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panese larch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34초

낙엽송(落葉松), 리기다소나무 간벌재(間伐材)의 1, 2및 3면(面) 제재이용(製材利用) 시험(試驗)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Utilization of the Sawed Products by 1, 2 and 3-Sided Sawing Methods from Thinning of Japanese Larch and Pitch Pine)

  • 이춘택;강대헌;정두진;이용대;조재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3권3호
    • /
    • pp.41-48
    • /
    • 1985
  • In near future about 500,000 hectares of Japanese larch and pitch pine need thinning to improve crop-tree spacing and reasonable species composition in Korea. Although thinned trees show very little high quality wood, in fact, all the sawed products are suitable for construction and farming materials.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thinned small-diameter trees have been implemented in order to increase lumber yield and display the skeleton of farm building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Korean Conifers Log Grading System, log grade 3 was 87.4 percent in Japanese larch bolts and 95.8 percent in pitch pine bolts from thinned trees. The ability to identify defects was essential for grading logs. 2. Cutting diagrams of sawing were developed for 1-sided sawing, 2-sided sawing and 3-sided sawing by small end diameter class of bolt and cutting sizes also were found to use effectively lumber with wane. 3. Lumber recovery of Pitch pine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Japanese larch. The maximum lumber yields of pitch pine by sawing patterns were 87.2 percent for 1-sided sawing, 80.8 percent for 2-sided sawing an 64.1 percent for 3-sided sawing, up yield compared with 58.1 percent for 4-sided sawing. The lumber yield of 1, 2 and 3-sided sawing significantly was higher value than that of 4-sided sawing. 4. Lumber was inspected and graded. Lumber quality of diameter class 12cm was a little better than that of diameter class 8cm, but 90 percent of lumber in diameter c1ass 16cm fell into grade 3. The lumber grade was classified by Korean standard grades of confiers lumber. 5. Lumber from 1, 2 and 3-sided sawing was used to build the skeleton of a farm house ($53m^2$) and greenhouse ($60m^2$) in order to display more efficient use of small diameter trees from thinning 6. Total volume of timber for building a farm house was $8.1m^3$ of imported timber. Timber of $7m^3$, 70 percent of total volume would be substituted imported timber for domestic timber.

  • PDF

북방수염하늘소(Monochamus saltuarius)의 수종별 우화시기 (Emergence Timing of the Pine Sawyer Beetle, Monochamus saltuarius (Coleoptera: Cerambycidae) by Tree Species)

  • 한주환;유종현;구창덕;윤창만;최광식;신상철;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89-195
    • /
    • 2009
  • 충북 청원에서 2006년도부터 2008년까지 북방수염하늘소 성충의 수종(잣나무, 소나무, 낙엽송)에 따른 우화시기와 일중 우화 탈출시간을 조사하였다. 성충은 잣나무와 소나무에서 5월 초순(2${\sim}$10일)에 우화를 시작하였으며, 6월 중순(4${\sim}$20일)에 끝났다. 하지만 낙엽송에서는 5월 중순(13일)에 우화를 시작하여 5월 하순(27일)에 끝나 두 수종에 비하여 우화기간이 짧았다. 우화시기는 수컷과 암컷 간에 차이가 없었다. 2007년에 우화한 성충의 성비는 잣나무에서 0.55, 소나무 0.46, 낙엽송 0.59로 수종간 차이는 없었다. 일중 우화탈출은 24시간 내내 이루어졌고 최대 우화탈출은 12${\sim}$14:00시로 가장 높았고(22.8%), 06${\sim}$08:00시간이 가장 낮았다. 성충은 1년에 1세대 발생 비율이 98.9%이고, 2년 1세대 발생 성충의 비율은 1.1%이었다.

국산 주요 간벌 소경재의 무결점재에 대한 휨특성 (Flexural properties of dear specimens made from small diameter thinned trees)

  • 차재경
    • 임산에너지
    • /
    • 제22권1호
    • /
    • pp.44-48
    • /
    • 2003
  • 국산 간벌 소경재인 리기다소나무(Pinus rigida Mill.), 소나무(Pinus densifora Sieb. et Zucc), 일본잎갈나무(Larix kaemferi Carr) 및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Carr.)로 만든 무결점재에 대한 휨특성을 조사하였다. 휨강도와 탄성계수는 수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비중이 큰 상수리나무가 가장 큰 휨강도와 탄성계수를 나타냈으며, 비중이 작은 일본잎갈나무가 가장 작은 값을 나타냈다. 휨탄성계수와 휨강도는 응력파 탄성계수와 양호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응력파 탄성계수에 의해 휨 특성 예측이 가능하였다.

