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mchi ingredient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3초

김치발효 중 Mannitol 생성에 미치는 올리고당류의 영향 (Effect of O1igosaccharides on Mannitol Accumulation during the Fermentation of Kimchis)

  • 강선철;윤종원노택욱
    • KSBB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181-185
    • /
    • 1996
  • 김치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김치제조 중에 프락토올리고당, 대두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 고당을 각각 첨가하여 발효과정에서 이들 올라고 당류가 mannitol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 였다. 프락토올리고당을 첨가한 김치의 경우, $25^{\circ}C$에서 첨가된 올리고당이 mannitol의 생성량을 증가 시킨데 비해, 대두올라고당의 경우는 $35^{\circ}C$에서 증가 효과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소말토올리고당의 첨 가영향은 모든 실험조건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프락토올리고당과 대두올라고당은 조건에 따라 김치발효 중에 mannitol의 생성량을 증가시키는 효 과를 나타내므로 냉음미와 기능성이 동시에 강화된 김치제조의 효과적인 첨가제로 인정되었다.

  • PDF

Effec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abakkimchi during Fermentation

  • Moon, Sung-Won;Kim, Byong-Ki;Jang, Myung-Soo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4호
    • /
    • pp.564-571
    • /
    • 2006
  •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and preservation of nabakkimchi, omija was added as an ingredient to determine its effect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as well as the optimum level of omija extract. Omija extract was prepared from omija seeds by extraction with water for 9 hr at room temperature in concentrations (w/v) of 0.5, 1.0, 1.5, and 2.0% for use as an ingredient in nabakkimchi.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nabakkimchi containing omija extract were analyzed during fermentation of the product for up to 25 days. Delayed fermentation was observed, particularly in the early stage of fermentation, and was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the omija extract, as shown by stabilization of pH decreases and increases in the total acidity. An increased concentration of omija extract also raised the initial total vitamin C content and the reducing sugar content, which both then stabilized thereafter. Delayed development of turbidity within the optimum fermentation period of 16 days, increased redness and total color difference, and an electron-donor effect were also promoted by the omija extract. However, the omija extract also triggered extra tannin production, which leads to an astringent taste, especially at the 1.5 and 2.0% treatment levels.

[김치환] Cyclodextrin을 이용한 김치환의 제조 ([Kimchi Pill] Preparation of a Kimchi Pill Using Cyclodextrin)

  • 안용근;이경행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7-218
    • /
    • 2005
  • 김치는 상온에서 산패 및 연부되고 냄새가 강해져서 오래 보존할 수 없으나, 건조하여 환으로 만들면 변질되지 않고, 상온에서 장기간저장 및 유통시킬 수 있고, 냄새를 줄이고 영양분을 고농축할 수 있다. 그러나 건조시 김치의 유산과 향기 성분이 휘발하여 없어진다. 그래서 cyclodextrin(CD)을 안정제로 사용하여 발효 후보다는 발효 전에, $1\%$보다는 $2\%$ 첨가하는 경우가 유산의 휘발 방지 작용이 컸으나 총당, 환원당, 단백질, 아미노산에 대하여서는 영향이 크지 않았다. 김치에 CD를 $1\%$ 가하여 1차로 동결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분말로 만들고, 분말에 풀을 가해 반죽하여 환으로 성형하고, 2차로 건조기로 말려서 환을 제조하였다. 2차 건조시 동결건조한 김치환의 색과 냄새가 가장 좋았고 그 다음 자연건조, 열풍건조의 순이었다. 유산도 동결건조가 가장 적게 증발되고, 다음 자연건조, 열풍건조의 순이었다. 열풍건조의 경우 $60^{\circ}C$ 이상에서 장기간 건조하면 김치를 삶은 냄새, 탄내, 탄맛이 생겼다. 발효시키기 전의 김치, CD를 가한 발효김치, 김치환 세 가지의 흡광도를 분광광도계로 분석한 결과 약간의 차이 밖에 없었다. 이들 세 무리 시료를 Superose 12컬럼을 사용한 HPLC로 280nm와 210nm에서 검출 분석한 결과 주피크의 위치와 양은 비슷하였으나 다른 피크들은 분포가 달랐고, 펩티드 및 아미노산으로 보이는 다양한 피크가 나타났다. CD를 $1\%$ 가하여 만든 김치환은 8배 농축되고, 총당 $14.4\%$, 환원당 $8.8\%$, 단백질은 $4.8\%$, 아미노산 $2.4\%$, 기타 성분 $74.4\%$, 산도 32.8, pH는 3.5를 나타냈다. 비만인 사람 20명, 변비환자 20명에게 60일 동안 세 번 30개(하루 총량 30g)의 김치환을 섭취시킨 결과 몸무게는 평균 $2.29\%$ 감소하였고, 변비는20명 중7명이 모두 해소되고, 8명이 '효과가 있다'고 답하였다.

