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ponica type

검색결과 659건 처리시간 0.036초

Different expression levels of OsPLS1 control leaf senescence period between indica and japonica-type rice

  • Shin, Dongjin;Kim, Tae-Hun;Lee, Ji-Yun;Cho, Jun-Hyeon;Song, You-Chun;Park, Dong-Soo;Oh, Myeong-Gyu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98-98
    • /
    • 2017
  • Leaf senescence is the process of aging in plants. Chlorophyll degradation during leaf senescence has the important role translocating nutrients from leaves to storage organs. The functional stay-green with slow leaf yellowing and photosynthesis activity maintenance has been considered one of strategy for increasing crop productivity. Here, we have identified two QTLs on chromosome 9 and 10 for leaf senescence with chlorophyll content of RIL population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Hanareum 2, early leaf senescence Indica-type variety, and Unkwang, delayed leaf senescence Japonica variety. Among these QTLs, we chose qPLS1 QTL on chromosome 9 for further study. qPLS1 was found to explain 14.4% of the total phenotypic variation with 11.2 of LOD score. Through fine-mapping approach, qPLS1 QTL locus was narrowed down to about 25kb in the marker interval between In/del-4-7-9 and In/del-5-9-4. There are 3 genes existed within 25kb of qPLS1 locus: LOC_Os09g36200, LOC_Os09g36210, and LOC_Os09g36220. Among these genes, transcript level of LOC_Os09g36200 was increased during the leaf senescence stage and the expression level of LOC_Os09g36200 in Indica was higher than in Japonica. Finally, we chose LOC_Os09g36200 as candidate gene and renamed it as OsPLS1-In and OsPLS1-Jp from Indica- and Japonica-type rice, respectively. OsPLS1-In and OsPLS1-Jp overexpressing transgenic plants showed both early leaf senescence phenotyp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sPLS1 functions in chlorophyll degradation and the difference of expression level of OsPLS1 cause the difference of leaf senescence between Indica and Japonica in rice.

  • PDF

벼 품종별 Methane 배출과 뿌리의 탄수화물 분비 특성 (Influence of Different Rice Varieties on Emission of Methane in Soil and Exudation of Carbohydrates in Rhizosphere)

  • 이경보;이덕배;엄택용;김종구;류철현;김용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57-264
    • /
    • 1997
  • 논 토양에서 벼 품종간 $CH_4$ 배출과 근 분비물 특성 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만생종에 비하여 조생종의 $CH_4$ 배출이 적은 경향이었으며 자포니카 형보다는 통일형의 $CH_4$ 배출이 적은 경향이었다. 2. $CH_4$ 배출과 분얼수 및 근중과는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상관계수는 분얼수보다 근중에서 높은 경향이었고, 유수형성기 및 출수기에 $CH_4$ 배출이 많았다. 3. 토양용액중 $CH_4$ 함량은 계화벼가 가장 높았으며 다른 품종들은 비슷한 경향이었는데 이는 근권 산화력에 크게 좌우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4. 뿌리에서 분비된 탄수화물류는 이앙 40일을 기준으로 조생종인 남원벼가 $1,306{\mu}g\;l^{-1}day^{-1}$, 중만생종이 $283{\mu}g\;l^{-1}day^{-1}$ 통일형인 풍산벼가 $984{\mu}g\;l^{-1}day^{-1}$를 분비하였다.

  • PDF

Receptor Subtypes for Endothelin in the Kidney of the Freshwater Turtle (Amyda japonica)

