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k-익명성

Search Result 17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nalysis of Anonymous P2P System (익명성을 제공하는 P2P 시스템 비교 분석)

  • Kim, Hyun-Cheol;Kim, Bum-Han;Lee, D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2a
    • /
    • pp.3-5
    • /
    • 2008
  • Peer-to-Peer 네트워크는 사용자들이 컨텐츠를 공유하고 배포하기 위한 매우 유용하고 널리 알려진 클라이언트-클라이언트 네트워크이다. 근래에 다양한 방송 컨텐츠들이 생겨나고 광고 수익을 얻기 위한 기업들의 전략과 컨텐츠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이 맞아 떨어지면서 새로운 수익 구조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컨텐츠를 사용자들이 공유하고 배포하기 위한 수단으로 P2P 네트워크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P2P 네트워크에서는 사용자들의 정보가 드러나지 않도록 익명성을 제공하는 것이 관건이다.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접근을 통해 익명성을 제공하는 P2P 시스템을 비교 분석하고 P2P 네트워크에서 가능한 공격들을 다루고 이를 막기 위한 대응 방법을 알아본다.

  • PDF

Anonymous Authentication Framework using Croup Signature (그룹서명을 이용한 익명 인증 구조)

  • Lee, Yun-Kyung;Chung, Byung-Ho;Kim, Jeong-Nye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699-702
    • /
    • 2008
  • 인터넷 이용이 활성화되면서 각종 웹 서버에서의 개인정보 과다 수집 및 노출이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인터넷이 우리 생활에 주는 편리함을 그대로 누리면서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익명인증 기술이 있을 수 있다. 익명인증은 익명성을 제공하는 디지털서명을 이용한 인증 방법이다. 익명성을 제공하는 디지털서명 방법은 전자화폐와 전자투표 시스템 등의 응용을 위해서 주로 연구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인터넷 환경에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익명인증 방법의 하나로써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익명성을 제공하는 전자서명 방법 중 그룹서명 방식에 관하여 소개하고, 그룹서명을 이용한 익명인증 시스템의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uthentication and key exchange protocol assuring user anonymity over wireless link in mobile communications (이동통신 무선접속공간에서 이용자 익명성을 보장하는 인증 및 키 합의 프로토콜)

  • Go, Jae-Seung;Kim, Kwang-J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789-792
    • /
    • 2000
  •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용자와 네트워크간 이용자 익명성을 보장하고, 이용자와 네트워크가 상대 실체를 안전하게 상호 인증할 수 있는 공개키 암호 방식에 기반한 개선된 인증 및 키합의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이 프로토콜은 이용자와 네트워크는 이용자의 고유신분과 세션별로 변하는 랜덤수를 입력으로 하여 임시신분 정보를 생성 및 상호 공유하고, 네트워크는 초기에 이용자의 신분을 확인하며, 임시신분 정보는 이용자와 네트워크가 상호 선택한 랜덤 수에 따라 세션별로 갱신되므로 무선 접속 구간 상에 익명성을 보장하고 기존의 방식에 비교하여 보다 강화된 안전성을 보장한다.

  • PDF

Effect of threats to anonymity on data reliability in internet survey (인터넷 설문조사에서 익명성 훼손이 응답에 미치는 효과)

  • Heo, Sun-Yeong;Chang, Duk-Joo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2 no.4
    • /
    • pp.785-794
    • /
    • 2011
  • The population of internet users are rapidly increasing and the interest of the internet survey is also increasing. Recent years has seen a transition from traditional modes of data collection into internet survey. Some surveys are administered with mixed modes of traditional data collection methods and internet survey, and some surveys are conducted through internet only instead of traditional modes, such as telephone survey, postal survey, face-to-face interviews and so on. However, one of most crucial parts of a survey is the reliability of the collected data and internet survey is no exempti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has been annually conducting a survey of new students and transfer students with almost same contents of questionnaire. The survey is a longitudinal survey and it had been administered by paper-pencil surveys until 2009. In 2010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hrough internet. Every students has to login with student ID number and the last 7-digit of national identity registration number, and complete the 2010 survey before registration their courses. If they leave any question without being answered, then could not move to the registration site for courses. This study explores the distortion of responses using the new students survey of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which could occur when the survey responses are not confidential. We find that the distortion of responses occurs from the questions with social desirability pressure, pressure of winning favor with the researcher, and pressure of explaining their situations. There are no distortion of responses from the questions which are describing simple opinions or simple facts, for example, the place they plan to live while in school.

Improved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Anonymous Fingerprinting (향상된 자동식별기능과 익명성을 제공하는 핑거프린팅)

  • Chung, Chan-Joo;Yu, Hui-Jong;Won, D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137-140
    • /
    • 2000
  • 최근에 네트워크와 하드웨어 기술의 발달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의 지적소유권에 관한 분쟁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컨텐츠의 전자상거래에서 지적소유권에 대한 분쟁을 해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익명성을 제공하는 핑거프린팅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식은 판매된 디지털 컨텐츠를 재분배하는 구매자를 판매자가 등록센터의 도움 없이 재분배자를 식별하는 향상된 자동식별기능을 갖는다.

