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int sealant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4초

창호 시공용 폴리우레탄 및 실리콘 실란트 접착성 및 상응성 평가 (The evaluation for adhesion and compatibility properties of polyurethane and silicone sealant for window installation)

  • 안명수;정진영;서연원;김성현;배기선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75-77
    • /
    • 2014
  • Using sealant for window installation is sealing the gap between the window frame and outer wall (such as concrete). A sealant serves to prevent external environmental impacts such as moisture, rain, sand, and dust entering inside of the building and make the building durable. In order to fulfill basic jointing function of sealing, at least 6 mm joint gap between two bonding surfaces are required. Also, adhesion performance between sealant and surfaces and the compatibility with other building materials are required to check before installation. In general, 2 part polyurethane sealant and 1 part silicone sealant are most common materials for sealing the joint of window. In this study, adhesion performances of those two generic sealants reflecting actual application conditions and the compatibility evaluations with other building materials are conducted to propose proper window installation procedures.

  • PDF

폐식용유를 이용한 아스팔트 실란트 (Asphalt Sealant Containing the Waste Edible Oil)

  • 김석준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9권1호
    • /
    • pp.61-70
    • /
    • 2004
  • 본 연구는 폐식용유를 이용하여 아스팔트계 봉함재(sealant)를 제조하는 것이다. 아스팔트계 봉함재는 포장도로의 균열 봉함재 및 교량 조인트용 봉함재로 사용되는 재료이다. 아스팔트(AP-5), 열가소성 고무(SBS triblock copolymer), 점착제(tackifier) 및 안정제를 기본 성분으로 하여 연화제로 방향족계 또는 파라핀계 공정유, DOP(dioctyl phthalate), 벙커 C유 또는 폐식용유와 혼합하여 침입도, 연화점, 신도 및 인장 접착 신율(상온 및 저온)을 측정하였다. 연화제의 종류 및 함량에 따라 봉함재의 물성이 크게 변화하였다. 폐식용유 또는 DOP를 사용한 경우가 저온 인장 접착 특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폐식용유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아스팔트 봉함재의 침입도는 및 인장 접착 신율은 증가하였고 증량제로 탈크를 첨가할 경우 함량에 비례하여 침입도 및 저온 인장 신율은 감소하였다. 배합비를 최적화하여 침입도가 낮으면서도 저온 인장 접착성이 우수한 아스팔트 봉함재를 제조할 수 있었다.

PC 공동주택 외벽용 방수 실란트 자재의 성능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Waterproof Sealant Materials for the Exterior Wall of PC Apartment House)

  • 고효진;김용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가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221-222
    • /
    • 2023
  •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waterproof sealant materials applied to the outer wall of PC apartment houses was conducted. The sealant for PC members must have resistance to movement, and since it is exposed to outside air, weather resistance and water resistance are required.

  • PDF

방균실란트의 방균지속성 평가 (Antifungal Durability Evaluation of Sanitary Sealant)

  • 서연원;정진영;안명수;김성현;배기선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65-67
    • /
    • 2014
  • There are many elastomeric joint sealant applications in construction such as structural glazing, weatherproofing and insulating glass fabrication etc. Each sealant joints require unique durability functions to perform well through building life cycle. Elastomeric joints in bathroom and kitchen is one of areas which require durable sealing. In this application, anti fungal durability is proprietary function of sealant during building life cycle. Premature failure of anti fungus resistance of sealant is putting big stresses to general contractor as well as the inhabitants due to costly rework and poor sanitation. Accordingly, when chemists design a product, they must take into account various parameters not only formulation components also test conditions in order to have long term fungal durability. This paper reviews several biocide options with various industry standards for fungus resistance performance to suggest making new test method for construction sealant industry.

  • PDF

LTPP Data를 이용한 확률론적 줄눈폭 예측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Probabilistic Joint Opening Model using the LTPP Data)

  • 이승우;전성재;정진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4D호
    • /
    • pp.593-600
    • /
    • 2006
  • 줄눈 콘크리트포장의 줄눈폭의 크기는 인접한 슬래브의 온습도 변화에 따른 체적변형에 기인하여 발생하고 인접 슬래브 간 하중 전달율에 영향을 미치며 줄눈채움재의 설계를 위한 중요한 인자이다. 슬래브의 온도가 하강하거나 습도가 감소하면 줄눈폭은 증가며 일반적으로 최대 줄눈폭은 AASHTO Guide에서 제안된 식을 사용하여 예측하고 있다. 동일한 포장 구역 내에서도 각각의 줄눈별로 발생되는 줄눈폭의 크기가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반면, AASHTO 줄눈폭 예측식은 동일 포장 구역 내에서는 각 줄눈들에서 동일한 줄눈폭이 발생한다는 가정을 갖고 개발되었다. 이러한 가정은 AASHTO 줄눈폭 예측식이 임의 포장구역 내에서의 줄눈폭의 평균값에 대한 예측만을 가능하게 하여 상당부분의 줄눈에 대해서는 과소평가를 초래한다는 단점을 갖게 한다. 이로인해 최대 줄눈폭이 과소평가된 줄눈에서는 줄눈채움재가 조기파손하고, 하중 전달율이 불량하여 단차가 발생할 소지가 높고, 수분의 하부침투 및 세골제등이 줄눈폭 사이에 침입하여 스폴링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러한 파손들은 포장 설계시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계획된 포장 수명이 도달하기 전에 포장공용성이 저하되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선 다양한 줄눈콘크리트포장의 줄눈폭 모니터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LTPP SMP Data를 이용하여 임의 포장 내에서의 최대 줄눈폭의 크기가 어떤 분포양상을 나타내는지 고찰하고 줄눈폭이 과소평가되는 비율을 포장설계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확률론적 줄눈폭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공항용 조인트 충진재의 성능 및 내유저항특성 비교연구 (Comparison of Performance & Jet Fuel Oil Resistance of Joint Sealant Materials for Airside)