들깨풀 첨가가 열무 물김치의 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rilla Seed paste on the Yulmoo Mul-kimchi during Fermentation)

  • 김형렬;박정은;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90-299
    • /
    • 2002
  • 본 연구는 열무 물김치의 맛과 저장성 향상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열무 물김치에 들깨풀을 첨가하였을 때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들깨풀 첨가량은 열무 물김치의 국물양의 0, 10, 20, 30, 40%로 하였으며, 열무 물김치를 담근 후 1$0^{\circ}C$에서 25일간 발효시키면서 관능적,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열무 물김치의 관능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색, 냄새, 신맛, 탄산미, 텍스쳐,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20%와 30% 처리구가 꾸준히 좋은 평가를 받았고, 특히 20% 처리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pH는 발효 13일까지는 들깨풀을 첨가하는 양이 증가할수록 높은 pH를 나타내었고, 총산도의 함량은 낮게 나타났다. 발효 16일 이후부터는 들깨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pH와 높은 총산도를 나타내었다. 총비타민 C 함량은 적숙기까치 서서히 증가하다 최대값을 보인 후 다시 감소하였다. 들깨풀 20% 처리구가 총 비타민 C 감소폭이 적으면서 최대한 보유하였다. 20% 처리구는 발효 말기까지 높은 환원당 함량을 나타내었고, 40% 처리구는 발효 16일 이후에는 오히려 빠른 발효를 일으켜 낮은 환원당 함량을 보였다. 탁도는 발효 10일까지는 들깨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0% 처리구에 비해 낮은 폭으로 증가하였으나, 발효 말기로 갈수록 40% 처리구가 오히려 더 크게 즙가하였고, 명도는 발효가 진행되면서 감소하였으며, 적색도는 증가하다 감소하였고, 황색도는 감소하였다. ΔE값은 점차 증가하였다.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여 최대값을 보였다가 이후에 서서히 감소하였고, 20% 처리구가 완만한 증가와 감소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들깨풀은 발효 10일까지 열무 물김치의 발효를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40% 이상 지나치게 첨가했을 때는 발효 13일 이후에는 오히려 좋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20% 처리구는 관능적 평가에서도 꾸준히 높은 접수를 받았고, 이화학적특성 결과에서도 초기 발효를 늦추어 주고 발효 말기까지도 좋은 결과는 나타내어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보였다.

