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njang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3초

메주에서 분리한 불완전균(Hyphomycetes)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yphomycetous fungi found on Maejus, a raw material of Korean traditional soysources)

  • 이상선;박광호;최경진;원순애
    • 한국균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47-272
    • /
    • 1993
  • 우리나라 전국 각지에서 수집한 메주에서 곰팡이만 48개의 균주를 순수분리하여, 29 종으로 동정하였다. 29 종의 fungi 중에서 불완전균은 3 속 20종으로 Aspergillus 속의 균 5 종, Scopulariosis 속의 1 종, Penicillium 속의 균 14종이 동정되었다. 메주에 서식하는 불완전균에는 Penicillium 속이 14종으로 다앙하게 나타났으나, 메주발효에 중요 역할을 하는 균은 아닌것으로 고려되었다. Sc. brevicaulis는 여러 메주에서 발효를 잘 시켰으며, Aspergillus 속의 균에서는 A. flavus보다 A. oryzae가 콩을 더 잘 발효시켰다. Sc. brevicaulis, A. oryzae, P. tulolense, 및 P. funiculosum의 4 개종으로 만들어진 메주에서 단간장 맛이 강하였다.

  • PDF

HPLC를 이용한 전통식품 중 오크라톡신 A 오염도 조사 (Survey of Ochratoxin A in Cereal-based Korean Traditional Foods by HPLC)

  • 박성국;권기성;김미혜;정소영;장귀현;남태희;이종옥;김명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58-161
    • /
    • 2004
  • 국내 전통식품 중에 함유되어 있는 ochratoxin A를 검출할 수 있는 신속, 정확한 분석방법을 확립하고자 immunoaffinity column과 $C_{18}$ Sep-Pak cartridge를 비교 후 분리도와 회수율이 우수한 immunoaffinity column으로 전처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HPLC 검출한계는 $0.5{\mu}g/kg$로 나타났다. 오염도조사를 위하여 시판되는 장류(고추장, 된장, 간장 각 20건) 60건을 수거하여 분석한 결과 고추장 3건, 된장 2건, 간장 1건에서 $0.5-1.3{\mu}g/kg$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수거된 선식 40건에서는 ochratoxin A가 검출한계이하 수준이었다. 이는 일부 외국의 규격치인 $5-50{\mu}g/kg$와 비교해 볼 때 낮은 수준이었다.

간장태 신속 대두발효 종균으로의 Enterococcus faecium (Rapid Fermentation Starter Enterococcus faecium of Soybean for Soy-Sauce Like Product)

  • 이영덕;박종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88-195
    • /
    • 2012
  • 풍미가 강력하고 신속발효가 되는 청국장의 우점종인 젖산균 Enterococcus spp.를 발효종균으로 활용하여 재래식 간장모양의 풍미를 가지는 대두발효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119종의 Enterococcus spp. 중에서 protease 활성이 높은 8종을 선발하여 E. faecium 4종, E. faecalis 3종, E. gallinarium 1종으로 동정하였다. 8종의 항생제에 내성이 낮았고, vancomycin 유전자도 없으며, 5% NaCl 함유 배지에서도 protease 분비가 우수한 E. faecium O24를 발효 종균으로 선정하였다. 증자한 대두 백태에서 생육이 우수하였으며, 발효생성 조미 아미노산 중 80 mg% glutamic acid, aspartic acid를 생성시켰으며, lactic acid와 여러 유기산을 생성하였다. Z. rouxii와 C. versatilis와의 혼합배양으로 간장 고유취인 maltol, guaiacol 등의 향기성분도 합성됨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청국장 젖산균인 Enterococcus spp.는 신속하게 다양한 향미성분을 생산하여 간장태의 대두 발효의 종균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조선전통 식품으로 메주발효 (Meju Fermentation for a Raw Material of Korean Traditional Soy Products)