  • PDF

Hygroscopicity and Surface Hardness of Domestic Wood Heat-Treated at $220^{\circ}C$

  • Kang, Ho-Yang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29-234
    • /
    • 2008
  • In a previous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ree major softwoods, Japanese pine, Korean pine and Japanese larch, heat-treated at $220^{\circ}C$, could produce high quality dark-colored boards. It is known that heat treatment decreases the hygroscopicity of wood. The hygroscopicity of major domestic softwoods and hardwoods heat-treated at $220^{\circ}C$ was investigated by a saturated salt solution method and compared with that of black and white charcoals. Equilibrium moisture contents of wood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heat treatment time. Isotherm shapes of wood specie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charcoals. Heat treatment decreases th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s of black locust more than those of Korean pine and Japanese larch. It was found that surface hardness of wood is improved by heat treatment to a certain extent, but a longer heat treatment causes thermal degradation, resulting in the decrease of the surface hardness.

  • PDF

MCM-41 촉매 상에서 일본 낙엽송으로부터 생성된 바이오 오일의 접촉 개질 반응 (Catalytic Upgrading of Bio-oil Produced from Japanese Larch over MCM-41)

  • 박현주;전종기;정경열;고영수;손정민;박영권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5권4호
    • /
    • pp.340-344
    • /
    • 2007
  • MCM-41 촉매를 이용하여 일본 낙엽송의 열분해 바이오 오일의 촉매 개질 반응을 수행하였다. MCM-41 촉매는 바이오 오일의 불안정성의 원인중 하나인 산소를 $H_2O$, CO, $CO_2$의 형태로 제거하여 개질 전의 오일보다 더 안정한 오일을 생성하였다. MCM-41 촉매는 무촉매 반응에 비해 경제적 가치가 높은 페놀류 화합물의 생성량을 증가시켰다. 특히 Si-MCM-41 촉매에 비해 산점의 양이 많은 Al-MCM-41의 경우 촉매 활성이 더 우수하였다. 또한 촉매와 일본 낙엽송을 직접 혼합한 것보다, 바이오 오일이 촉매층을 통과했을 때 더 나은 개질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리기다소나무의 구조용 집성재 이용기술 개발 -낙엽송 층재와의 혼합 구성을 통한 집성재의 휨성능 향상- (Development of Pitch Pine Glued Laminated Timber for Structural Use -Improvement of Bending Capacity of Pitch Pine Glulam by Using Domestic Larch Laminars-)

  • 김광모;심국보;박주생;김운섭;임진아;여환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13-22
    • /
    • 2007
  • 주요 조림수종으로 도입 식재된 리기다소나무의 고부가가치 이용을 위한 구조용 집성재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이에 적합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산 리기다소나무 제재목의 기계응력등급은 대부분 E7에서 E9등급으로 집성재 제조에는 다소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단일수종 및 혼합수종 구조용 집성재 제조에 필수적인 리기다소나무 및 낙엽소 판재의 접착성을 평가한 결과 전단접착력, 목파율, 침지 및 삶음박리율 모두 KS기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리기다소나무 단일수종 집성재의 휨성능을 측정해본 결과 휨강도는 KS의 집성재 강도등급에 따른 휨성능 합격기준을 만족한 반면 휨 탄성계수는 기준에 다소 못 미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낙엽송 층재와의 혼합구성을 통해 리기다소나무 집성재의 휨성능(휨강도와 휨탄성계수)을 20%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층재 구성방법에 있어서는 판재의 탄성계수가 높고 품질이 우수한 낙엽송 층재를 외층에 배치하는 방법이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리기다소나무의 부가가치 증진을 위한 구조용 집성재 이용은 그 가능성이 매우 컸다.

Fixation and Leaching Characteristics of CCA- and CCFZ- Treated Domestic Softwood Species

  • Kim, Jae-Jin;Kim, Hyung-Jun;Ra, Jong-Bum;Chun, Su Kyoung;Kim, Gyu-Hyeok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6호
    • /
    • pp.55-59
    • /
    • 2003
  • The fixation and leaching characteristics of chromated copper arsenate (CCA Type C) and chromium- copper-fluoride-zinc (CCFZ) in domestic softwood (Japanese red pine, Korean pine, and Japanese larch) sapwood were investigated using the expressate method to follow chromium fixation and the American Wood-Preservers' Association (AWPA) leaching procedure to determine leaching properties after fixation. The rates of fixation were affected by preservative types; CCA was fixed much faster than CCFZ for all species evaluated. There were definite differences in the fixation rates of different species, with Korean pine requiring shorter to fix than the other species evaluated. Chromium fixation was greatly enhanced by elevated temperatures, and fixation time can be estimated according to fixation temperatures applied. The percentage of arsenic and zinc leached from domestic softwoods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chromium and copper, indicating that there is still a relatively high unfixed arsenic and zinc components after complete chromium fixation in CCA-and CCFZ-treated samples, respectively.