  • Kim, Sung-Zoo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4권1호
    • /
    • pp.63-70
    • /
    • 2000
  • The distribution of receptor subtypes for endothelin (ET) in the kidney of the freshwater turtle, Amyda japonica, was examined by quantitative in vitro receptor autoradiography using iodinatd mammalian type ET-1 ($^125$/I-ET-1)as a radiolabeled ligand. Specific $^125$/I-ET-1 bindings were localized to renal tubules, renal arteries and ureter with binding densities of 111.21 $\pm$ 19.14, 182.13$\pm$10.57 and 219.46$\pm$12.83 amol/$mm^2$. respectively. Binding dissociation constants in renal tubules, renal arteries and ureter were 1.05 $\pm$ 0.63, 2.03 $\pm$0.56 and 1.70$\pm$0.47nM, respectively. Receptor subtypes for ET in the kidney were characterized by competition with BQ 123 and BQ 788 as specific antagonists for ET receptors, type A (ET$_A$ ), and type B (ET$_B$) subtypes, respectively. Specific $^125$/I-ET-1 bindings in renal arteries and ureter were potently inhibited by BQ 123 in a dose-dependent manner, whereas BQ 788 was not in competing for specific $^125$/I-ET-1 bindings in this structure. However, specific $^125$/I-ET-1 bindings in renal tubules were inhibited more potently by BQ 788.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pecific ET receptors are localized in renal tubules, renal arteries and the ureter of the freshwater turtle.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predominant ET receptor subtypes are like the ETA receptor in renal arteries and ureter, and like the ET/$_A$ receptor in the renal tubule.

  • PDF

Primary Chondrocytes에서 발효우슬, 당귀, 두충 복합물의 세포사멸 조절 효과 (Effects of Fermented Achyranthes japonica Nakai, Angelica gigas Nakai, and Eucommia ulmoides Oliver Extracts on Regulation of Apoptosis in Articular Chondrocytes)

  • 김다경;조원희;이민희;정현철;이성진;이승훈;이정민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7-14
    • /
    • 2023
  • SD rat에서 primary culture한 chondrocyte에서 발효우슬, 당귀, 두충 추출 복합물(FAAE)이 염증 및 세포사멸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FAAE는 H2O2에 대한 세포 생존률, Smad3, Collagen type 1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켰고, 염증 및 세포사멸 관련인자(NF-κB pathway, COX-2, iNOS, JNK, c-Fos, c-Jun, caspase 3, Bax, Bcl-2)의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켰다. 본 연구는 FAAE가 염증 및 세포 사멸 억제를 통해 연골세포 보호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삼나무와 편백나무 정유의 미백 및 항산화 효능 평가 (Whiten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 김선홍;이수연;홍창영;곽기섭;여환명;이전제;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4호
    • /
    • pp.291-302
    • /
    • 2011
  • 본 연구는 삼나무와 편백나무 정유의 tyrosinase 저해 활성과 DPPH (1,1-diphenyl-2- picryl-hydrazyl) radical 소거 활성, SOD (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을 구명하여 정유의 미백 및 항산화 효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삼나무와 편백나무 정유의 미백 및 항산화 기능성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 건조 중 발생하는 nVOCs의 부가적 가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삼나무 및 편백나무 잎의 정유는 수증기 증류법으로 24시간 추출하였고, 목부는 고온 열처리기를 이용하여 80, 100, $120^{\circ}C$의 온도조건에서 열기 건조하여 건조 중 목부로부터 발생하는 부산물인 천연 휘발성 유기화합물(nVOCs, Natural Volatile Organic Compounds)을 응축액의 형태로 추출하였다. 삼나무 잎의 정유가 편백나무 잎의 정유 보다 미백 및 항산화 활성에서 모두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고 건조 시 발생한 nVOCs는 온도가 올라갈수록 미백 활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항산화 활성은 $120^{\circ}C$에서 발생한 삼나무 nVOCs에서만 나타났다.

