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ponica type

검색결과 659건 처리시간 0.035초

누에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의 항피로효과 및 조혈장해 개선효과 (Antifntique Effect and Improvement of Hematotoxicity by Dongchongxiacno (Paecilomyces japonica ))

  • 김세라;조성기;안미영;신동호;김성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28-332
    • /
    • 2002
  • Cordyceps is reputed for its broad biological activities and as a tonic for replenishing vital function in Chinese traditional medicines. As an attempt to obtain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ew type Cordyceps, the effects of the fruiting bodies of cultivated fungus of Paecilomyces japonica grown on silkworm larvae on fatigue and hematotoxicity were investigated. The antifatigue activity of dongchongxiacao (Paecilomyces japonica) was studied in mice using weight loaded forced swimming performance method. The water extract of dongchongxiacao(25 mg/kg of body weight, intraperitoneal injection at 12 and 36 hours before irradiation and 30 minute and 24 hours after irradiation) showed a significant antifatigue effect in normal mice and radiation-induced fatigue mice (p<0.0005). In the experiment on the improvement of hematotoxicity,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irradiated controls was seen at day 3 of the group treated with dongchongxiacao and substantial differences from the irradiated controls at day 7 was also detected.

곡물(糓物)의 열전도계수(熱傳導係數)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rmal Conductivities of Grain)

  • 김만수;고학균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7권1호
    • /
    • pp.1-16
    • /
    • 1982
  • The thermal conductivies of grain are influenced by many physical factors such as' initial temperature, moisture content, composition, bulk density or porosity of grain. However, not only few researchers considered all these factors in determining thermal conductivities of grain but also many researchers considered only moisture content as a major effective factor on the thermal conductiv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erimentally determine the thermal conductivities of rough rice (3 Japonica-type, 3 Indica-type) and barley(covered, naked) as a function of initial temperature, moisture content and porosity of grai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ose physical factors on the thermal conductivities of gra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time correction value for this experimental apparatus was 7 sec, which. was insignificant to the calculated thermal conductivity. The resulting conductivity for considering time correction value was only 4.9 percent higher than that calculated by the non-corrected equation. 2. The thermal conductivity was in the range of 0.1208~0.2058W/$m^{\circ}K$ for naked barley, 0.1138~0.1724W/$m^{\circ}K$ for covered barley, 0.0912~0.1864W/$m^{\circ}K$ for Japonica-type rice and 0.086~0.1774W/$m^{\circ}K$ for Indica-type rice. 3. The thermal conductivities of grain increased with initial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of grain but decreased with porosity of grain. 4. The regression equations of the thermal conductivity of each grain were determined as a function of initial temperature, moisture content and porosity. The regression equations of the thermal conductivity of both Japonica-type and Indica-type rough rice were also determined.

  • PDF

곡물(糓物)의 물리적(物理的)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Physical Properties of Grain)

  • 김만수;고학균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6권1호
    • /
    • pp.73-82
    • /
    • 1981
  • The physical properties of grain are very important for the design of handling, sorting, processing, and storage system.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grain, volume, bulk density, true density, specific gravity, and porosity arc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thermal properties of grai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experimentally the above physical properties of rough rice (3 Japonica-type, 3 Indica-type) and barley (covered, naked) as a function of moisture content ranged from about 10% to 25% (w.b).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volume of grain kernel increased with moisture content for both rice and barley. The volume of those grain kernel was in the range of $2.2068{\times}10^{-8}{\sim}3.3960{\times}10^{-8}m^3$ at the moisture content of 14%. 2. The bulk density of rice increased linearly with moisture content for Japonica-type rough rice and quadratically for Indica-type rough rice, but the bulk density of barley decreased linearly with moisture content. The bulk density of the grain was in the range of 501.14~689.13kg/$m^3$ at the moisture content of 14%. 3. The true density of whole grain decreased linearly with moisture content, and was in the range of 1019.49~1139.75kg/$m^3$ at the moisture content of 14%. 4. The porosity of rice decreased linearly with moisture content for Japonica-type rough rice and quadratically for Indica-type rough rice, but the porosity of barley increased linearly with moisture content. The porosity of the grain was in the range of 39.51~50.83% at the moisture content of 14%. 5. The regression equations of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volume, bulk density, true density, and porosity of the grain were determined as a function of moisture content.

