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ponica type

검색결과 659건 처리시간 0.031초

Occurrence of Off-type Plants in japonica/indica Hybrid Rice Cultivars

  • Lee, Jeom-Ho;Jeon, Yong-Hee;Hwang, Hung-Goo
    • Plant Resources
    • /
    • 제7권2호
    • /
    • pp.141-146
    • /
    • 2004
  • Frequent occurrence of off-type plants in a given cultivar has been a serious problem in both breeder's and farmer's fields. An experiment was design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rate of occurrence of off-type plants among Tongil-type cultivars (high yielding cultivars derived from indica/japonica hybridization) from which the possible cause of higher occurrence of off-type plant in a specific cultivar was deduced. Among five Tongil-type cultivars examined for morphological variant in the field, only one cultivar, Dasanbyeo, had off-type plants. When analyzed with SSR markers, off-type plants showed different band patterns from original cultivar, having several extra bands in addition to cultivar-specific band, suggesting that off-type plants were originated from Dasanbyeo, rather than originated from mixing or mishandling of seed materials with other cultivars. The possible cause of off-type occurrence seems to be natural pollination with other cuItivars adjacent to the original cultivar during seed multiplication. This was supported from the observation that self-crossed progeny of the off type plants showed a wide range of variation of agronomic traits which could not be observed when there was a smaller introduction of genes to the fixed germplasm as happened in the case of cultivar mutation. Another evidence supported this idea that Dasanbyeo showed much of difference in floral organ and behavior to other cultivar to be subjected to higher out-crossing than other cultivars examined.

  • PDF

성숙종자 유래 캘러스를 이용한 들잔디 (Zoysia japonica Steud.)의 효과적인 식물체 재분화 (Efficient Plant Regeneration Using Mature Seed-Derived Callus in Zoysiagrass (Zoysia japonica Steud.))

  • 배창휴;;이성춘;임용표;김호일;송필순;이효연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61-67
    • /
    • 2001
  • 들잔디 (Zoysia japonica Steud.)의 성숙종자 유래의 캘러스를 사용하여 캘러스 생장 및 재분화에 적합한 몇 가지 조건과 캘러스 유형에 따른 재분화 효율을 검토하였다. 종자로부터 캘러스 유도는 2 mg/L 2,4-D, 0.2 mg/L BAP, 4 mg/L thiamine-HCl, 100 mg/L $\alpha$-ketoglutaric acid를 포함한 MS 배지에서 가장 좋았다. 캘러스 증식은 0.5 mg/L 2,4-D, 0.05mg/L BAP, 4 mg/L thiamine-HCl, 100 mg/L $\alpha$-ketoglutaric acid를 포함한 MS 배지가 가장 좋았다. 식물체의 재분화는 3% maltose, 1 mg/L BAP 또는 1 mg/L TDZ를 포함한 MS배지에서 좋았다. 캘러스의 Type과 빈도는 2,4-D와 BAP 조합과 농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았고, 형태적으로 4가지 Type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Type I, II, III 캘러스는 계대배양으로 신초가 형성된 반면, 물기가 많은 캘러스인 Type IV에서는 뿌리만이 분화되었다. 이 중 Type I 캘러스는 신초의 재분화율이 82%로 가장 높고 albino체의 출현빈도가 4%로 가장 낮았다. 이와같이 캘러스를 유형별로 구분하여 배양함으로써 잔디 캘러스로부터 식물체의 재분화를 높일 수 있었다.

  • PDF

Taxonomic Review of L. makinoana Complex (Orchidaceae; Epidendroideae; Malaxidae) in Korea

  • Jungsim Lee;Heesoo Kim;Dong Chan Son;Sang-Kuk Han;Hyuk-Jin Kim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4-54
    • /
    • 2022
  • 한국에서 자생하고 있는 Liparis 속의 11분류군 중 Liparis koreana (Nakai) Nakai을 제외하고 대부분은 경기도와 강원도부터 제주도 및 도서지방을 포함한 전국에 분포하고 있다. 최근 국내 Liparis japonica(Miq.) Maxim. 로 알려진 개체군에 대해 학명이 잘못 적용된 결과가 보고되었고, 본 개체군을 포함하여 Liparis makinoana complex에 대한 국내 개체군에 대해 재검토를 하였다. 그 결과 L. makinoana complex은 제주 Type (Type 1)과 내륙의 2 Types (Type 2, 3)으로 3 Types가 확인되었다. Type 1-3은 형태학적으로 유사하지만, 종의 형태학적 형질과 개화기, 그리고 분포지역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Type 1은 꽃이 가장 크며, 순판은 넓은 난형이고, 개화기는 5-6월이며, 제주도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ype 2는 꽃이 중간크기이며, 순판이 난형이고, 개화기는 6월 중순-7월 중순이며, 중북부지방에 주로 분포한다. 반면에, Type 3는 꽃이 가장 작고, 순판이 좁은 난형이고, 개화기가 6월 초-7월 초이며, 백두대간을 따라 분포하는데, Type 3는 Type 1과 Type 2에 비해 화서가 길다.