大氣汚染地域 適應 樹種 選拔에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Selection of Adaptable Tree in Air Pollution Area)

  • 朴晥澈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5-65
    • /
    • 1991
  • The study was performed to select a adaptable tree species under stressed field conditions where there are a industrial plants operating with a number of smoke stacks emitting pollutants, such as hydrogen fluoride and sulfur dioxide. As a result of the study, a tree species selected are due to construct a forest belt in a zones near industrial plants to reduce the concentrations of air pollutants. The concentrations of atmospheric hydrogen fluoride and sulfur dioxide were very higher at experimental sites near industrial plants (air-pollution sites) than at control site. The leaves of 7 tree species grown at air pollution sites contained more sulfur and, specially, fluorine than at those control site. Among the tested tree species, Ligustrum japonicum Thunb. and Euonymus japonica Thunb. grown at air pollution sites did not at all break out a foliar injury but appeared to be healthy, as well as those grown at control site. Acer pseudo-sieboldianum Kom., Pinus virginiana Mill., Larix leptolepis Gordon.,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Pinus strobus L., Picea abies Karst and Ligustrum obtusifolium Sieb. et Zucc., however, showed a severe fluoride-type foliar injury such as necrosis on tip or margin of leaves, etc. Fluorine found in leaves was proved to be correlated to sulfur found in leaves whereas index of foliar injury hadn't a good correlation to pollutants found in leaves. It appears that Euonymus japonica Thunb., Ligustrum japonica Thunb., Platanus acerifolia Willd, Chamaecyparis pisifera Endl., Populus tomentiglandulosa T. Lee and Sophora japonica L. grown at both experimental sites had a high value of percent survival whereas Pinus virginiana Mill., Pinus koraiensis Sib. et Zucc., Koelreuteria paniculata Laxm. and Alnus hirsuta Rupr. had an extremely low value of that. In comparison with control site, the percent tree height increments in Chamaecyparis pisifera Endl., Ligustrum japonicum Thunb., Quercus acutissima Carruth., Populus tomentiglandulosa T. Lee, Pinus thunbergii Parl and Euonymus japonica Thunb. and the percent upmost root diameters in Populus tomentiglandulosa T. Lee, Chamaecyparis pisifera Endl., Euonymus japonica Thunb., Ligustrum japonicum Thunb.,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Hara and Pinus thunbergii Parl. cultivated at air polluted sites showed very high value above 90%, respectively.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r=-0.662) was recognized between the index of foliage injury and the percent collective character, which was the mean of tree characters such as percent survival, percent tree height increment and percent upmost root diameter increment which compared to those at air polluted site with those at control site. Based on the percent collective character Ligustrum japonicum Thunb., Euonymus japonica Thunb., Chamaecyparis pisifera Endl., Populus tomentiglandlosa T. Lee, Betula platyphyla var. japonica Hara and Platanus occidentalis L. have large value about 90%, respectively.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is tree species are adaptable species in air polluted region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adaptable tree species, furthur studies concerning the effects of various air pollutants on the tree growth are required.

  • PDF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오미자과 2속 3종의 잎 형질 및 광합성 특성 (Foliar Characteristics and Photosynthetic Efficiency of Three Species of Schisandraceae Trees Distributed in Korea)

  • 김판기;이갑연;김세현;한상섭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90-96
    • /
    • 1999
  •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오미자과 2속 3종의 종간 및 종내 변리정도와 생장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낙엽 활엽성인 Schisandra속의 오미자와 흑미자(자웅동주, 숫그루, 암그루), 상록활엽성인 Kadsura속 남오미자의 엽형질과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잎의 길이 및 폭은 변이의 폭이 커서 종간의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Schisandra속이 Kadsura속보다 짧고 넓은 형태를 하였다. 엽병의 길이는 Schisandra속이 Kadsura속보다 길었으며, 특히 흑오미자의 암그루는 남오미자에 비교하여 2배 이상 길었다. 그러나 엽병의 직경은 Kadsura속이 Schisandru속보다 두꺼웠다. 기공의 크기(폭, 길이)는 Schisandra속이 Kadsura속에 비하여 켰으며, 기공밀도는 Kadsura속이 Schisandra속보다 높은 밀도를 나타냈다. 생육환경에 따른 잎의 형태적 변화는 크게 두드러지지 않았으나, 표고가 높아짐에 따라서 흑오미자의 잎이 길어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엽록소 함량은 종간 및 종내의 변이 폭이 켰으며, 흑오미자가 남오미자 또는 오미자보다 높았다. 광합성 특성은 Schisandra속이 Kadsura속보다 광보상점 및 광포화점이 낮고, 광포화점에서의 광합성속도도 낮았다. 그러나 Schisandra속은 Kadsura속보다 낮은 호흡률을 나타내어 낮은 광도조건에서 더욱 효율적인 생장활동을 영위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임내의 어두운 곳에서 생장한 개체는 높의 광도에서 생장한 개체에 비교하여 낮은 광도조건에서 더욱 효율적인 광합성작용을 하고 수행하였다.

