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ey recovery attack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2초

Improved Conditional Differential Attacks on Round-Reduced Grain v1

  • Li, Jun-Zhi;Guan, Jie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9호
    • /
    • pp.4548-4559
    • /
    • 2018
  • Conditional differential attack against NFSR-based cryptosystems proposed by Knellwolf et al. in Asiacrypt 2010 has been widely used for analyzing round-reduced Grain v1. In this paper, we present improved conditional differential attacks on Grain v1 based on a factorization simplification method, which makes it possible to obtain the expressions of internal states in more rounds and analyze the expressions more precisely. Following a condition-imposing strategy that saves more IV bits, Sarkar's distinguishing attack on Grain v1 of 106 rounds is improved to a key recovery attack. Moreover, we show new distinguishing attack and key recovery attack on Grain v1 of 107 rounds with lower complexity O($2^{34}$) and appreciable theoretical success probability 93.7%. Most importantly, our attacks can practically recover key expressions with higher success probability than theoretical results.

오류 주입 공격을 이용한 HMAC에 대한 키 복구 공격 (A Key Recovery Attack on HMAC using Fault Injection Attack)

  • 정기태;이유섭;성재철;홍석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27-33
    • /
    • 2011
  • FDTC'05와 CISC-W'10에서는 오류 주입을 통하여 타깃 알고리즘의 라운드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AES와 Triple-DES의 비밀키를 각각 찾을 수 있음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공격 아이디어를 HMAC에 적용하여 비밀키를 복구할 수 있음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공격은 MD 계열의 해쉬 함수가 사용된 HMAC에 적용 가능하며, 매우 적은 계산 복잡도로 비밀키를 복구할 수 있다. 특히, HMAC-SHA-2에 대한 공격 결과는 HMAC-SHA-2에 대한 첫 번째 키 복구 공격 결과이다.

A Study on the Private Key Backup and Restoration using Biometric Information in Blockchain Environment

  • Seungjin, H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59-65
    • /
    • 2023
  • 다양한 분야에서 블록체인을 적용한 연구가 활발하게 증가함에 따라 블록체인의 사용자를 증명하는 개인키의 관리가 중요하게 되었다. 개인키를 분실하게 되면 본인의 모든 데이터에 대한 권한을 잃게 된다. 이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기존에는 블록체인 지갑, 부분 정보를 이용한 개인키 복구, 분산 저장을 통한 개인키의 복구 등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Shamir's Secrete Sharing(SSS) 스킴과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안전한 개인키의 백업 및 복구 방안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안전성을 메시지 교환시의 견고성, 재생공격, 중간자 공격 및 위변조 공격에 대해 평가한다.

삭제와 오류로부터 RSA 개인키를 복구하는 알고리즘 (Recovering RSA Private Key Bits from Erasures and Errors)

  • 백유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951-959
    • /
    • 2017
  •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인 RSA에 대하여, 만약 암 복호문 이외의 부가 정보가 주어진 경우 이를 이용해 RSA 시스템의 안전성을 분석하는 것은 부채널 공격, 격자 기반 공격 등에서 많이 다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전원이 차단된 DRAM의 데이터 유지 성질을 이용한 Cold Boot Attack에서도 이러한 부가 정보를 이용한 RSA 개인키 복구 방법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체 비트 중 일부 비트는 삭제가 되고 동시에 일부 비트에는 오류가 있는 RSA 개인키가 주어진 경우 원래의 개인키를 복구하는 문제를 다루며, 구체적으로는 이전에 제안된 Kunihiro 등의 알고리즘과 비교하여 그 성능이 향상된 새로운 RSA 개인키 복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스트림 암호 Grain-v1에 대한 연관키 공격 (The Related-Key Attack on Grain-v1)

  • 이유섭;정기태;성재철;홍석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5-52
    • /
    • 2008
  • $K{\ddot{u}}c{\ddot{u}}k$은 eSTREAM 프로젝트에 제안된 스트림 암호인 Grain-v1에 대하여, 공격자에게 키스트림 수열이 주어지면 이를 1-비트 좌측 이동시킨 키스트림 수열을 생성할 수 있음을 보였다[5]. 본 논문에서는 [5]에서 제안된 공격을 확장하여 연관키 선택 Ⅳ 공격을 제안한다. 본 공격은 Grain-v1의 초기화 과정의 취약점을 이용하여 비밀키의 부분 정보를 획득하여 $2^{25.02}$개의 Ⅳ와 $2^{56}$의 시간 복잡도로 Grain-v1의 비밀키를 복구한다. 본 공격은 Grain-v1에 대한 첫 번째 키 복구 공격이다.

복구 가능한 패스워드 기반 키 분배 프로토콜 (Recoverable Password Based Key Exchange Protocol)

  • 손기욱;최영철;박상준;원동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97-10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복구할 수 있는 패스워드 기반 키 분배 방식(RPKEP)을 제안하고자 한다. RPKEP는 패스워드 사용자, 사용자와 비밀 키 정보를 공유하는 서버, 사용자의 패스워드 복구를 도와주는 패스워드 복구 에이전트(PRA : Recovery Agency)로 구성된다. 제안하는 방식은 패스워드 기반 키 분배 방식의 안전성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는 오프라인 사전 공격(off-line dictionary attack)에 대해 안전하고 서버가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비밀 정보가 노출되어도 사용자의 안전성은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패스워드 복구 과정에서 D. Chaum의 은닉 서명(Blind Signature) 방식을 응용하여 사용자의 패스워드 복구를 도와주는 PRA 조차 사용자 패스워드에 대한 어떤 정보도 알 수 없도록 하였다.