김치 저장 중 N-Nitrosodimethylamine 생성에 젓갈의 함량과 종류의 영향 (Effects of Amount and Type of Jeotgal, a Traditional Korean Salted and Fermented Seafood, on N-Nitrosodimethylamine Formation during Storage of Kimchi)

  • 강경훈;김성현;김상현;김정균;성낙주;이수정;정미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9호
    • /
    • pp.1302-1309
    • /
    • 2016
  • N-Nitrosodimethylamine(NDMA)은 dimethylamine(DMA)과 아질산염이 반응하여 생성되고 김치의 재료 중 하나인 젓갈은 다량의 DMA를 함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김치저장 중 NDMA와 그 전구물질 함량 변화에 젓갈의 종류와 양의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았다. 젓갈 시료 23건 모두에서 NDMA가 검출되었고 새우젓 9건의 DMA 함량 범위는 16.5~58.9 mg/kg이고, 평균은 30.9 mg/kg이었다. 7건의 멸치액젓에 함유된 DMA 범위는 21.7~44.4 mg/kg이고, 평균은 34.5 mg/kg이었다. 김치는 5그룹으로 나누었다. 즉 멸치액젓과 새우젓을 넣지 않은 김치(대조군), 적은 양의 멸치액젓을 넣은 김치(AK1), 많은 양의 멸치액젓을 넣은 김치(AK2), 적은 양의 새우젓을 넣은 김치(SK1), 그리고 많은 양의 새우젓을 넣은 김치(SK2)로 나누었다. 김치 저장기간 동안 SK2가 SK1보다 DMA 함량이 높았고, 김치 저장 10일 후 AK2가 AK1보다 DMA 함량이 높았다. AK1과 SK1에 함유한 아질산염 함량은 김치 저장 20일에 AK2와 SK2에 함유된 아질산염 함량보다 높았다. 김치 저장 0과 10일에 NDMA 함량이 SK2 내에서 SK1 내의 그것보다 현저하게 높았고, 저장 0일에 AK2 내 NDMA 함량이 AK1 내 그것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DMA와 NDMA에 대한 젓갈의 양과 종류에 대한 영향은 저장 초기에는 뚜렷하였으나 20일 동안 저장한 김치에서는 감소하였다. 이들 결과는 젓갈의 함량과 종류가 김치 내 NDMA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Dead Lactobacillus plantarum Stimulates and Skews Immune Responses toward T helper 1 and 17 Polarizations in RAW 264.7 Cells and Mouse Splenocytes

  • Lee, Hyun Ah;Kim, Hyunung;Lee, Kwang-Won;Park, Kun-Yo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3호
    • /
    • pp.469-476
    • /
    • 2016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immunomodulatory effect of dead nano-sized Lactobacillus plantarum (nLp) in RAW 264.7 cells and murine primary splenocytes. nLp is a dead, shrunken, processed form of L. plantarum nF1 isolated from kimchi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cabbage) and is less than 1 μm in size. It was found that nLp treatment stimulat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more in RAW 264.7 macrophages than pure live L. plantarum (pLp), and that the stimulatory properties were probably largely derived from its cell wall. In addition, nLp induced murine splenocyte proliferation more so than pLp; in particular, a high dose of nLp (1.0 × 1011 CFU/ml) stimulated proliferation as much as lipopolysaccharide at 2 μg/ml. Moreover, according to our cytokine profile results in splenocytes, nLp treatment promoted Th1 (TNF-α, IL-12 p70) responses rather than Th2 (IL-4, IL-5) responses and also increased Th17 (IL-6, IL-17A) responses. Thus, nLp stimulated NO release in RAW 264.7 cells and induced splenocyte proliferation more so than pLp and stimulated Th1 and Th17 cytokine productio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dead nLp has potential use as a functional food ingredient to improve the immune response, and especially as a means of inducing Th1/Th17 immune responses.