  • PDF

우리나라 물부추속 (물부추과)에 대한 분류학적 고찰 (Taxonomic Examination of Isoëtes L. (Isoëtaceae) in South Korea)

  • 정종덕;김창균;김호준;최홍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63-73
    • /
    • 2009
  • 물부추과 ($Iso{\ddot{e}}taceae$)의 물부추속 ($Iso{\ddot{e}}tes$ L.)은 외부형태의 단순함으로 인해 분류학적 혼란이 있어왔다. 국내에는 I. japonica (물부추)와 I. coreana (참물부추)가 보고되어 왔으며, 최근에 I. jejuensis (제주물부추)와 I. hallasanensis (한라물부추)가 신종으로 발표되었다. 그러나 I. japonica의 생육지는 재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이를 제외한 세 종의 생육지만 확인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세 종과 대만 (I. taiwanensis), 일본 (I. japonica와 I. asiatica), 중국 (I. sinensis) 등 주변 지역에 분포하는 물부추속 식물의 형태학적인 특성을 비교 검토하고 국내 물부추속 식물에 대한 분류학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 종에 대한 형태 및 해부학적 특성과 포자의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괴경 열편의 수, 포자엽의 습성과 기공의 유무, 포막의 발달 상태로 I. taiwanensis와 I. asiatica가 식별되며, 모든 종은 포자의 특성에 따라 종의 식별이 가능하였다. 특히 국내에 보고된 종은 대포자 표면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cristate형의 I. coreana, rugulate형의 I. jejuensis와 echinate형의 I. hallasanensis로 각각 구분되었으며, I. japonica는 reticulate형을 가진 종으로 판명되었다. 그리고, 각 종을 대상으로 핵 유전자인 LEAFY $2^{nd}$ intron의 염기서열과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AFLP) 분석 결과를 검토하여 우리나라 물부추속 식물에 대한 계통을 논의하였다. 또한, 멸종위기에 처한 우리나라 물부추속 식물을 보전하기 위하여는 새로운 생육지에 대한 발굴조사와 함께 유전적 부동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보전 대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동일위도상 표고의 차이에 따른 수도품종의 수량형질변이 (Varietal Differences in Agronomic Characters under Different Altitudinal Locations with Equal Latitude in Paddy Rice)

  • Park, S.Z.;Lee, E.W.;Lee, B.W.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4-172
    • /
    • 1983
  • 수도 생육기간중 이상저온이 내습하였던 1980년에 동일위도상의 표고가 다른 두 개 지역, 수원($127^{\circ}$, $37^{\circ}$20' 표고 37m)과 제천 ($128.2^{\circ}$, $N37^{\circ}$10', 표고 280-300m)에다 Japonica 품종인 대골도, 진흥, 신002와 통일형품종 조생통일, 수원 287호(태백벼), wx 817-1-65-2-3(서울대 농대육성) 등을 4월 21일 파종 6월 1일 이앙하고 출수기, 간장, 수장 및 수량 관련형질들을 조사 비교 검토하였다. 1. 간장, 수장 및 1,000립중은 Japonica품종의 경우는 제천에서 통일형 품종의 경우는 수원에서 약간 작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다. 2. 수량구성요소중 주당 수수는 제천에서 현저히 증가되었는데 그 정도는 품종에 따라서 달랐으며, 임실율은 수원이 제천보다, Japonica 품종이 통일형 품종보다 높았는데 지역간 차이는 통일형 품종에서 현저하였다. 3. 지역에 따른 품종들의 품종군에 따라 달라 Japonica 품종들(대골도 제외)은 제천에서 월등히 높았으나 통일형 품종들은 제천에서 모두 감수되었다.

