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ey competencies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24초

간호 역량 또는 돌봄 행위 측정도구를 통해서 살펴본 간호와 돌봄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Nursing and Caring Concepts Measured in Nursing Competencies or Caring Behaviors Tools)

  • 박은준;김명혜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80-495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nursing and caring concepts measured by nursing competencies or caring behaviors tools for general nurses working in acute care hospitals. Methods: Five major nursing literature databases were used to identify the relevant tools. The study included 19 nursing competencies tools with a total of 843 measurement items and 12 caring behaviors tools with 334 items.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ICN)'s Competencies Framework and 8Cs suggested by Roach (1987) and Pusari (1998), the measurement items were classified by two researchers independently first and in agreement finally. Results: Competency of 'key principles of care' including sub-areas of the ICN Framework was most commonly found: on average 49.3% of nursing competencies items and 91.9% of caring behaviors items. 97.0% of the caring behaviors items were classified into one of six Cs: competence (27.5%), confidence (21.3%), compassion (17.1%), commitment (16.5%), communication (9.9%), or conscience (4.8%). Conclusion: Nursing competencies tools were more likely to measure 'what to do' focusing on tasks, while caring behaviors tools were to measure 'how to do' focusing on nurses' attitudes or values. Nursing practices should be evaluated with both nursing competencies and caring behaviors tools, considering that nursing and caring were differently conceptualized in the quantitative tools.

핵심역량과 융합교육에 초점을 둔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방향 연구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cience Curriculum Focused on Key Competencies and Creative Fusion Education)

  • 곽영순;손정우;김미영;구자옥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21-330
    • /
    • 2014
  • 미래 사회의 변화는 미래 교육의 변화를 요청하며, 이러한 미래교육의 변화 요청을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도 적극적으로 반영해 나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교육과정인 2009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실태를 진단하고, 미래교육의 변화 방향에 비추어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초 중 고 과학교사 447명의 설문조사와 12명의 전문가 심층면담을 통해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 및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과학과 선택과목 구성, 일반선택과목인 융합형 '과학', 과학 과목 집중이수제, 진로집중과정, 과학과 선택과목의 이수단위 증감, 대학 입시에서 과학과 선택과목 간 형평성 등으로 구분하여 2009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현장교사들과 전문가들이 제안한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방향들 중 핵심역량과 융합교육에 초점을 두고 과학과 교육과정을 구상하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과학과의 핵심역량은 기존 교육과정에서 강조한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능력뿐만 아니라 기초학습능력과 자아정체성, 도덕적 역량 등이 추가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융합교육은 다른 교과와의 융합 이전에 과학과 내부 과목 간 융합이 먼저 이뤄져야하며, 과학 과목을 중심으로 한 STEM 형태의 융합이 바람직함을 알았다. 이러한 결과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과학과 교육과정 연구 개발을 전담할 교육과정 개발센터의 구축이 필요하다.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과학 교사교육 개선 방안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er Education to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 곽영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62-16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과학 교사교육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OECD에서 핵심역량을 '학생들이 향후 사회적 삶을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로 하는 능력'으로 재정립한 이래로 여러 나라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강조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선도국과 국내의 외국인학교 및 국제 중학교를 방문하여 관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교과교육 혁신 사례를 수집하고, 각 사례별로 교사 및 학교장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해 요청되는 과학 교사전문성 개선 방안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개별 교사 측면에서는 학습자의 역할 변화에 따라 교사의 역할 변화도 요청되며, 교사는 학생들에게 핵심역량의 모델이 되어야 하고, 교사역할의 다면화가 요청되며, 연구자로서의 교사가 요청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공동체 측면에서는 교사들의 학습공동체 조직이 필요하며, 교사들의 지식기반을 구축해야 하고, 미래의 교실에는 다양한 전문가를 투입해야 하며, 지역공동체 및 다른 전문가 집단과의 파트너십을 구축해야 한다는 요구가 수렴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 부분에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핵심역량 기반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제도적,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수학과 교육과정의 역량 반영 양상에 대한 국제 비교: 프랑스, 호주, 캐나다 브리티시 콜롬비아 주를 중심으로 (International Comparison of Ways in which Competencies is Reflected in Mathematics Curriculum: Focused on France, Australia and British Columbia in Canada)

  • 권점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135-160
    • /
    • 2020
  • 본 연구는 수학과 교육과정에 역량을 반영하고 있는 국가를 연구 대상 국가로 선정하여 각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에 어떠한 역량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의 역량 반영에 대한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프랑스의 경우 교과 교육과정에서 학년군에 해당하는 cycle별로 도달해야 하는 학습 역량(우리나라 교과 역량에 해당)의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관련된 공통 역량(socle commun, 우리나라 핵심역량에 해당)을 표시하고 있었다. 또 호주의 경우 학년별에 도달해야 하는 숙달 영역(proficiency strands, 우리나라 교과 역량에 해당)에 대한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교과 교육과정에서 영역별 각각의 성취기준에 관련된 일반 역량(general capabilities, 우리나라 핵심역량에 해당)을 밝히고 있다. 캐나다 브리티시 콜롬비아 주 교육과정에서도 역량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었는데, 교과 교육과정의 영역을 역량을 중심으로 재편하고, 역량 중심으로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차기 교육과정 개정 시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을 구체화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직업능력표준을 활용한 교육훈련과정 설계방안 (A Study on Desig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Curriculum with Key Competencies)

  • 구자길;이재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5권2호
    • /
    • pp.109-122
    • /
    • 2007
  • The original element for development in current society is recognized as knowledge, technology and information. It has been developed and improved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ystem through the occupational standards that closely connected system among work, education training and qualification in every country. This study is for development of the occupation standards that was standardized the required competency element, performance criteria, range statement, assessment guideline in machinery industry, also developing the education training program based on competency to be able to apply department of relevant machinery industry in vocational high school. Occupational standards and key competencies were developed by expert in field engineer and verified about contents and level system by questionnaire and interviewing. Education training program was developed on SCID model, and the effectiveness and suitability of the training program was verified by teacher, professor and student belonging to training organization.