부재료를 달리하여 제조한 김치의 발효특성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by Addition of Different Kinds of Minor Ingredients)

  • 이진희;조영;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8
    • /
    • 1998
  • 부재료를 달리하여 제조한 김치의 발효속도특성 및 미생물학적 발효양상을 조사하였다. 발효 진행에 따라 김치 시료들의 pH는 감소하고 총산도는 증가하였고, 산화환원전위는 감소되다가 다시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고 발효 최적기에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전 발효 기간 동안 생강, 고추가루 및 혼합시료에서 총생균수와 젖산균수가 많았으며, Leu. mensenteroides의 수는 생강과 고추가루 시료에 많았다. 김치의 적숙기에 젖산균 및 Leu. mensenteroides의 수가 최대이었고 Leu. mensenteroides가 감소하는 시기에 Lac. plantarum이 생기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발효속도 및 미생물 특성의 경시적 변화가 마늘 시료에서는 느리게 적생고추 시료에서는 빠르게 진행되었다. 따라서, 마늘은 젖산균 발효를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오래 지속되게 하여 김치의 가식일수를 늘이는 저장성 향상에 필요한 부재료이고, 생강과 고추가루는 젖산균과 그 중 Leu. mensenteroides의 생육을 촉진하여김치 맛을 좋게하는데 도움이 되는 부재료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산화환원전위가 김치의 발효 최적기를 찾는데 유용한 지표가 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증국 운남성 백족의 음식문화 (Food of China Yunnan Baizu)

  • 신계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25-23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hina Yunnan Baizu food. This study was performed a visit market based on in- depth interview with food experts those who lived in Baizu provinc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ain food of Baizu were Bab, Dduk(BaBa), Nuddle(Mi xian) made from rice. They ate all kind of food from vegetables, fish, and pork, but the remarkable thing was that there were practical limit to select the ingredient. They would use some fermented products such as Pao-chai, Yan-chai, Zha. Pao-chai was fermented vegetables like Kimchi, Yan-chai was similar with Changachi in Korea, and Zha was prepared from meat and fish. Menus for Banquets were included 8 kinds of cold appetizer, 8 kinds of hot dishes, and 2 kinds of sweet desserts. The ingredients were local products and they considered hot, sour, cold taste importantly. The method of cooking was simple and Rusan, Sengpi was the most traditional Baizu food. Ru san is one of dishes prepared from the milk, and milk pedimented product. Sengpi was uncooked pork.

  • PDF

대학생의 점심섭취 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 시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urvey for Lunch of the College Stedent in Seoul)

  • 유영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5-174
    • /
    • 1981
  •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circulating questionares to three hundred sampled college students in Seoul.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52% of MS (Male Students) and 25% of FS(Female Students) brought home-made lunches with them, while 39.2% of MS and 51.6% of FS used food services in campus. 2. Contents of home-made lunches were steamed rice(57%) or steamed ricebarley mix(24%) as a major diet, and Kimchi (Korean style pickled vegetable), fried eggs, soy-sauced sardins as side-dish. The favorite eating places for the students with home-made lunches were found to be campus dining hall for MS, classrooms for FS. 3. The primary reason for not having home-made lunches are the difficulties for handing. 4. The preference for the food served in campus dining hall was the traditional Korean food for MS and western style Snack (bakery and soft drinks) for the FS. 5. Costs spent for lunches were in the range of 200~600 won. 6. Followings are the comparison table for each ingredient compared with recommended daily requirement (RDR).

  • PDF

Antimicrobial activities in the Korean Traditional Leaf Mustard, Brassica juncea Coss.

  • Kang Seong-Koo
    • Plant Resources
    • /
    • 제8권2호
    • /
    • pp.96-102
    • /
    • 2005
  • As part of developing natural food preservatives, the antimicrobial effect of 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the Cruciferous vegetable was examined Korean traditional Brassica juncea Coss. was used widely as an ingredient of Kimchi, a natural flavoring and spice for a long time.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examined against 15 microorganisms which were food-born pathogens and/or food poisioning microorganisms and food-related bacteria and yeasts. Ethanol extract from leaf mustard showed an antimicrobial effect in most of the strains used in the present study. The lowest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were seen in Bacillus subtilis and Bacillus natto at 10 mg/ml. MIC of water extract was 40-60 mg/ml for bacteria and yeast.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was not disappeared by the heating at $121^{\circ}C$ for 15 min and not affected by p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