  • PDF

몇 가지 벼 품종으로부터 분리한 4-HPPD저해 제초제에 감수성인 HIS1 유전자 특성 (Characteristics of Sensitive HIS1 Genes to the 4-HPPD Inhibiting Rice Herbicides Isolated from Several Rice Cultivars)

  • 김상수;박재읍;김예진;이용환;이인용;이정란;문병철;임양빈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4호
    • /
    • pp.187-190
    • /
    • 2016
  • 4-HPPD저해 제초제에 의한 주요 벼품종의 약해반응과 약제반응에 관여하는 유전자(HIS1)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본시험을 수행하였다. Benzobicyclon 액상수화제 처리에 Japonica 품종인 상주벼에는 백화증상의 약해증상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Japonica 품종임에도 불구하고 삼백벼에서는 기준량에서는 2-3, 배량에서는 3-4의 백화증상의 약해가 발생하였으며, 산들진미, 금영 품종에서는 3-4 및 4-5의 약해증상을 보였다. 또한 Indica 품종인 IR-8 품종에서는 기준량에서 3~5, 배량에서는 4~6의 가증 심한 약해증상을 보였다. 4-HPPD저해 제초제애 대해서 약제반응에 관여하는 HIS1 유전자 보유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일반계 품종인 상주벼와, 삼백벼, 산들진미, 금영과 통일형 품종인 IR-8품종으로부터 저항성 표적유전자와 동일 HIS1 유전자를 분리하였다. 각 품종별 HIS1유전자를 PCR등을 통해 염기서열을 확인한 결과 HIS1 유전자는 생태형에 상관없이 시험한 5품종 모두에서 HIS1유전자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본 유전자로 HPPD 약해 발생 유무를 검증할 수 없음이 확인되었다.

세미(洗米)에 의한 미곡(米穀)의 영양손실(營養損失)에 관한 연구(硏究) (Effect of Washing on the Loss of Nutrients in Rice)

  • 최홍식;유정희;조재선;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0-174
    • /
    • 1977
  • 세미(洗米)로 인한 미곡(米穀)의 주요(主要) 영양성분 손실을 품종별(品種別) 도정도별(搗精度別)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세미(洗米)에 의한 각영양소 평균손실율의 범위는 총고형분 $1{\sim}2%$, 단백질 $5{\sim}7%$, 칼슘 $18{\sim}26%$, 철분 $19{\sim}47%$, $vitamin\;B_1\;22{\sim}40%$, $B_2\;11{\sim}24%$ 그리고 niacin이 $36{\sim}45%$이었다. 2) 일반미인 아끼바레(Japonica type)보다 통일미(Indica type)에서 vitamin 성분을 제외한 총고형분, 단백질, 칼슘 및 철분의 손실율은 더 높았다. 3) 백미(白米)의 도정도가 높을수록 총고형분, 가용성무질소물 및 vitamin의 손실율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단백질, 칼슘 및 철분들의 손실율은 도정도에 따른 일정한 경향은 없었으나, 손실되는 절대량은 도정도가 낮은 5분도미에서 더 많았다. 4) 세미(洗米)중 구성 amino acid의 손실율은 Iysine이 가장 높았고, 다음 histidine, glycine 및 alanine등이었다.

  • PDF

여러 아종 벼 품종들간 아밀로그램 특성 비교 (Comparison of Amylogram Properties among Several Subspecies of Rice)

  • 곽태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86-190
    • /
    • 2005
  • 서로 다른 벼 3아종의 품종군에 대한 아밀로그램 특성을 상관 및 주성분 분석으로 품종의 다양성을 파악한바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최고점도와 강하점도에서 나타난 성적으로 보아 통일형의 temperate indica품종군이 전형적인 인디카 품종군과 신초형의 tropical japonica품종군보다 자포니카 혈연에 가까웠다. 2. temperate indica 품종군이 전형적인 인디카 품종군과 tropical japonica 품종군보다 최종점도, 응집점도 및 취반점도는 낮게 나타났다. 3. 최고점도와 최저점도는 3아종의 품종군에서 다같이 고도의 정상관을 보였고 강하점도와 취반점도는 3아종에서 다같이 고도의 부상관을 보였다. 4. 제1주성분은 호화온도, 최종점도, 응집점도 및 취반점도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그리고 최고점도 및 강하점도는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했다. 5. 주성분치로서 평면상 도표를 그린 품종군 분류로 품질관련 아밀로그램 특성의 공통된 품종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삼나무의 엽형분류(葉型分類) 및 생장특성(生長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주도(濟州道)를 중심(中心)으로- (Classification of Needle Typ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Cryptomeria japonica Planted in Cheju Province)