  • PDF

Yield Potential of Improved Tropical Japonica Rice under Temperate Environment in Korea

  • Lee, Kyu-Seong;Ko, Jae-Kwon;Kim, Jong-Seok;Lee, Jae-Kil;Shin, Hyun-Tak;Cho, Soo-Ye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14-220
    • /
    • 1999
  • Rice production in Korea has markedly increased during the last two decades due to newly developed high yielding varieties and improved production technology.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otential of tropical japonica germplasm in enhancing the yield of temperate japonica. The yield performance of two tropical japonicas (IR 65597-29-3-2 and IR66154-52-1-2) and one temperate japonica (Dongjinbyeo) was compared at different plant densities and nitrogen levels under Korean environmental conditions. Although tropical japonicas showed low tillering habit and large panicles, they had similar leaf area index and dry weight at heading stage to Dongjinbyeo of the high tillering type indicating that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tropical and temperate japonica in terms of biomass production. The highest milled rice yield of 6.15 t/ha was obtained from Dongjinbyeo at a high nitrogen level with less planting density (220 kg N/ha and 30 $\times$ 15 cm). However, those of the two tropical japonicas were 5.36 t/ha at the condition of 165 kg N/ha and 30 x 10 cm planting density and 5.06 t/ha at the condition of 165kgN/ha and 15 x 15 cm planting density, respectively. Ripened grain of tropical japonicas ranged from 65 to 87%, while that Dongjinbyeo ranged from 82 to 97% under Korean conditions.

  • PDF

다시마(Saccharina japonica) 분말을 첨가한 죽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효과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ruel Containing Saccharina japonica Powder)

  • 이연지;김원석;이배진;전유진;김용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707-713
    • /
    • 2017
  • Saccharina japonica is a type of seaweed rich in dietary fiber, iodine, calcium, and selenium. We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ruel made with S. japonica powder, and identified the best ratio of powder to gruel to maximize its health effects. The gruel was prepared with rice, glutinous rice, GABA (${\gamma}-aminobutyric$ acid)-enriched sea tangle fermented in lactic acid (0.3%), and various amounts (0-10% gruel volume) of S. japonica powder. The pH, color, viscosity, spreadability, antioxidant activities, and sensory evaluation of the gruel were investigated. Spreadability and pH decreased, whereas viscosity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creased, with increasing powder content. In addition, color lightness decreased significantly, whereas redness and yellowness increased. In sensory tests, color, aroma, and texture were rated highest for gruel with 5% powder. On the other hand,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considered optimal in gruel with 7% powder.

쌀의 수화 그룹별 전분의 성질 (Starch properties of milled rices differing in hydration rates)

  • 김창주;김성곤;채제천;권중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1호
    • /
    • pp.21-25
    • /
    • 1991
  • 일반계(26개 품종)와 통일계(19개 품종) 백미의 수화속도에 의한 그룹과 전분의 성질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전분의 상대적 결정도, 광투과도와 가용성 아밀로오스는 일반계와 통일계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알카리에 의한 전분 겔의 부피는 통일계가 일반계 보다 유의적으로 켰다 그러나 전분의 성질은 백미의 수화그룹간에 유의성이 없었다.

  • PDF

한국잔디(Zoysia spp.)의 종자 및 영양체를 이용한 carpet 잔디 생산 (Production of Carpet Sod Using Seed and Runner of Zoysiagrass (Zoysia spp.))