  • 이상선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2호통권73호
    • /
    • pp.161-175
    • /
    • 1995
  • 메주는 간장과 된장의 원료로 우리나라의 식물성 단백질인 조선 전통식품으로 중요하다. 조선 전통식으로 농가에서 만들어진 23종류의 메주덩어리를 수거하여, 29종의 균과 한 종의 세균을 채집하여 동정하였다. 이러한 중에서 다만 몇개의 미생물만이 메주발효과정에 작용하는 것을 발견하였고, 나머지 미생물은 메주발효에서 잘못 발효로 일어나는 오염 미생물로 밝혀졌다. 메주발효과정에서는 물리적인 변화로 건조과정(수분활성도)과 열방생과정이 메주발효 중에 일어나며, 이러한 과정이 미생물(대부분의 경우 메주 표면에서는 균)의 천이를 유도시켜 메주의 생화학적인 변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균의 천이 과정에서 수분이 많았을 때는 물곰팡이인 접합균이 첨 서식한 것이 발견되었으며, 메주발효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흰포자를 방출하는 Scopulariopsis brevicaulis는 메주표면에서 고초세균인 Bacillus megatrium와 함께 후기 발열반응과정에서 발견되고 있었다. 미생물들이 분비하는 단백질 분해효소에 관한 조사에서, 각각의 미생물들은 콩 단백질 분해에 서로 상호보안적인 역할을 하였다. 또한, 접합균들은 조선 전통의 메주발효과정에서 후기 메주발효를 유도하는 중요한 균으로 관찰되었다.

  • PDF

전통 대두발효식품(醱酵食品)중에 존재하는 Ochratoxin A 생산균(菌) 분리(分離)와 Ochratoxin A량 측정 (Measurement of Ochratoxin A and Isolation of the fungi producing Ochratoxin A from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foodstuffs)

  • 강성철;이상선;신현길;김종배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8-155
    • /
    • 1991
  • 한국내에서 재래적인 방법에 의하여, 생산, 시판되고 있는 전통 발효식품인 메주 (12종), 된장 (28종) 및 간장 (28종)을 전국에서 수거하였다. 이들로부터 OA 생성하는 fungi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으로 다시 Ochratoxin A 생성 유무를 관찰하였으며, 개괄적인 균 동정도 시도하였다. 1. Ochratoxin A를 정량조사(定量調査)한 표준곡선의 작성결과(作成結果), 감도 (Sensitivity)는 20 pg/tube 수준 이었다. 2. 본 실험에서 이용한 OA 의 분석 방법에서 OA 의 회수율(回收率)은 90% 이상 이었다. 3. 각 시료(試料)에서 분리(分離)해낸 222 fungi 중 Ochratoxin A를 생성하는 것은 39 isolates로 나타났으며, 이 중 대부분이 Aspergillus 속, Penicillium 속 그리고 Pae-cilomyces 속 이었다. 4. 전통 발효식품인 메주,된장,간장내의 곰팡이중 Ochratoxin A 생성곰팡이의 생성률은 각각 19.27%, 18.30%, 14.70%으로 나타났으며 0.2g / 2 petridish 이상의 OA 생성률은 20.5% (8/39)로 나타났다. 또한 Ochratoxin A 생성에 대한 몇가지 추론도 함께 하였다.

  • PDF

한국 발효식품에 대한 생물화학적 연구 ( 제 8 보) 발효식품중의 Vitamin $B_{12}$의 함량 조사보고 (Biochemical Studies on Korean Fermented Foods. VIII Studies on Vitamin $B_{12}$ Contents of the Fermented Foods in Korea)

  • 이인재;허검;김성익
    • 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0-52
    • /
    • 1959
  • In order to know contents of vitamin B$_{12}$ in the fermented foods in Korea, the contents of this vitamin are studied on the following foods; kimchies (pickled vegetables) .................. 39 chukkals (fermented and salted sea foods) ...... 8 fermented soy-bean products .................... 5 the kimchies and fermented soybean products studied in this paper, are from individual homes and chukkals are from markets. The content of vitamin B$_{12}$ is estimated by the microbiological assay method using lactobacillus leichmannii ATCC 7830. Details for assay are indicated in the original part of this paper. The pseudo-vitamin B$_{12}$ substances as thymidine which is active to the growth of lactobacillus leichmannii, are eliminated by the alkali treatment method of sample solu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as indicated in the table,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summerized; 1. Vitamin B$_{12}$ contents of kimchies for winter season are 1.03 to 1.52 mcg% in average. The hobakk-kimchi which contain the highest content of vitamin B$_{12}$ is not popular one among Korean. 2. Chukkals contain much higher content of vitamin B$_{12}$ varying from 0.91 to 11.10mcg%. 3. The soybean fermented foods, as kanjang, denjang, kochojang, contain lower content of vitamine B$_{12}$ varying from 0.08 to 0.52 mcg% containing higher content of pseudo-vitamin. 4. Based on daily consumption of kimchi in winter season by Chai, the consumption of this vitamin through kimchi is about 3 mcgs daily per capita. This will be a quite source of this vitamin for Korean as vitamin C. as vitamin C.