  • 진현오;전상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6권4호
    • /
    • pp.410-417
    • /
    • 1987
  • 제주도(濟州道)에 식재(植載)된 삼나무에 대(對)한 엽형(葉型)을 분류(分類)하고 생장특성(生長特性)을 조사(調査)함과 동시에 일본각지(日本各地)의 천연생(天然生) 삼나무와의 유사성(類似性)에 대(對)하여 비교검토(比較檢討)하였다. 제주도(濟州道) 삼나무의 엽형(葉型)은 총(總) 9개형(個型)으로 대별(大別)할 수 있으며, 각조사구(各調査區)에서 6개형(個型) 이상(以上)의 엽형출현(葉型出現)으로, 여러 계통(系統)이 혼재(混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본(日本)의 Ura(이(裏)) 계통(系統) 삼나무의 형태(形態)를 한 엽형(葉型), 즉 침엽각도(針葉角度) 중용이하(中庸以下), 만곡도(灣曲度), 침엽장(針葉長)이 작은 형(型)(각각(各各) $28^{\circ}$ 미만(未滿), 3.2~8.9, 7.3~12.8 mm)의 개체(個體)가 수고생장(樹高生長)에서 우세(優勢)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개체(個體)를 지위(地位)가 좋은 곳에 조림육성(造林育成)할 경우 임지생산력(林地生産力)의 증대(增大)를 기대(期待)할 수 있다고 추찰(推察)되었다.

  • PDF

Two-dimensional Ordination 분석법에 의한 수도 품종 분류 (Classification of Rice Cultivar Using Two-dimensional Ordination Analysis)

  • 김순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4-80
    • /
    • 1989
  • 우리나라에 재배되고 있는 주요 수도품종들의 생육형질들의 차이점을 양적으로 나타내고 또한 이들 품종들의 위치를 도면상에 나타내어 실용적인 면에서 품종을 쉽게 선정 또는 분류할 수 있게 하기 위해 Two-dimensional ordination 분석법을 도입하여 검토 분석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된 27개 품종중에서 장성벼가 다른 품종들과의 종합적인 생육형질의 유사성계수가 가장 적었으며, 다음으로는 칠성벼, 가야벼, 기호벼, 한강찰벼, 상풍벼 순이었고, 반대로 종합성육형질의 유사성계수가 가장 높은 품종은 대청벼와 영산벼였고 다음은 낙동벼, 신선찰벼, 광명벼, 영덕벼, 팔공벼, 동진벼의 순이었다. 2. 품종집단별로 유사성계수가 가장 적은 품종집단은 가야벼와 상풍벼, 기호벼 또는 서남벼집단, 삼강벼, 기호벼집단, 칠성벼와 장성벼, 상풍벼, 추정벼, 기호벼 또는 서남벼집단, 장성벼와 광명벼, 상풍벼, 기호벼, 대창벼 또는 화성벼집단으로 45∼50% 범위의 유사성계수를 보였다. 한편 유사성계수가 가장 큰 품종집단은 동진벼와 신선찰벼, 대청벼, 섬진벼 또는 영산벼집단, 상풍벼와 기호변집단, 영덕벼와 영산벼 또는 팔공벼집단, 광명벼와 영덕벼집단, 락동벼와 광명벼, 영덕벼, 대청벼, 화성벼 또는 영산벼집단, 신선찰벼와 대청벼 또는 영산벼집단, 섬진벼와 대청벼 또는 영산벼집단. 대청벼와 영산벼집단으로서 유사성계수가 85% 이상을 나타내었다. 3. Two-dimensional ordination 분석법에 의한 품종분포는 대부분의 품종이 현행 분류방법인 통일형과 자포니카형으로 구분되었으나, 통일형품질인 중원벼는 오히려 자포니카형 품종군에, 그리고 자포니카형 품종인 섬진벼는 오히려 통일형 품종군에 위치하였고, 신선찰벼와 대청벼는 통일형과 자포니카형 품종군의 중앙부에 위치하였다. 4. Two-dimensional ordination 분석법에 의한 품종분류는 품종배치다양화를 위한 실용적인 선정방법이 될 뿐만 아니라 목적하는 바, 형질을 갖는 품종선정에도 좋은 정보를 제공하여 주었다.