  • PDF

누에 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를 첨가하여 제조한 고추장의 품질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Prepared with Paecilomyces japonica from Silkworm)

  • 방혜열;박무현;김건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4-49
    • /
    • 2004
  • 동충하초 분말 및 용매를 달리한 추출액을 고추장 총 무게의 15%, 수준으로 첨가하여 제조한 후 $20^{\circ}C$에서 90일간 숙성시키면서 30일 간격으로 수분, pH, 아미노태질소, 색도, 생균수등의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pH는 동충하초 첨가 고추장이 대조군에 비하여 낮고 전 처리구에서 숙성기간의 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아미노태질소는 전 처리구에서 숙성 60일까지는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다가 90일에는 소량 감소한 것 으로 나타났다. 처리구 별로는 대조군에 비해 동충하초를 첨가한 고추장의 함량이 더 높았으며 숙성 30일과 60일에는 그 중에서 동충하초분말 첨가 고추장의 아미노태질소 함량이 각각 179.2 mg%와 282.2 mg%로 가장 높았다. 색도는 숙성기간의 경과에 따라 전 처리구에서 L, a, b 값이 감소되었고 대조군에 비하여 동충하초 첨가 고추장의 L, a, b 값이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동충하초분말 첨가 고추장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숙성시킨 고추장을 30일 간격으로 색, 질감, 맛, 향미, 전체적인 선호도에 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각 처리구의 색은 대조군이 선명한 붉은색에 가까운 것에 비하여 동충하초 첨가 고추장의 색은 어두운 적갈색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고 고추장의 진한 색에 대한 선호도는 낮았으며, 질감은 모두 윤기가 나고 부드러웠으며 이에 대한 선호도 역시 높았다. 짠맛은 대조군보다 동충하초 첨가 고추장이, 분말보다는 추출액을 첨가한 고추장이 더 강했고 매운맛은 동층하초를 첨가한 고추장이 대조군에 비하여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풍미는 동충하초 첨가 고추장이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수치로 나타났으며 그 중 동충하초 분말 첨가 고추장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적인 선호도는 동충하초 열수추출액 첨가 고추장이 가장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EX> 저장시에는 대조구가 저장 15일에 $6.6{\times}10^4\;cfu/g$에 도달한 것에 비해 구기자 분말 첨가구는 저장 20일 이후에도 $4{\times}10^4\;cfu/g$에 도달하여 구기자 분말 첨가에 따라 저장기간이 연장되는 결과를 보였다.. coli O157:H7, Y. enterocolitica를 포함한 다른 병원성세균은 분리되지 않았다. 시금치에서 분리한 S. aureus 5균주 중 2균주는 SET-RPLA kit에서 enterotoxin type A를 생성하였고 3균주는 enterotoxin을 생성하지 않았다. B. cereus 5균주는 CRET-RPLA kit에서 모두 enterotoxin을 생성하였다.수한 전통 식생활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는 동시에, 전통음식의 세계화가 촉진될 것으로 생각된다.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신장암 세포 SN12C에 대해서는 garlic$(82.88{\pm}0.53%)$이 가장 높은 억제효과(p<0.001)를 나타냈으며, ginger 및 cumin, cardamon이 p<0.01 수준에서 증식억제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clove의 경우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위암 세포주 SNU-638의 경우 garlic$(71.63{\pm}0.38%)$이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red pepper 및 ginger, fenugreek, SPC, cumin, MPC 등에서도 증식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p<0.001). 그러나 clove 및 nutmeg, turmeric, coriander는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폐암 세포 A549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 결과 대부분의 원료에서 세포독성이 없었으나 cassia(82.84 16.92%)가 가장 강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