  • PDF

대두 가공 식품 중의 이소플라본 함량 (Isoflavone Content in Korean Fermented and Unfermented Soybean Foods)

  • 최연배;손헌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45-750
    • /
    • 1998
  • 대두에 함유되어 있는 이소플라본은 항암, 골다공증 예방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유용 생리활성물질이다. 국내의 주요 대두 가공 식품은 두부, 콩나물, 두유와 같은 비발효 식품과 간장, 된장, 청국장, 춘장과 같은 발효식품이 있다. 비발효 식품에서는 대두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배당체 형태로 존재하였다. 두유에는 평균 676 mg/kg의 이소플라본이 존재하였고, 두부는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평균 1,151 mg/kg이 존재하였다. 콩나물에는 약 424 mg/kg이 존재하였다. 발효 식품 중에는 청국장(920 mg/kg)과 된장(627 mg/kg)에 많은 양의 이소플라본이 함유되어 있으며, 춘장에도 상당량이 존재하지만 간장에는 매우 적은 양이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많은 양의 이소플라본이 aglycone의 형태로 존재하였다. 따라서 국내 전통 발효 식품인 청국장과 된장은 생체 이용성이 우수한 형태인 이소플라본 aglycone의 좋은 공급원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한국의 발효식품에 관하여 (Traditional Fermented Food Products in Korea)

  • 민태익;권태완;이철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53-261
    • /
    • 1981
  • Fermented foods available in Korea may b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namely, fermented soybean products, fermented cereal products, fermented vegetable products, and fermented fishery products based on raw materials used. The representative fermented foods based on soybean are Kanjang(soysauce), Doenjang(fermented soybean pastes), and Kochujang(red pepper added-fermented soybean paste). Such fermented products are made using Meju(functioning as a starter and prepared by fermentation of steamed soybean mash) as an essential ingredient, and used widely as a soup base and/or in seasoning side-dishes for everyday meals year around. Excepting Sikhae, all fermented products based on rice and other cereal grains are of alcoholic nature. Takju (Makgeolli) used to be made using rice as the major raw material, however, mainly due to the shortage of rice in recent years, other cereals, such as, barely, corn, and wheat flours are also used to replace rice today. Owing to such changes in the raw materials. the popularity of Takju has been somewhat reduced, yet it is still widely consumed in rural areas. Although Chungju is a popular rice wine with superior qualify over Takju, the amount consumed is considerably limited. The highest qualify rice wine, Bupju, in particular, is made by a low temperature fermentation using glutinous rice. Kimchi is an unique fermented vegetable product of long tradition in Korea. Although it was for consumption mainly in winter season serving as a source of vitamins, today it is widely used throughout the year. Except Kkakdugi and Dongchimi, all of the fermented vegetable products contain salted Korean cabbage as an essential item, while they abound in varieties depending on material composition and methods of processing, and also on seasons and localities Next to Kimchi in this category is Kkakdugi made of raddish in popularity and quantity consumed. The four groups of fermented food products described above are reviewed in some detail and evaluated in terms of their nutritional significances, processes and microorganisms involved. and their commercial potentials. Jeotkal (or Jeot) is a name given to all fermented products of fishery origin. A number of Jeot can be prepared by adding salt and allowing fermentation to the raw materials such as shrimp, anchovy octopus, clam, oyster, etc.

  • PDF

미국 Texas 일부 지역에 거주하는 한국 유학생 부인들의 식생활습관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Food Habits of Housewives of Korean Students Residing in a Southern Region of Texas, U.S.A.)

