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rusalem artichoke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4초

돼지감자 추출물을 이용한 이눌라아제 생산 (Production of Inulase Using Jerusalem Artichoke Tuber Extract)

  • 최원상;최용경;김수일;변시명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4호
    • /
    • pp.238-244
    • /
    • 1984
  • Kluyveromyces fragilis No.351을 이용하여 이눌라아제 생산을 최대로 할수있는 배지 조성 및 배양 조건을 조사하였다. 탄소원 및 inducer로는 돼지감자 추출액을 이용하였으며 전체 중량 3.5%가 가장 적합하였다.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유기 질소원인 yeast extract보다 bactocasitone이 더 좋았고 2.0%에서 효소 생성이 최대로 되었다. 초기 pH 5.5 및 $30^{\circ}C$가 알맞은 배양조건이었으며, $NH_4H_2PO_4$ 0.5% 첨가로 효소 생성이 증가되었다. 이눌라아제의 생성은 통기를 높여감에 따라 더욱 많이 생성되었고 intracellular inulase의 생성은 균체증식에 비례하여 증가되었다. Ultrafiltration과 에탄올 침전법을 이용하여 효소를 회수한 결과 72%의 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돼지감자 Peroxidase의 분리와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eroxidase from Jerusalem Artichoke Tubers)

  • 윤은석;강수정;노봉수;최언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65-570
    • /
    • 1993
  • 가공 과정 중 갈변에 관여하는 돼지감자의 peroxidase가 ammonium sulfate, DEAE-cellulose column, Sephacryl S-200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36.65배로 정제되었다. 이 효소는 p-phenylenediamine을 기질로 사용하였을 때 pH5.0가 활성 최적 pH이었으며 pH $5.0{\sim}6.0$의 범위에서 비교적 안정하였다. 열 불활성화 곡선은 1차 곡선에서 벗어났고 60, 70, $80^{\circ}C$에서의 D값은 각각 86, 45, 33초이었으며 활성화에너지는 4,111 J/mole이었다. 이 효소의 기질특이성은 amine류 중에서 p-phenylenediamine과 가장 친화력이 좋았고 potassium cyanate, sodium diethyldithiocarbamate, L-ascorbic acid, sodium hydrosulfite, L-cysteine에 의해 활성이 완전히 억제되었으며 $Ca^{2+},\;Cu^{2+}$에 의해서는 활성이 촉진되었다.

  • PDF

고구마, 감자 및 돼지감자 분말(粉末)을 이용(利用)한 합판용(合板用) 요소수지(尿素樹脂)의 증량(增量)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potato, sweet potato, and jelusalem artichoke flour as an extender of urea formaldehyde resin for plywood)

  • 이필우;이화형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권2호
    • /
    • pp.11-15
    • /
    • 197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tilize sweet potato, and jerusalem artichoke flour as an extender of urea formaldehyde resin for plywood manufacture.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dry and wet test of plywood, sweet potato flour extended in urea formaldehyde resin was shown better strength than those of wheat flour. 2) Sweet potato flour was shown good results up to 200 percent extension in the dry test, and there was not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100 percent and 150 percent extension in the wet test. 3) In the case of 100 percent extension, potato flour was shown best dry shear strength(400 psi) and sweet potato flour was shown best wet shear strength (212 psi).

  • PDF

돼지감자분말을 첨가한 부침가루의 항산화 및 품질특성 (Qualitative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uchimgaru Supplemented with Jerusalem Artichoke Powder)

  • 김기창;김혜선;조인희;김진숙;김경미;장영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1065-1070
    • /
    • 2013
  • 본 연구는 prebiotics, 혈당조절, 콜레스테롤 감소 및 항산화 활성 등의 효과가 있는 돼지감자를 식품소재로써 활용하고자 돼지감자분말이 첨가된 부침가루를 제조하고 첨가량에 따른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돼지감자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부침개의 물리적 특성은 30% 첨가 시 탄력성, 응집성이 가장 낮았으며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색도의 경우 돼지감자분말의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밝기는 감소하며 적색도와 황색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돼지감자분말 첨가에 따른 부침가루의 fructan 함량은 30% 첨가 시 13.71%로 무첨가보다 약 9배의 높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총 폴리페놀함량의 경우에는 무첨가는 68.93 mg GAE/100 g의 함량을 보였으며 30% 첨가 시에는 84.87 mg GAE/100 g까지 증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30% 첨가시 약 63.72%의 활성을 보여 무첨가보다 약 11배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다. 관능적 특성은 색, 향, 전반적 기호도 항목에서 돼지감자분말의 첨가가 무첨가 부침개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위의 결과와 같이 돼지감자분말을 첨가한 부침가루는 기능성 및 기호도 측면에서도 우수하여 고품질 식품소재로의 효율적인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발현된 Cycloinulooligosaccharide Fructanotransferase을 이용한 Cyclofructan의 생산 (Production of Cyclofructan by Cycloinulooligosaccharide Fructanotransferase Expressed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임채권;김현철;김광현;김병우;남수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0-66
    • /
    • 2004
  • Paenibacillus polymyxa 유래의 cycloinulooligosaccharide fructanotransferase(CFTase) 유전자(cft)를 Saccharomyces cerevisiae SEY2102 에 발현시키기 위해 대장균과 효모의 shuttle vector인 pYES 2.0(GALI) promoter)에 subcloning하였다. 구축된 pYGCFT(9.9kb) plasmid를 S. cerevisiae SEY2102에 형질전환하였고, uracil이 결핍된 SD 배지에서 선별하였다. 선별된 형질전혼체(S. cerevisiae SEY2102/pYGCFT)는 galactose 첨가에 의해 성공적으로 발현되어 cyclofructan(CF)을 생셩함을 TLC로 확인하였다. 그러나 균체외로의 효소 분비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cytoplasm 보다 periplasmic space에 많이 존재하였다. 효소반응 3시간부터 CF가 생성됨을 확인하였고, 최적온도와 pH는 각각 45$^{\circ}C$와 pH 8.0로 나타났으며, pH 10.0에서도 효소활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Inulin 기질에 따른 반응산물 분석결과, Jerusalem artichoke와 dahlia tuber로부터 CF가 가장 효과적으로 생성되었다.