연관키 차분 특성을 이용한 Fantomas와 Robin의 키 복구 공격 (Key Recovery Attacks on Fantomas and Robin Using Related-Key Differentials)

  • 김한기;김종성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803-807
    • /
    • 2018
  • Fantomas와 Robin은 FSE 2014에서 제안된 경량 블록암호 패밀리 LS-designs에 포함되는 블록암호로, 비트슬라이스 구현이 가능한 L-Box와 S-Box를 사용하여 부채널 분석 대응기법인 마스킹 기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본 논문은 연관키 차분경로 분석을 통한 Fantomas와 Robin의 전체 128비트 키의 복구공격이 각각 $2^{56}$, $2^{72}$의 시간 복잡도와 $2^{52}$, $2^{69}$개의 선택 평문으로 가능함을 보인다.

랜덤하게 변형된 AES 키 비트열에 대한 키 복구 알고리즘 (Key Recovery Algorithm for Randomly-Decayed AES Key Bits)

  • 백유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327-334
    • /
    • 2016
  • 일반적으로 알려진 믿음과는 달리 다양한 컴퓨팅 장치의 메인 메모리로 사용되는 DRAM은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저장하고 있던 데이터가 곧바로 사라지지 않고, 대신 어느 정도의 시간 동안 데이터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DRAM을 냉각시키면 그 데이터 유지 시간이 더 길어진다는 사실 역시 알려져 있다. Cold Boot Attack이란 이러한 DRAM의 데이터 유지 성질을 이용하여, 전원이 차단된 DRAM으로부터 암호 알고리즘의 키와 같은 민감한 정보를 복구해내는 부채널 공격 방법의 일종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칭붕괴모델을 가정한 Cold Boot Attack 방법을 이용하여 전원이 차단된 DRAM으로부터 추출된 AES 키 비트열로부터 원래의 AES 키를 복구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추출된 AES 키 비트열의 랜덤성을 테스트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후보 키 공간의 크기를 줄이는 방법을 사용한다.

On Recovering Erased RSA Private Key Bits

  • Baek, Yoo-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0권3호
    • /
    • pp.11-25
    • /
    • 2018
  • While being believed that decrypting any RSA ciphertext is as hard as factorizing the RSA modulus, it was also shown that, if additional information is available, breaking the RSA cryptosystem may be much easier than factoring. For example, Coppersmith showed that, given the 1/2 fraction of the least or the most significant bits of one of two RSA primes, one can factorize the RSA modulus very efficiently, using the lattice-based technique. More recently, introducing the so called cold boot attack, Halderman et al. showed that one can recover cryptographic keys from a decayed DRAM image. And, following up this result, Heninger and Shacham presented a polynomial-time attack which, given 0.27-fraction of the RSA private key of the form (p, q, d, $d_p$, $d_q$), can recover the whole key, provided that the given bits are uniformly distributed. And, based on the work of Heninger and Shacham, this paper presents a different approach for recovering RSA private key bits from decayed key information, under the assumption that some random portion of the private key bits is known. More precisely, we present the algorithm of recovering RSA private key bits from erased key material and elaborate the formula of describing the number of partially-recovered RSA private key candidates in terms of the given erasure rate. Then, the result is justified by some extensive experiments.

HMAC/NMAC-MD4에 대한 향상된 키 복구 공격 (Improved Key-Recovery Attacks on HMAC/NMAC-MD4)

  • 강진건;이제상;성재철;홍석희;류희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63-74
    • /
    • 2009
  • 2005년 Wang이 MD 계열 전용 해쉬함수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함에 따라, MD 계열 전용 해쉬함수를 이용한 메시지 인증 프로토콜에 대한 분석 결과 또한 다수 발표되었다. CRYPTO'07에서 Fouque, Leurent, Nguyen은 Wang의 충돌쌍 공격을 이용한 MD4, MD5 기반 HMAC/NMAC의 내부 키 복구 공격과 외부 키 복구 공격을 소개하였다[4]. EUROCRYPT'08에서 Wang, Ohta, Kunihiro는 근사 충돌쌍(near-collision)을 이용한 MD4 기반 HMAE/NMAC의 외부 키 복구 공격을 소개하였다[2]. 즉, Wang 등은 새로운 근사 충돌쌍 특성을 이용하여 기 제안된 Fouque의 분석 방법을 향상시킴으로서 오라클 질의량을 $2^{88}$에서 $2^{72}$으로 감소시켰으며, MD4계산량 또한 $2^{95}$에서 $2^{77}$으로 감소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분할-정복(divide and conquer) 공격을 이용한 새로운 MD4 기반 HMAC/NMAC의 외부 키 복구 공격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분할-정복 공격을 이용한 공격알고리즘은 $2^{77.1246}$의 오라클 질의량과 $2^{37}$의 MD4 계산량으로 HMAC/NMAC의 외부 키를 복구할 수 있는 향상된 공격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