  • 최준수;양근모;김동섭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9-50
    • /
    • 2001
  • 한국잔디의 종자 및 영양체를 이용한 carpet 잔디 생산체계 확립은 한국잔디의 고성 효율과 이용 증대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또한 덧파종 기법을 이용해 한국잔디류의 carpet 잔디를 생산하는 것도 효율적인 carpet 잔디 생산 및 푸른 기간 연장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Z. japonica cv. Zenith 종자를 이용해 carpet 잔디를 생산시 6g/$m^2$ 파종시 가장 효율적으로 확인되었으며, 영양체를 이용할 경우는 초종에 따라 피복률에 차이를 보였다. 사용한 초종 중 중엽 Z. japonica가 우수한 피복률을 보였으며, 영양체 사용량에 있어서는 2.5L/$m^2$을 사용하고, 영양체의 길이는 3~4마디씩 잘라서 이용할 때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덧파종용 한지형 잔디로는 발아속도가 빠른 퍼레니알라이그라스가 효과적이었으며, 적절한 덧파종 시기는 9월 중순이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덧파종을 통해 carpet 잔디의 생산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푸른 기간을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조성 후 고관리 등의 문제점을 해결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기수산 2배체 재첩, Corbicula japonica(Bivalvia: Corbiculidae)의 정자형성과정 및 정자의 미세구조적 특징 (Spermatogenesis and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permatozoa of Brackish Water Diploid Clam, Corbicula japonica (Bivalvia: Corbiculidae))

  • 전제천;김봉석;정의영;김진희;박갑만;박성우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3권2호
    • /
    • pp.115-122
    • /
    • 2009
  • 기수산 2배체 일본재첩(Corbicula japonica)의 정자형성과정 및 정자의 미세 구조적 특징을 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해 조사하였다. 세포학적 조사 결과, 기수산 2배체인 일본재첩의 정자 길이는 약 55${\mu}m$이다. 정자 두부(길이 약 12${\mu}m$)는 길게 신장되어 있으며 약간 구부러져 있다. 정핵 길이는 7.90 ${\mu}m$, 첨체 길이는 약 2.70 ${\mu}m$이다. 정자의 핵과 첨체의 형태는 각각 긴 화살 모양과 길다란 원추 모양을 나타낸다. 본 종(체외수정, 자웅이체, 난생종)의 정자 두부는 이미 몇몇 저자들에 의해서 보고된 3배체 재첩류(체내수정, 자웅동체, 난태생종)의 정자 두부에서 나타나는, 원시형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변형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부분적으로 변형된 2개의 편모가 있는 정자를 가지는 담수산 3배체인 자웅동체 조개류와 달리 한 개의 편모를 갖는 정자를 본 종은 생산한다. 2배체 일본재첩은 중심체를 둘러싸는 4개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지고 있어, 짧은 중편을 가지는 다른 이매패류의 것들과 유사하다. 정자 미부 편모의 약소님은 중앙에 1쌍의 미세소관과 주변에 9쌍의 미세소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자 미부의 악소님은 9+2구조를 가지며, 횡절단된 한 개의 편모를 갖는 정자에서 특히, 체외수정 어류들에서 나타는 날개 모야으이 악소님 lateral fin들이 관찰되었다.

  • PDF

Chemical Components of Atractylodes japonica Rhizome Oil

  • Chang, Kyung-Mi;Kim, Gun-H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147-151
    • /
    • 2010
  • The volatile aroma constituents of Atractylodes japonica rhizome were separated by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method using a Clevenger-type apparatus,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yield of the essential oil from Atractylodes japonica was 1.0% (v/w), and its color was pale yellow. Forty-five volatile flavor compounds, which make up 93.86% of the total peak area, were tentatively identified in the rhizome oil. The oil contained 32 hydrocarbons (79.19%) with sesquiterpene hydrocarbon predominating, 3 esters (12.46%), 4 alcohols (0.11%), 1 ketone (0.01%), 2 aldehydes (0.02%), and 3 miscellaneous compounds (2.07%).

한국잔디(Zoysia japonica Steud.)의 분지 발달양상과 광합성기관의 전자 현미경적 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Branch Patterns and the Electronmicroscopic Structure of Photosynthetic organs in Zoysia japonica Steud.)

  • 장남기;김형기;유준희;김용진;임채성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2-48
    • /
    • 198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mechamism of the branch pattern and electronmicroscopic structure of photosynthetic organs in Zoysia japonica Steud. The angles between the internodes of rhizome and the branches of Z.iaponica were changed from 0 to 52 degrees. The rhizomes tended to branch from the 3th node to the 10th node. When the terminal bud was damaged b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the initial branching formation was appeared immediately to the 4th node. The internode growth of the rhizome started from the beginning of April and continued to the end of Octobor. It became evident that there is a division labor between two different kinds of photosynthetic cells of mesophyll and bundle sheath tissues in Z.japonica The thick-walled bundle sheath cells surrounds the leaf vascular bundles as the Kranz type and separates them from the mesophyll cel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