수량화(數量化)에 의(依)한 우리나라 삼림토양(森林土壤)의 형태학적(形態学的) 및 이화학적(理化学的) 성질(性質)과 잣나무 및 낙엽송(落葉松)의 생장(生長) 상관분석(相關分析) (Analysi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Morphologica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Forest Soils and the Growth of the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and Larix leptolepis Gord by Quantification)

  • 정인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26
    • /
    • 1981
  • 1. 본(本) 연구(研究)는 우리나라의 삼림토양(森林土壤)의 형태학적(形態学的) 이학적(理学的) 화학적(化学的) 성질(性質)이 임목생장(林木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여 수종별(樹種別)로 토양조건(土壤條件)의 요구(要求) 경향(傾向)을 파악(把握)하므로서 적지적수(適地適樹) 및 비배관리(肥培管理)의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10여년간(余年間)에 걸쳐서 자료(資料)를 수집(蒐集)하여 수량화방법(數量化方法)의 이론(理論)을 적용(適用)하여 다변량해석(多變量解析)으로 분석(分析)한 것이다. 2. 공시수종(供試樹種)인 낙엽송(落葉松)과 잣나무는 온대중부(温帶中部)에서 온대북부(温帶北部) 지방(地方)에 이르기까지 조림적지(造林適地)가 광대(廣大)하게 분포(分布)되고 있고 한국(韓國)의 이대(二大) 조림수종(造林樹種)으로 되고 있으나 적지특성(適地特性)이 밝혀지고 있지않아 조림시(造林時)에 적지선정(適地選定)의 혼동(混同)을 초래(招來)하는 경우가 있고 때로는 동일지위급(同一地位級)으로 취급(取扱)되기도 하였다. 낙엽송적지(落葉松適地)에는 잣나무를 조림(造林)하여도 비교적(比較的) 생장(生長)이 양호(良好)하나 반면(反面) 잣나무 적지(適地)에 낙엽송(落葉松)을 조림(造林)할 경우(境遇)는 반드시 좋은 생장(生長)은 기대할 수 없다. 이러한 차이(差異)에 대(對)하여 토양형태학적(土壤形態学的) 인자(因子) 이화학적(理化学的) 인자(因子)가 임목생장(林木生長)에 어떻게 영향(影響)하는 것인가를 Computer를 이용(利用)하여 추적(追跡)하여 보았다. 3. 조사(調査)된 임분(林分)은 인공조림지(人工造林地)의 성림지(成林地)로서 낙엽송(落葉松) 294Plot 잣나무259Plot에서 우세목(優勢木)의 표준목(標準木)을 벌채(伐採)하여 수간석해(樹幹析解)에 의(依)하여 지위지수(地位指數)를 결정(決定)하고 동시에 당해림지(當該林地)에서 토양단면조사(土壤斷面調査)를 실시(實施)하고 층위별(層位別)로 토양시료(土壤試料)를 채취(採取)하여 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学的) 성질(性質)을 분석(分析)하여 수종별(樹種別)로 임지생산력(林地生産力) 구분표(區分表)를 만들어 토양(土壤)의 물리성(物理性) 화학성(化学性) 및 이화학성(理化学性)과 임목생장(林木生長)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였다. 4. 토양(土壤)의 물리적(物理的) 요인(要因)과 임목생장(林木生長) 관계(関係)의 순위(順位)는 낙엽송(落葉松)에서는 퇴적양식(堆積樣式) 토심(土深) 토양수분(土壤水分), 표고(標高), 지형(地形), 토양형(土壤型), A층(層)의 두께, 견밀도(堅密度),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 토성(土性), 기암(基岩), 석력함량(石礫含量), 방위(方位), 경사등(傾斜等)으로 나타나고 잣나무는 토양형(土壤型), 견밀도(堅密度), 기암(基岩), 방위(方位), A층(層)의 두께, 토양수분(土壤水分), 표고지형(標高地形), 퇴적양식(堆積樣式), 토심(土深), 토(土), 석력함량(石礫含量), 경사등(傾斜等)의 순(順)이였다. 5.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学的) 요인(要因)과 임목생장관계(林木生長関係)의 순위(順位)는 낙엽송(落葉松)에서는 염기포화도(塩基飽和度), 토양유기물(土壤有機物), 석회(石灰) C/N율(率) 유기인산(有機燐酸), PH 치환성가리(置換性加里), 전질소(全窒素), 고토(苦土), 양(陽)ion 치환능력(置換能力), 염기총량(塩基總量), 나토륨 등(等)으로 나타났고 잣나무는 유효인산(有効燐酸), 염기총량(塩基總量), 전질소(全窒素) 나토륨, C/N율(率), PH석회(石灰), 염기포화도(塩基飽和度), 토양유기물(土壤有機物), 치환성가리(置換性加里), 양(陽)ion, 치환능력(置換能力), 고토(苦土) 등(等)의 순(順)이였다. 6. 