  • 박태순;이근식;이수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4D호
    • /
    • pp.587-592
    • /
    • 2006
  • Airside 지역 콘크리트 포장의 조인트에 사용되는 충진재는 항공기 이 착륙시 엔진에서 뿜어져 나오는 고열의 후폭풍과 계류장에서 항공기의 정비 및 주유시 항공유 유출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공항용 조인트 충진재는 도로포장용과는 다른 충진재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사용되고 있는 3 종류의 충진재에 대하여 물리적 특성 시험과 성능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재료는 폴리썰파이드, 폴리우레탄, 실리콘을 사용하였다. 시험결과 폴리썰파이드 충진재는 내열성과 내유성에 대한 저항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폴리우레탄, 실리콘 충진재의 순으로 시험결과가 나타났다. Airside 지역별 특성을 고려했을 때, 폴리썰파이트 충진재는 활주로와 계류장에, 폴리우레탄 충진재는 유도로에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며 실리콘 충진재는 Airside 지역 충진재로는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덧씌우기 아스팔트 포장체의 전단반사균옅 모사시험을 이용한 줄눈 실링재의 반사균열 지연효과 비교분석 (Evaluation of Sealing Effect on Performance of Overlaid Asphalt Pavement using Accelerated Reflection Cracking Test in Shear Mode)

  • 최동춘;이상범;이영관;김광우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1-9
    • /
    • 2003
  • 본 논문은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위에 덧씌우기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에서 발생하는 반사균열 제어를 위해 줄눈 실링재를 사용한 포장에서의 반사균열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사용된 시험방법은 전단반사균열 모사실험 방법으로 실내에서 덧씌우기 아스팔트의 반사균열 저항성 시험을 위해 개발된 시험기법이다. 실험을 통하여 줄눈 실링재는 반사균열 제어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링재 E를 사용하였을 때 피로수명은 가장 크게 나타났으나 수평변형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B의 경우 수평변형은 가장 적게 나타났고 동적 안정도도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실링재의 인장강도가 높은 것일수록 혼합물의 반사균열저항성이 더 좋았다.

  • PDF

방화용 실런트 성능 평가 방법 연구 (A study for the test method of fire resistance construction sealant)

  • 안명수;정진영;배기선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79-182
    • /
    • 2013
  • Many kinds of fire-stop sealants have been used for joint sealing, cable penetration part sealing and fireproof structure finishing etc in building sectors which need water-proofing and fire-stop properties. But, fire-stop sealant itself has no specific industry standards in Korea even though there are so many required properties for the application. So, in this study, for the evaluation, we adopted and applied UL standard 94(UL 94) which is commonly used for the fire retardant testing in inflammable materials like plastics and rubbers in electronics industry.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fire resistance properties of each fire-stop sealants which varied with different formulation, thickness and origins available in Korea. Overall, fire stop sealant had better fire resistance performance than normal construction sealant. And the thicker the material, the better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was. Because there is no national or industry guideline for fire stop sealant itself, each sealant products showed different level of performances under UL94 desigation. Even certain product had very poor fire proof propeties although it claims it can be used for the application.

  • PDF

경화단계에서의 1성분형 실리콘 실란트의 거동대응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the Joint Movement Responsiveness Performance to the One-Component Silicon Sealants at Curing Phase)

  • 손종원;오노 타다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63-64
    • /
    • 2014
  • In this study, we has a purpose to estimate the joint movement responsiveness performance for the domestic products of one-component structural silicon sealants. For this purpose, we make a comparative study for the four domestic products focused on tensile properties after allowed the cyclic-movements for three days at initial step of curing phase. A joint movement range ±10% and the rate of compression and extension 3.2mm/h were assumed in those tests. As a result, the large space were induced inside the sealant by rupture, and then adhesion and cohesion failures were caused by stress concentration. The tensile properties were reduced by 15~60% in comparison with physical properties. In this case, the generating defect was caused and the service-life was decreased. Thus, further researches as relationship of test condition and products properties on this behavior would be studied.

  • PDF

고무 아스팔트 씰의 한중 공동 품질기준 제정을 위하여 국내 재료를 중국업계표준 JC/T 2428의 부착강도 적용시 기본물성 확보 여부 확인 (Confirmation on Basic Adhesion Strength Property Testing of Domestic Rubber Asphalt Waterproofing Sealant in Accordance JC/T 2428 Chinese Industrial Standard for the Establishment of Korea-China Joint Quality Standards)

  • 안기원;오상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26-227
    • /
    • 2019
  • Installation and usage methods are currently different between China and Korea for the same rubber asphalt waterproofing sealant. Quality verification is not properly carried out in this situation, so it is necessary to secure reliability in order to export domestic materials to China. In this study, rubber asphalt waterproofing sealant used as injection-type leakage repair material was tested in accordance to adhesion strength quality test method outlined in the JC/T2428 Chinese Industrial Standard to confirm the basic performance is compliant or no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