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embeddedne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배태성과 간호업무성과와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과 사회적 지지의 역할 (Role of Self-leadership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Job Performance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 이현숙;염영희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75-385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nurses' job performance with job embeddedness, self-leadership and social support and the role of self-leadership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job performance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244 nurses from 3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Gyunggi Provinc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Job performa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job embeddedness (r=.56, p<.001), self-leadership(r=.68, p<.001), organizational support (r=.30, p<.001), supervisors' support (r=.31, p<.001) and colleagues' support (r=.31, p<.001). Job embeddedness and self-leadership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nurses' job performance. However self-leadership and social support did not show moderating effects of job embeddedness on nurses' job performance.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job embeddednes and self-leadership are important factors to enhance nurses' job performance. Therefore, promoting activities for job embeddedness and self-leadership might be a way to increase nurses' job performance. As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social support on job embeddedness and job performance,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refine these findings in different environments.

직무배태성에 따른 이직과 잔류의 영향 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Research of Job turnover and Stay, Based on Job Embeddedness)

  • 은화리;구자복;정태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4권2호
    • /
    • pp.221-250
    • /
    • 2018
  • 본 연구는 직무배태성 개념에 기초하여 대졸 초기경력자의 이직 및 잔류요인과 이직효과를 그들의 입장에서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대졸 초기경력자 20명과 심층면담을 실시했으며 그 내용을 현상학적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직을 고려하는 요인에는 직무배태성의 구성요소 중 적합성 및 연계가 포함되어 있었다. 즉, 자신의 능력과 재능이 직무에 잘 활용되는지, 현재 업무가 자신의 진로 방향에 부합하는지 그리고 조직의 비전과 문화가 자신과 맞는지 등의 적합성과 조직 내 동료 및 상사와의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상호작용 등의 연계가 이직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잔류를 고려하는 요인에는 업무에 대한 만족 및 장기적 경력관리 고려, 조직에 대한 만족 등의 적합성과, 입사 동기나 부서 내 동료들과의 관계에 대한 만족 등의 연계, 그리고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 취업상태에 대한 만족 등의 희생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직효과의 경우, 이직 이후 업무에 대한 만족과 일을 통한 성취감, 조직에 대한 만족감 및 동료와의 관계와 팀 분위기에 대한 만족이 이직으로 인한 부정적인 변화를 상쇄하는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근속기간이 짧고 직무경력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은 대졸 초기경력자들의 직업생활 수준을 향상시키고 이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첫 직장에서 직무를 통해 얻는 만족감과 원만한 대인관계, 그리고 이직에 따른 비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