토양(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学性)과 임목생장(林木生長) 관계순위(関係順位)는 낙엽송(落葉松)에서는 토심(土深), 퇴적양식(堆積樣式), 토양수분(土壤水分), PH, 지형(地形), 토양형(土壤型), 표고(標高), 전질소(全窒素), 견밀도(堅密度), 유효인산(有効燐酸), 토성(土性)A층(層)의 두께, 염기총량(塩基總量), 치환성가리(置換性加里), 염기포화도(塩基飽和度), 등(等)으로 나타났고 잣나무는 토양형(土壤型), 토양견밀도(土壤堅密度), 방위(方位), 유효인산(有効燐酸), A층(層)의 두께, 치환성가리(置換性加里), 토양수분(土壤水分), 염기총량(塩基總量), 표고(標高), 토심(土深), 염기포화도(塩基飽和度), 지형(地形), 전질소(全窒素), C/N율(率), 퇴적양식(堆積樣式), 등(等)의 순위(順位)였다. 7. 산림토양(山林土壤)의 물리적(物理的) 성질(性質)과의 중상관관계(重相関関係)에서는 낙엽송(落葉松) 0.9272, 잣나무 0.8996이며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学的) 성질(性質)은 낙엽송(落葉松) 0.7474, 잣나무 0.7365이였다. 이상(以上)과 같이 토양(土壤)의 물리적(物理的) 성질(性質)과 임목생장관계(林木生長関係)는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学的) 성질(性質)보다는 상관성(相関性)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学的) 제인자(諸因子)에 대(對)한 표시방법(表示方法)이 미흡(未洽)한 것이라고 사료(思料)되며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学的) 성질(性質)이 물리적(物理的) 성질(性質) 못지않게 중요(重要)한 것이라는 것을 입증(立証)하기에 이르렀다. 산림토양(山林土壤)의 형태학적(形態学的) 및 물리적(物理的) 중요인자(重要因子)와 토양(土壤) 화학적(化学的) 중요인자(重要因子)를 발췌(拔萃)한 산림토양(山林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学的) 성질(性質)과 임목생장(林木生長)과의 중상관관계(重相関関係)는 낙엽송(落葉松) 0.9434이고 잣나무 0.9103으로서 가장높은 상관성(相関性)을 나타냈다. 8. 편상관계수(偏相関係数)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낙엽송(落葉松)은 잣나무보다 토심(土深)이 깊어야 하며 퇴적양식(堆積樣式)에 있어서도 붕적토(崩積土), 포행토(葡行土)이여야하며 토양건습도(土壤乾湿度)에서도 적윤지(適潤地) 내지(乃至) 습윤지(湿潤地)를 요구(要求)하고 있으며 PH. 5.5~6.1을 요구(要求)하며 전질소(全窒素)(T-N), 토성(土性) 및 토양양료(土壤養料)도 낙엽송(落葉松)이 잣나무보다 훨씬 많은 토양조건(土壤條件)을 요구(要求)하고 있다. 즉(即), 토심(土深) 퇴적양식(堆積樣式), 지형(地形)의 기복(起伏), 토양건습도(土壤乾湿度), PH, N, 표고(標高), 토심등(土深等)이 낙엽송(落葉松)과 잣나무 적지(適地) 구분(区分)의 유효(有効)한 지표(指標)가 되며 토양형(土壤型), 토양견밀도(土壤堅密度)는 식재환경(植栽環境)의 변이폭(變異幅)이 넓으므로 지표성(指標性)은 있으나 낮다고 할 수 있다. 적지판별(適地判別)은 낙엽송(落葉松)은 토심(土深), 퇴적양식(堆積樣式), 지형(地形), 토양수분(土壤水分), PH, 토양형(土壤型), N, 토성등(土性等)이 생장(生長)을 도모(図謀)하는 지표인자(指標因子)인데 반(反)하여 잣나무는 토양형(土壤型) 토양견밀도(土壤堅密度) 유효인산(有効燐酸) 치환성가리(置換性加里) 등(等)이 생장(生長)을 도모(図謀)하는 유효(有効)한 요인(要因)이였다. 토양양료(土壤養料)에 대(對)하여서도 일반적(一般的)으로 잣나무보다 낙엽송(落葉松)이 요구도(要求度)가 크게 나타나고 있으나 $K_2O$에 대(對)하여서만 잣나무가 낙엽송(落葉松) 보다 많이 요구(要求)하고 있다. 9. 지금(只今)까지 임목생장(林木生長)에 크게 영향(影響)을 미치는 것은 산림토양(山林土壤)의 물리적(物理的) 성질(性質)이라는 일반개념(一般槪念)이었으나 본연구결과(本研究結果)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学的) 성질(性質)도 매우 중요(重要)한 임목생장요인(林木生長要因)이 된다는 것을 Computer를 이용(利用) 추적(追跡)하여 입증(立証)하였으며 아울러 종래(從來) 낙엽송(落葉松)과 잣나무 적지(適地) 구분(区分)이 불분명(不分明)하던 것을 명료(明瞭)하게 적지(適地) 특성(特性)을 구명(究明)하였다.