  • PDF

A study of scheme for Providing Anonymity and Untraceability in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이동 컴퓨팅 환경에서의 익명성과 불추적성 지원 기법에 관한 연구)

  • Choi, Sun-Young;Eom, Young-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705-708
    • /
    • 2001
  • 최근 이동 네트워크 상에서의 인터넷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이동 컴퓨터에 대한 인증 및 비밀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동 컴퓨터가 도메인간을 이동하면서 노출될 수 있는 이동 컴퓨터의 Identity의 보호를 위해 사용자 Alias를 사용하였으며, 원격 도메인에도 Alias를 사용함으로 익명성 보장 및 불추적성을 지원한 안전한 인증 프로토콜을 제시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 Alias 생성 시 공개키 암호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 PDF

A Robust and Secure Remote User Authentication Scheme Preserving User Anonymity (사용자 익명성을 보장하는 안전하고 개선된 원격 사용자 인증스킴)

  • Shin, Kwang-Cheul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8 no.2
    • /
    • pp.81-93
    • /
    • 2013
  • Remote user authentication is a method, in which remote server verifies the legitimacy of a user over an common communication channel. Currently, smart card based remote user authentication schemes have been widely adopted due to their low computational cost and convenient portability for the mutual authentication. 2009 years, Wang et al.'s proposed a dynamic ID-based remote user authentication schemes using smart cards. They presented that their scheme preserves anonymity of user, has the feature of storing password chosen by the server, and protected from several attacks. However, in this paper, I point out that Wang et al.'s scheme has practical vulnerability. I found that their scheme does not provide anonymity of a user during authentication. In addition, the user does not have the right to choose a password. And his scheme is vulnerable to limited replay attacks. In particular, the parameter y to be delivered to the user is ambiguous. To overcome these security faults, I propose an enhanced authentication scheme, which covers all the identified weakness of Wang et al.'s scheme and an efficient user authentication scheme that preserve perfect anonymity to both the outsider and remote server.

A de-identification technique using generalization and insert a salt data (일반화와 데이터 삽입을 이용한 익명화 처리 기법)

  • Park, Jun-Bum;Cho, Jin-Man;Choi, Dae-Seon;Jin, Se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351-353
    • /
    • 2015
  • 공공정보 공유 및 개방,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활성화 그리고 사용자 간의 공유 데이터 증가 등의 이유로 인터넷상에 노출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증가하고 있다. 인터넷상에 노출된 사용자들의 개인정보들은 연결공격(linkage attack), 배경지식 공격(background attack)으로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대표적으로 k-익명성(k-anonymity)을 시작으로 l-다양성(l-diversity), t-밀집성(t-closeness)이라는 익명화 모델이 제안되었으며 계속해서 익명화 알고리즘의 성능은 개선되고 있다. 하지만 k-익명성, l-다양성, t-밀집성 모델의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준식별자(quasi-identifier)를 일반화(generalization)처리 해주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준식별자의 가치를 손실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 준식별자의 정보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k-익명성 모델을 만족시키는 과정에서 일반화와 데이터를 삽입을 사용하는 익명화 처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A Remote User Authentication Scheme Preserving Anonymity and Traceability with Non-Tamper Resistant Smart Cards (정보추출 가능한 스마트카드 환경에서 익명성과 추적성을 제공하는 원격 사용자 인증 기법)

  • Kwon, Hyuck-Jin;Ryu, Eun-Kyung;Lee, Sung-Wo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0 no.6
    • /
    • pp.159-166
    • /
    • 2013
  • Recently, because the interest and needs in privacy protection are growing, smartcard-based remote user authentication schemes have been actively studied to provide the user anonymity. In 2008, Kim et al. first proposed an authentication scheme in order to ensure the user anonymity against both external attackers and the remote server and track malicious users with the help of a trusted trace sever. However, in 2010, Lee et al. showed that Kim et al.'s scheme cannot provide the user anonymity against remote server, which is because the server can trace users without any help of the trace server, and then proposed a improved scheme. On the other hand, in 2010, Horng et al. proposed an authentication scheme with non-tamper resistant smart cards, in which the non-tamper resistant smart card means that an attacker may find out secret information stored in the smart card through special data analysis techniques such as monitoring power consumption, to be secure against a variety of attacks and to provide the user anonymity against external attackers. In this paper, we will propose a remote user authentication scheme with non-tamper resistant smart cards not only to ensure the user anonymity against both external attackers and the remote server but also to track malicious users with only the help of a trusted trace sever.

A Robust Biometric-based User Authentication Protocol in Wireless Sensor Network Environment (무선센서네트워크 환경에서 생체기반의 개선된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

  • Shin, Kwang-Cheul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8 no.3
    • /
    • pp.107-123
    • /
    • 2013
  •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environment, it is required to ensure anonymity by keeping sensor nodes' identifiers not being revealed and to support real-time authentication, lightweight authentication and synchronization. In particular, there exist possibilities of location information leakage by others, privacy interference and security vulnerability when it comes to wireless telecommunications. Anonymity has been an importance issue in wired and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so that it has been studied in wide range. The sensor nodes are interconnected among them based on wireless network. In terms of the sensor node, the researchers have been emphasizing on its calculating performance limit, storage device limit, and smaller power source. To improve of biometric-based D. He scheme, this study proposes a real-time authentication protocol using Unique Random Sequence Code(URSC) and variable identifier for enhancing network performance and retaining anonymity prov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