농 산 어촌에 거주하고 있는 학부모, 초등학교교사, 유치원교사, 사서(사서교사) 총 63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난독증에 대한 인식은 직업, 거주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난독증에 대한 인지의 유무와 난독인을 직접 만나본 경험의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아교사의 교직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에 대한 연구: 배경변인, 발달단계, 책무성 인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Variables Affecting Kindergarten Teachers' Adaptation to the Teaching Profession : Focused on Background Variables, Development Stage, and Perception of Accountability)

  • 김순남;최혜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53-76
    • /
    • 2012
  • 본 연구는 교사의 배경변인 및 발달단계, 교사에 대한 책무성 인식이 교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24명의 공 사립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 면에서 교사들은 연령이 많아짐에 따라 교직적응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 면에서 교사들은 경력이 늘어남에 따라 교직 적응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경력이 6-10년인 교사와 11년 이상인 교사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력 면에서 4년제 대학 졸업 또는 대학원 이상 교사들이 전문대를 졸업한 교사보다 교직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입문수용 단계에서 벗어나 능력구축 단계와 열중성장 단계에 있을 때 교직 적응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들의 책무성 인식이 높을수록 교직 적응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의 교직 책무성 하위영역 중에서는 전문적 책무성이 교사의 교직 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DACUM 기법을 활용한 유치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분석 (Job Analysi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Using DACUM Technique)

  • 김경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05-316
    • /
    • 2022
  • 본 연구는 DACUM 기법을 사용하여 유치원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의 직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 특수학급 교육경력이 풍부한 6명의 유아특수교사로 DACUM 위원회를 구성하고 총 6회기의 DACUM 워크샵을 거쳐 직무정의, 직무기술서, 직무명세서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유치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명세서는 9개의 책무와 53개의 과업으로 구성되었고 직무 기술서는 80개의 지식, 98개의 기술, 22개의 태도로 구성되었다. 유치원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는 가정연계지도, 건강과 안전관리, 초등학교 전이지도, 놀이주제에 따른 환경구성, 실내외 놀이 활동지도가 초·중등 특수교사와 차별화된 과업이었다. 지식의 경우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과 행동수정에 대한 지식이 우선순위를 차지하였고, 기술은 관찰과 기록, 부모면담 및 부모교육기술이, 태도는 전문가와 행정가로서의 태도가 우선순위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직무분석의 결과는 대학에서 직무역량이 높은 유아특수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유치원 아동과 어머니의 아동도서 접근관점의 관계성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kindergarten children's reading stances and responses with relation to those of their mothers)

  • 권민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79-94
    • /
    • 1998
  • The case study describes kindergarten children's reading stances and responses with relation to those of their mothers'. Rosenbaltt's theory (1978) of aesthetic and efferent stances in used to character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der and the text. mother's reading stances are examined by observing each case study child's reading experience with his/her mother at home. In most cases differences in some children's preferred stances seemed to reflect differences in their mothers' stances. As a result, children took a different type of stance from the teacher's efferent stance and were perceived by the teacher to be slower with regard to literacy development, even though they had formed their own reading worlds. Interestingly enough, children with an aesthetic reading stance were welcomed among their peers during free play time. In contrast, children who took a stance congruent with the teacher's efferent stnace were perceived by the teacher to be on the right track with regard to literacy development, although their reading worlds seened to be limited. Interestingly, the children with efferent reading stances were not engaged in collaborative meaning negotiation processes with peers. The case study children with mothers who did not take an extreme type of stance, I.e., neither a very efferent nor a very aesthetic stance, seemed to choose a type of stance depending on a context.

  • PDF

유치원 및 어린이집 아동의 우유병우식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URSING CARIES OF KINDERGARTEN CHILDREN IN KOREA)

  • 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83-492
    • /
    • 1998
  •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etiologic factors of nursing caries, oral examination was performed on 1,100 kindergarten children from 6 Seoul areas and 3 Hongchun areas. Parents were asked to fill out questionnair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prevalence of nursing caries among 1,100 in the sample group(age 30-75 months) was 14.8%. 2. Fathers' education level(p<0.05), mothers' education level(p<0.01) and monthly income was higher in caries-free group children. 3. When the dietary tendencies of nursing caries group and caries-free group were compar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ngth and method of feeding were found. However, nursing caries group showed higher frequency of bedtime nursing habit(p<0.01), daytime use of bottle as a comforter(p<0.01) and other beverage feeding in addition to milk(p<0.01). 4. When the parents' awareness of caries prevention was compared, caries-free group per formed more frequent tooth cleansing(p<0.05) and periodic dental examination(p<0.01).5. Dental caries experience of mother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aries free group(p<0.05).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deleterious nursing habit had great effect on developing nursing caries and the incidence of nursing caries was lower among children with parents of higher socioeconomic statu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