  • PDF

Initiation of embryogenic callus from mature zygotic embryos in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 Kim, Yong-Wook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223-227
    • /
    • 2015
  • Embryogenic callus (EC) was created from mature embryos of Larix kaempferi. With the mature embryos, keeping the culture in dark conditions throughout the experiment (38.2%) seemed to give better results than exposing them to 16 h light ($25{\mu}Em^{-2}s^{-1}$) for the first week (21.9%). EC was obtained most frequently from Quoirin and Lepoivre (LP) mediums with 1.0 mg/L 4-amino-3,5,6-trichloropicolinic acid (Picloram), plus 1.0 mg/L benzyladenine (BA) (62.8%) or Litvay's medium (LM) containing 1.0 mg/L p-chlorophenoxyacetic acid (pCPA) plus 1.0 mg/L BA (62.8%) treatment. In both cases, best results were obtained when zygotic embryos were cultured in darkness. As for the effective sucrose concentration on initiation of EC, 29.2 mM sucrose (38.6%) gave the best results.

침엽수재(針葉樹材)의 원목형질(原木形質)과 단판결함(單板缺陷)이 단판(單板) 및 합판제조수율(合板製造收率)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oftwood Log Property and Veneer Defect on Veneer-and Plywood Manufacturing Yield)

  • 서진석;박종영;조재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6권4호
    • /
    • pp.40-47
    • /
    • 1988
  • Our plywood manufacturing industries which entertained prosperous stage in late 1970's have come to be in face of the problems of conceedingly obtaining good quality logs and yield up-grading, which is considered by future-replaceable forest resources. In view of this point, manufacturing characteristic on softwood plywood using Japanese larch, pitch pine as domestic plantation species, and western hemlock as foreign species was studied. In this study, veneer- and plywood manufacturing yield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log properties and veneer defects (knots). The summarized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The majority of sample logs belonged to second grade on the standard. And, eccentricity of larch was the highest 11%, about 2 times those of pitch pine, hemlock. 2. Knot frequency of occurrence of larch reached 19% within log height 8m, and pitch pine 13% within 4m. Correspondingly, the log height of larch available for plywood manufacture was higher by about 2 times that of pitch pine. 3. In the knot types, most of knots of larch appeared dead, whereas those of pitch pine and hemlock appeared live. In size of knots, larch and hemlock showed relatively small 1-2cm dia. by 70% or more and pitch pine did the larger 24cm by 65%. Generally the more knot emerged in the inner side of veneer than the outer. 4. Plywood manufacturing yields by peeling with spindle revolution lathe were 37% in larch > 32% in hemlock> 26% in pitch pine. S. Jointed core veneer yields by peeling with outer perimeter back-up lathe were 55% in hemlock> 53% in larch> and 48% in pitch pi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