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ulpyun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7초

인천지역 대학생의 떡의 인지도 및 기호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Rice Cake in Incheon Area)

  • 노정옥;우경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rice cakes.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302 students in Incheon area.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a SPSS 10.0 program. The recognition of Korean rice cake was generally high: Injeolmi, Garaeddeok, Bakseolgi, Songpyun, Patsirooddeok, Bindaeddeok, Yaksik Julpyun, Gyungdan, Moojigaeddeok were high1y recognized, but Gaesungjooak, Sugyibyung, Seunggeomchopyun poorly recognized by university students. The most common consumption frequency rate of students was once or twice a month (Male 31.9%; Female 41.6%). Most students ate rice cakes as snack with water, Kimchi, fruits, beverage(Cola, Cider) and Korean traditional beverage(Sujunggwa, Sighye). The sales possibility of Korean rice cake at university canteens was dependent on the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ose of rice cafes itself, for example,. nutritional labelling, mass, atmosphere and package, etc.

  • PDF

청미래덩굴잎분말을 이용한 절편의 특성 및 저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of Julpyun Affected by Chungmirae(Smilax china L.) leaf powder)

  • 이효순;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82-489
    • /
    • 2005
  • Chungmiraejulpyuns made with various levels of Chungmirae leaf powder$(0-7\%)$ was studied to investigate the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Chungmirae juipyun was prepared with 3% Chungmirae leaf powder showed the most favorable tendencies in color, flavor and overall-acceptability. However, Chungmiraejulpyun prepared with $1\%$ Chungmirae leaf powder showed the most excellent tendency in taste, moistness and after-swallowing. In the texture meter measurement for Chungmiraejulpyun, hardness and springiness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Chungmirae leaf powder. Adhesiveness and cohesive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exture characteristics of Chungmiraejulpyuns was prepared with $5\%\;and\;7\%$ Chungmirae leaf powder and stored at $20^{\circ}C$ for 60 days showed less change than those of the $0\%$ and $1\%$ groups. Gumminess and chewiness showed a similar tendency as hardnes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ue to changes in the additional rate of Chungmirae and storage time.

부산지역 주민의 연령별 떡에 대한 인식 및 이용실태 조사 (A Comparative Study on Cogni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of Korean Rice Cake Classified by Age in Busan)

  • 이정숙;정숙희;김선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28-236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Korean rice cake cogni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classified by age in Busan.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1 to December 26, 2007 by questionnaires and data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orty one point two percent of the elementary school group, 29.0% of the high school group, 35.0% of 2,30's, 44.5% of 4,50's and 39.5% of over 60's took Korean rice cake once or twice per month. Sixty two point eight percent of elementary group, 44.0% of the high school group, 43.0% of 2,30's, 42.5% of 4,50's and 49.5% of over 60's preferred Korean rice cake. The most important basis for selecting rice cake was 'taste' in all of the subjects. The improvements for rice cake were indicated as taste, preservation and packing. As their age decreased, the score of preference for Gaepiduk, Danja, Dootupduk, Bookumi, Soemuriduk, Julpyun, Jorangi and Jungpyun were decreased. Songpyun, Garaeduk, Injulmi, Siruduk and Moojigaeduk were highly recognized as Korean rice cake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eference of rice cake and age, sex, obesity and recognition degree (p < 0.01). Therefore the understanding of the requirements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age and sex is needed to encourage them to choose Korean rice cake.

수리취 첨가량을 달리한 수리취 절편의 특성 (Effect of the Addition of Surichwi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richwijulpyurn)