  • PDF

Morphology and phylogenetic position of a freshwater Prasiola species (Prasiolales, Chlorophyta) in Korea

  • Kim, Moon Sook;Jun, Man-Sig;Kim, Cho A;Yoon, Jihae;Kim, Jin Hee;Cho, Ga Youn
    • ALGAE
    • /
    • 제30권3호
    • /
    • pp.197-205
    • /
    • 2015
  • The genus of leafy green algae, Prasiola Meneghini, includes marine, terrestrial, and freshwater species. A total of 11 species and one variety have been identified in China, Korea, and Japan. In Korea, Prasiola formosana var. coreana has been reported in Muncheon, North Korea, while a different type of Prasiola species has been reported in South Korea. The South Korean species has been found growing along a small stream originating from Chodanggul Cave, a limestone cave in Samcheok, Gangwon Province. Here, we revis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outh Korean Prasiola species and analyzed plastid rbcL, psaB, and tufA genes to clarify its identity. Although the external and anatomical morphologies varied among individuals, our results were very similar to previous reports. Plastid three genes sequences of the South Korean specimens were identical to those of P. japonica collected from Japan as well as to published sequences of P. yunnanica from China. A short rbcL-3P sequence (196 bp) from P. formosana var. coreana, which was identified in the type specimen, was also identical to a sequence from P. japonica. These Prasiola species and variety from Korea, Japan, and China are all distributed in areas characterized by limestone bedrock. Based on morphological, phylogenetic, and distributional features, the South Korean Prasiola species is regarded herein as P. japonica. Here, we also propose to synonymize P. formosana var. coreana and P. yunnanica with P. japonica.

온대와 열대에서 생태형이 다른 수도품종의 수량 및 생육형질의 변이 II. 온대와 열대지방간에 품종별 수량 및 수량형질의 변이 (Variation of Yields and Growth-related Characteristics Shown by Different Ecotype of Rice Varieties in the Temperate and Tropical Zones II. Yields and Yield-related Characteristics Variation Shown by Varieties in Temperate and Tropical Zones)

  • 노건길;이은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91-402
    • /
    • 1986
  • 8개 품종과 한국의 8개 품종을 인도네시아 발리(남위 8$^{\circ}$42')와 한국 수원(북위 37$^{\circ}$16')에서 한국재배법과 인도네시아 재배법으로 시험한 결과는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1. 지역간에 유의성이 나타나는 형질은 임실율과 천립중이었는데 지역효과는 두 형질이 서로 반대로서 수원에서는 임실율이 높았고 발리에서는 천립중이 높았다. 이는 임실율에서는 Japonica품종과 Indica품종이 발리보다 수원에서 높게 나타나는데 원인이 있으며 천립중은 Ind./Jap. 품종과 Japonica 품종이 대체로 발리에서 수원보다 크게 나타나기 때문이었다. 2. 재배법간의 차이는 건물중과 조고북에서만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이들 형질은 재식밀도가 낮고 시비양이 많은 한국재배법에서 높았다. 3. 두 지역에서 평균수량이 높았던 품종은 태백, 한강찰, 금강, IR36, IR50, Semeru 등 6개품종이 었으며 발리에서는 태백, 만석, 한강찰, 금강, IR50, IR36. Semeru, Cisadane 등 8개품종이었으며, 수원에서는 상남, 금강, TR50, IR36, Semeru 5개 품종이었다. 4. 경노계수 분석결과 수량구성요소의 수량 기여율은 발리에서는 수당립수, 주당수수, 임실률, 천립중 순이였으며 수원에서는 주당수수, 수당립수, 천립중, 임실률 순이였다. 5. 비교적 광지역 적당성을 보인 Ind./Jap.와 In-dica의 공시품종을 비교하여 보면 Indies 품종은 Ind./Jap. 품종보다 주당수수가 많은 편이고 Ind./Jap. 품종은 수당립수와 천립중이 Indies 품종보다 많은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