  • 김은실;송청락;정복미;심영자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2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on the preparing fermented foods and food habits of Korean women in Texas U. S. A. The preparing method of fermented foods and food habits of Korean housewives whose husbands are studying at the various universities in Houston, Texas are surveyed. The analysed results indicated were as follows ; 1. 64.4% of women were in the thirties at their age, those in twenties 29.7%. 75.2% of subject graduated college. Period of residence in America were 52.5% under 3yr, 25.7% over 5yr. The respondents were aged twenties(29.7%) to thirties(64.4%) who have graduated from college(75.2%) or graduate school(24.8%) and have had the residence period of less than three-(52.5%) to more than five years(25.7%). 2. The kind of cuisine chosen for dinner were Korean style food. The most considerable person when preparing menu were husband. 48.51% of those in age were 3∼39yr(p < 0.1). 60.40% of the response graduated college(p < 0.1). The Korean-style foods overwhelmed over western ones in their frequency for dinner(82.2% vs. 17.8%). The person most considered for choosing menu was their husbands as responded by the majority groups of aged thirties(48.5%), college graduates(60.4%) and residence period of less than three years(42.6%). They satisfied comparatively when they prepared the meal (p < 0.1). 55.4% of the response learned cooking method from neighbor, 39.6% of remainder studied from cuisine book, newspaper, magazine, TV. They satisfied comparatively for the preparation of the meal(56.4%) and have learned the new methods of cooking from neighborhoods(55.4%) or cuisine book, newspaper, magazine and TV(39.6%). 3. The frequency of eating-out mostly had once a month. 30.69% of response were 30∼39yr(p < 0.1). 33.66% of subjects lived under 3yr in America. The frequency of eating-out mostly had once a month. 30.69% of response were 30-39yr(p < 0.1). 33.66% of subjects lived under 3yr in America. Eating-out once a month occupied 30.7, 33.7, and 20.7% of the selected group of aged thirties, college graduates, and residence periods of less than three years, each respectively. The type of food selecting eating-out were western style. 38.31% of them were 30∼39yr(p < 0.1). 39.60% of them graduated college(p < 0.1). 29.70% of them lived under 3yr in America. For eating-out menu, the western-style foods were most favored by the groups of aged thirties(38.3%), college graduates(39.6%), and residence periods of less than three years(29.7%). 4. 50.5% of subject had beef once three days, 23.8% of the response had pork once two weeks, 27.7% of subject ate chicken once two weeks, 34.7% of the response enjoyed fish once a week. Eating animal foods once three days for beef(50.5%), once two weeks for pork(23.8%) and chicken(27.7%), and once a week for fish(34.7%) were most frequent. 5.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were mostly enjoyed in order of kanjang(91.1 %), kochujang(87.2%), fermented fish(85.1%), deonjang(81.2%), jang-a-chi(76.2%). 81.2% of subject used prepared-food by themselves. 56.4% of response made kimch at home. Among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kimchi(56.4%) and prepared side dishes(81.2%) were provided at home while kanjang(91.1%), kochujang(87.2%), fermented fish(85.1%), deonjang(81.2%), and jang-a-chi(76.2%) were mostly purchased from stores.

  • PDF

한국전통 궁중간장류의 생리활성 분석 (Physiological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Soybean-Fermented Royal Court Soy Sauces, Gungjungjang)

  • 이남근;류영준;여인철;권기옥;서은미;함영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49-155
    • /
    • 2012
  • 본 연구는 고급 장류인 궁중간장과 한식간장 및 시판 개량 간장의 갈변도, 총 phenol 함량, SOD 유사활성, 항균활성, 혈전용해능, ${\alpha}$-glucosidase 및 lipase 억제효과를 한외여과기로 분획된 1,000 이하 저분자 물질과 1,000 이상 고분자 물질의 분획물을 이용하여 in vitro에서 측정하였다. 분자량이 1,000 이하 및 1,000 이상 궁중간장류의 분획물의 갈변물질에 따른 갈변도는 각각 $0.101{\pm}0.001\sim0.206{\pm}0.006$$0.486{\pm}0.145\sim02.503{\pm}0.008$ 범위 흡광도 값을 보였으며, 궁중간장류 중 꽃장의 갈변도가 가장 높았다. 총 페놀 화합물 함량에 있어서, 분자량 1,000 이하 궁중간장류 분획물은 $101.55{\pm}1.49\sim0114.00{\pm}0.11$ mg/L 범위에서 측정되었으며, 이는 일본 및 중국에서 제조된 시판 개량간장에 비해 높았다. 그러나 분자량이 1,000 이상의 분획물에서는 일본 및 중국에서 제조된 시판 개량간장들보다는 낮았다. 궁중간장류의 항산화 활성은 대부분 1,000 이하 분획물 시료에서 평균 51%의 SOD 유사활성을 보였으며, 한식간장과 시판 개량간장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혈전용해능 및 항균활성에 있어서는 본 연구에 사용된 모든 간장 분획물 시료에서는 뚜렷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분자량이 1,000 이하의 분획된 궁중간장류는 $6.34{\pm}1.51\sim8.79{\pm}0.81$% 범위에서 저해활성을 보여 한식간장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시판 개량간장들보다는 약 2.9배 높은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분자량이 1,000 이상의 분획물은 꽃장(75%)을 제외하고는 평균 약 6.7%로 한식간장 및 국내 제조 개량간장들과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분자량 1,000 이하 및 이상 분획된 간장 시료들로부터 lipase 저해활성은 시판 개량간장들에서는 거의 볼 수 없었으며 대부분 궁중간장인 청장, 덧간장, 진장, 어육간장 시료들에서만 lipase 저해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