산란계의 혈액 및 계란지질에 관한 고수준의 미세캡슐화 이눌린 급여효과 (Effect of Feeding the High Levels of Microcapsulated Inulin on Egg and Blood Lipid Profile in Laying Hens)

  • 박상오;박병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14-223
    • /
    • 2012
  • 본 연구는 산란계 사료 내 돼지감자(Helianthus tuberosus L.)로부터 제조한 미세캡술화 이눌린(microcapsulated inulin, MI)의 고수준 첨가가 혈액지질, 계란콜레스테롤 및 지방산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25주령 갈색산란계를 이용하여 4주 동안 실험사료를 급여하였으며, 실험처리구는 MI 무첨가 대조군, 800 ppm, 900 ppm 및 1,000 ppm로 구분하였다. 혈액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및 계란 콜레스테롤은 MI 무첨가군과 비교할 때 첨가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계란 포화지방산 조성은 MI무첨가군과 비교할 때 첨가군에서 낮았으나 불포화지방산은 그 반대로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미세캡슐화 이눌린을 산란계 사료 내 첨가해주면 혈액지질 감소에 의해 계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Endophytic Bacteria Improve Root Traits, Biomass and Yield of Helianthus tuberosus L. under Normal and Deficit Water Conditions

  • Namwongsa, Junthima;Jogloy, Sanun;Vorasoot, Nimitr;Boonlue, Sophon;Riddech, Nuntavan;Mongkolthanaruk, Wiyad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11호
    • /
    • pp.1777-1789
    • /
    • 2019
  • Drought is more concerned to be a huge problem for agriculture as it affects plant growth and yield. Endophytic bacteria act as plant growth promoting bacteria that have roles for improving plant growth under stress conditions. The properties of four strains of endophytic bacteria were determined under water deficit medium with 20% polyethylene glycol. Bacillus aquimaris strain 3.13 showed high 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ACC) deaminase production; Micrococcus luteus strain 4.43 produced indole acetic acid (IAA). Exopolysaccharide production was high in Bacillus methylotrophicus strain 5.18 while Bacillus sp. strain 5.2 did not show major properties for drought response. Inoculation of endophytic bacteria into plants, strain 3.13 and 4.43 increased height, shoot and root weight, root length, root diameter, root volume, root area and root surface of Jerusalem artichoke grown under water limitation, clearly shown in water supply at 1/3 of available water. These increases were caused by bacteria ACC deaminase and IAA production; moreover, strain 4.43 boosted leaf area and chlorophyll levels, leading to increased photosynthesis under drought at 60 days of planting. The harvest index was high in the treatment with strain 4.43 and 3.13 under 1/3 of available water, promoting tuber numbers and tuber weight. Inulin content was unchanged in the control between well-watered and drought conditions. In comparison, inulin levels were higher in the endophytic bacteria treatment under both conditions, although yields dipped under drought. Thus, the endophytic bacteria promoted in plant growth and yield under drought; they had outstanding function in the enhancement of inulin content under well-watered condition.

Recombinant Production of an Inulinase in a Saccharomyces cerevisiae gal80 Strain

  • Lim, Seok-Hwan;Lee, Hong-Weon;Sok, Dai-Eun;Choi, Eui-S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11호
    • /
    • pp.1529-1533
    • /
    • 2010
  • The inulinase gene (INU1) from Kluyveromyces marxianus NCYC2887 was overexpressed by using the GAL10 promotor in a ${\Delta}ga180$ strai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The inulinase gene lacking the original signal sequence was fused in-frame to a mating factor ${\alpha}$ signal sequence for secretory expression. Use of the ${\Delta}ga180$ strain allowed for the galactose-free induction of inulinase expression using a glucose-only medium. Shake-flask cultivation in YPD medium produced 34.6 U/ml of the recombinant inulinase, which was approximately 13-fold higher than that produced by K. marxianus NCYC2887.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the ${\Delta}ga180$ strain improved the expression of inulinase in the recombinant S. cerevisiae in both aerobic and anaerobic conditions by about 2.9- and 1.7-fold, respectively. A 5-l fed-batch fermentation using YPD medium was performed under aerobic condition with glucose feeding, which resulted in the inulinase production of 31.7 U/ml at the $OD_{600}$ of 67. Ethanol fermentation of dried powder of Jerusalem artichoke, an inulin-rich biomass, was also performed using the recombinant S. cerevisiae expressing INU1 and K. marxianus NCYC2887. Fermentation in a 5-l scale fermentor was carried out at an aeration rate of 0.2 vvm, an agitation rate of 300 rpm, and with the pH controlled at 5.0. The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30^{\circ}C$ and $37^{\circ}C$, respectively, for the recombinant S. cerevisiae and K. marxianus. The maximum productivities of ethanol were 59.0 and 53.5 g/l,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