  • PDF

데이터사서의 직무와 역량에 관한 연구 - 미국 구인광고 분석을 이용하여 - (A Study on the Job Duties and Competencies of Data Librarians: Using Job Advertisement Analysis in the United States)

  • 박지인;박지홍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45-162
    • /
    • 2021
  • 본 연구는 데이터사서의 주요 직무와 핵심 역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75개의 미국 데이터사서 구인광고의 내용 분석을 수행하였고, 미국과 캐나다 현직 데이터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105명의 응답을 수집 후 통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내용 분석과 통계 분석을 종합한 결과, 데이터사서의 주요 직무는 collaboration, workshops, trainings, conferences, data service, research consultation, 그리고 research support 관련 직무로 파악되었다. 핵심 역량은 communication skill, teaching, diversity, inclusion, and equality, data management, 그리고 data tool 관련 역량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장 최신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사서의 주요 직무 및 핵심 역량을 분석하고 현직자의 의견을 수렴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는 향후 이어질 데이터사서의 직무만족도, 이용자만족도, 인식조사에 기초연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전공의 공통역량의 개념과 개발 (Concept and Development of Resident Training Program for General Competencies)

  • 이선우
    • 의학교육논단
    • /
    • 제19권2호
    • /
    • pp.63-69
    • /
    • 2017
  • Resident training programs in South Korea lag far behind that of advanced countries. Given the problems the current system in South Korea has, it is time to consider a new resident training system, resident training for general competencies. Training for the general competencies was practiced in medical fields in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SA, Canada, and the UK as early as 20 years ago. This system has rendered itself a key component of resident training. Although a few theoretical procedures on general competencies have been practiced in South Korea, the awareness of this concept is still very weak, and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to actual training is a long way off from becoming effective. It is urgent for South Korea to adopt competency- and outcome-based training for general competencies. To this end, the knowledge of the concept of this type of training should be improved. Also, the system should be carefully designed to cover a doctor's whole career, and be applied immediately. The competency- and outcome-based training for general competencies is a system that assures high level qualifications. It reflects the needs of our society under the recognition that a professional organization should be committed and accountable in order to respond to social demands. As the benefits of the new training system reach the public and medical care consumers, training-related expenses should be borne by social costs.

보건단체에서 보건교육사의 활동 영역과 능력 개발 (The Roles and Professional Competencies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in Public Health Organizations)

  • 김혜경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3-36
    • /
    • 2010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uggest the roles and professional competencies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to improve the efficacy of health promotion activities in public health organizations. Results and Conclusion: Based on the advanced cases of utilizing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in international and domestic public health organizations, five key roles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were proposed. They included developing and applying behavior change strategies necessary to begin and maintain health behavior practices, analysing the needs of the priority population in a systematic way, organizing multiple health behavior change programs and multilevel intervention programs, and doing research on health determinants and scientific evidence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health promotion services in public health organizations, professional competencies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 should be developed and strengthened.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역량과 빅데이터 분석성과의 PLS 경로모형분석 : Kaggle 플랫폼을 중심으로 (PLS Path Modeling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Competencies of Data Scientist and Big Data Analysis Performance : Focused on Kaggle Platform)

  • 한경진;조근태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12-121
    • /
    • 2016
  • This paper focuses on competencies of data scientists and behavioral intention that affect big data analysis performance. This experiment examined nine core factors required by data scientists.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we conducted a survey to gather data from 103 data scientists who participated in big data competition at Kaggle platform and used factor analysis and PLS-SEM for the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show that some key competency factors have influential effect on the big data analysis performance. This study is to provide a new theoretical basis needed for relevant research by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competencies and performance, and practically to identify the priorities of the core competencies that data scientists must have.

미래사회 과학 역량에 대한 교사 인식과 역량기반 과학교육을 위한 교사 전문성 탐색 (Teacher Perception of Science Competency and Science PCK for Competency-Based Science Education in the Future Society)

  • 곽영순;홍석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65-27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미래사회의 과학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미래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길러주어야 할 핵심역량, 그리고 이러한 핵심역량을 길러주기 위한 역량기반 교육을 실현하는 주체인 미래학교 과학 교사에게 필요한 역할과 전문역량 내용교수지식(PCK)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지구과학 전공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05건의 유효한 응답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를 미래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길러주어야 할 핵심역량,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과학 교사의 역할, 역량기반 교육을 위해 필요한 과학 교사의 역할과 교사 전문역량의 구조적 관계 등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학생역량과 교사 전문역랑의 관계, 그리고 교사의 역할과 전문역량 간의 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미래사회 학생의 핵심역량으로는 의사소통과 협업 능력이, 과학 교사의 역할로는 협업 중심 활동 기회 제공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역할과 교사 전문역량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면 과학수업실천과 관련된 전문역량과 관련하여 협업 중심 활동 기회 제공, 다양한 소재와 콘텐츠 활용 등과 같은 역할과 뚜렷한 관계가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생이 필요로 하는 핵심역량에 대한 교사의 인식 제고에 근거한 학생의 행위 주체성 촉진 방안, 교사 역할과 전문역량 구성요소의 관련성, 교사 전문역량의 총체성 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