  • 김명희;박미원;박용곤;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4-98
    • /
    • 1994
  • 수리취 첨가량(0~40%)을 달리하여 제조한 절편의 색도 중 L값은 수리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한 반면 적색도는 높은 음의 값을 나타내었고 각 첨가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경도와 탄력성은 수리취 첨가량이 많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각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내었고 탄력성 또한 경도와 같은 경향을 보였으나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부착성과 응집성은 수리취의 첨가량에 따른 일정한 증감의 경향은 나타내지 않았으며 점착성과 씹힘성은 무첨가군이 가장 높고40% 첨가군이 가장 낮아 수리취의 첨가량이 낮을수록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절편의 색, 향기 및 쫄깃한 정도는 수리취 20%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어 선호도가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고 달라붙는 정도는 수리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손에 더 잘 달라붙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리취 절편을 2$0^{\circ}C$에 저장하면서 시간별 절편의 텍스쳐 변화를 조사한 결과 수리취를 20, 30% 첨가하여 제조한 절편은 무첨가 및 10% 첨가군에 비해 저장 전기간 동안의 경도 증가의 변화폭이 적어 저장 72시간 이후에도 초기에 비해 2.4~3.0배의 경도 증가를 나타내었다. 점착성 및 씹힘성은 경도와 거의 유사한 경향을 보여 씹힘성은 저장시간에 따른 높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으며 점착성은 0, 10, 20 및 30% 첨가군에 서는 높은 유의차를 보이나 40% 첨가군에서는 유의차가 뚜렷하지 않았고, 수리취 첨가량에 대해서는 점착성, 씹힘성 모두 각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다. 응집성은 저장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부착성은 저장시간 및 수리취 첨가량에 따른 유의차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볼 때 1% 중조용액에서 삶은 수리취와 8시간 수침한 쌀을 이용차여 수리취의 첨가량이 각기 다른 절편을 제조할 경우 경도와 탄력성은 수리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20% 첨가 절편이 색, 향 및 종합적 기호도에 있어서 가장 선호도가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고, 이들 절편을 2$0^{\circ}C$에 저장할 경우 수리취가 첨가된 절편은 무첨가군에 비해 저장 중 절편이 굳어지는 것이 훨씬 지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서울, 경남지역 승가(僧家)의 식생활(食生活)에 관한 조사연구 -I. 식이패턴과 특별식 중심으로- (A study on eating habits of the Buddhist Priesthood in Seoul and Kyongnam -I. Dietary pattern and special food-)

  • 조은자;박선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1-118
    • /
    • 1994
  • 1. 식사패턴 (1) 일상식 승가의 식사첫수는 일일삼식(一日三食)의 규칙적인 식사로 대용식은 거의 없었고, 소수의 사찰에서는 흰죽, 과일, 미싯가루, 조과, 찜, 우유등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병인식으로 칠일약(七日藥)이 아닌 주로 흰죽 종류가 이용되었다. 사찰에 늘 상비하고 있는 양념류는 간장, 된장, 깨소금, 참기름, 식용유등을 필수로 하였고, 제피가루, 고추가루, 산초, 인공조미료 등을 일부 상비하고 있었다. (2) 접대식 스님과 일반손님의 접대식으로는 반상(飯床)차림이 가장 일반적이었고, 그외에 다과, 떡, 국수등으로 접대하였으며, 대소 행사시 내객을 위한 음식으로는 비빔밥, 찰밥, 오곡밥, 약밥, 떡국, 콩국수등 단체급식하기 쉬운 음식이었다. (3) 행사식 사찰의 대소 행사식은 육류사용이 제한되는 외에는 대체로 일반세시식과 같았으며, 일반세속과 다른 점은 산채비빔밥과 음료로서 송차가 준비되는 것이었다. 불전공양식(佛前供養食)은 대부분이 오공양(五供養)으로 하였으며 제사음식은 밥, 탕국, 나물, 전, 떡, 과일, 과자등 일반 세속의 제사음식과 같이 하는 경우가 많았다. 2. 특별식 떡류는 찌는 떡, 치는 떡, 빚는 떡, 지지는 떡의 4종류중 사용빈도로서는 치는 떡이 가장 많았으며, 찌는 떡으로서는 팥시루떡이 가장 많이 이용되었다. 고물과 속으로 사용되는 부재료로서는 팥, 녹두, 콩이 많았으며, 쑥이 배합된 떡도 있었다. 조과류로서는 약과, 강정(산자), 다식, 정과, 양갱등으로 종류가 매우 다양하였다. 음청류로는 농후음료류, 엽차류, 냉음청류, 약이복식류와 유(乳) 및 유(乳)제품류로 분류하였고, 조과류와 함께 다양하게 사용되었으며, 솔잎차와 같은 약한 알콜성음료도 이용되어 여름철에는 약수에 간장이나 죽염을 타서 사찰에 오신 손님을 접대하기도 하였다. 3. 저장식품 승가의 저장식품으로는 장아찌류에는 산채가, 김치류에는 엽경채류가, 말림류에는 산채류가, 부각류에는 산채와 해조류가 많이 사용되었고, 묵말림과 같은 특이한 저장식품이 많이 사용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