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zod notched impact strength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4초

제지 슬러지-폴리프로필렌수지 복합재의 기계적 성질 (Mechanical Properties of Paper Sludge-Polypropylene Composites)

  • 이필우;손정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7권3호
    • /
    • pp.51-62
    • /
    • 1999
  • 본 연구는 자원환경적인 측면에서 산업폐기물이자 환경오염원인 제지 슬러지를 이용함에 있어 용융형 목질-플라스틱 복합재의 강화충전제로 적용하여 그 사용가능성을 알아보고 또한 복합재의 물성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 제지 슬러지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복합재의 밀도는 증가하였으며 제지 슬러지의 입자 크기와 결합제 종류 및 함량은 복합재의 밀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제지 슐러지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복합재의 휨강도적 성질은 향상되었으며, 제지 슐러지의 입자 크기가 작을수룩 복합재의 휨강도는 증가하였으나 휨탄성계수는 증가하였다. 또한 복합재의 휨강도적 성질은 결합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그 함량이 증가할수록 향상됨을 알 수 있었으며, 결합제의 분자량이 더 큰 Epolene G-3003의 경우 그 효과가 더 큼을 알 수 있었다. 대체로 제지 슬러지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복합재의 충격강도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볼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notched impact strength는 크게 감소하지는 않았다. unnotched impact strength의 경우 제지 슬러지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그 감소 폭이 컸다. 제지 슬러지의 입자크기가 복합재의 충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notched impact strength의 경우 제지 슬러지의 입자 크기에 따라 충격강도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었으며, unnotched impact strength의 경우 입자 크기가 가장 작은 100mesh 이하일 때 가장 우수하였고 그 다음으로 20~40mesh, 60~80mesh 순이었다. 복합재의 notched impact strength 는 결합제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으나 unnotched impact strength는 Epolene E-43의 경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충격강도가 감소하였고, Epolene G-3003의 경우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충격강도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HDPE/PA 알로이의 모포로지와 충격강도 (Morphology and Impact Strength of High Density Polyethylene/Polyamide Alloy)

  • 이용무;강두환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28권4호
    • /
    • pp.283-292
    • /
    • 1993
  • The morphology and impact strength of alloys of high density polyethylene(HDPE) and nylon-6(PA) with modified $ethylene-{\alpha}-olefin$ copolymer(OCP) as compatibilizer and impact modifier were measured by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and the notched Izod impact test(and the high rate impact test), respectively. HDPE is incompatible with PA and specimens obtained from simple mechanical mixing show the inferior properties. However, it was indicated that OCP played roles of not only impact modifier but also compatibilizer. High rate impact test result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notched Izod impact test, but in both tests OCP was effective for HDPE/PA blends. From SEM observation, the size of the dispersed phase in alloys prepared with OCP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alloys without OCP and the interfacial adhesion of alloys prepared with OCP is also better. Toughening mechanism of polymer blends was discussed by combining the morphology analysis with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 PDF

PA 6,6/EPM/EPM-g-MA 블렌드물의 특성과 Morphology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Morphologies and Properties of PA 6,6/EPM/EPM-g-MA Blends)

  • 이융;이창우;장윤호;함영민
    • 공업화학
    • /
    • 제10권5호
    • /
    • pp.682-689
    • /
    • 1999
  • 본 연구는 용융법에 의한 폴리아미드 6,6과 EPM 및 EPM-g-MA와 블렌딩시 탄성 중합체 함유량, 조성비(wt %), 혼합온도, 혼합속도 등의 변화에 따른 이성분 PA 6,6/EPM(or EPM-g-MA) 블렌드물과 삼성분 PA 6,6/EPM/EPM-g-MA 블렌드물을 제조하여 블렌드물 내 탄성 중합체 평균 입자 크기, 입자 형상 및 분포 등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블렌드물의 기계적, 열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결과, 혼합속도 250 rpm하에서 압출기 내 다섯 영역의 온도를 270, 265, 265, 255 및 $255^{\circ}C$로 변화시켜 탄성 중합체의 함유량 변화에 의하여 제조된 이성분 블렌드물중 높은 충격강도는 PA 6,6/EPM-g-MA(70/30) 블렌드물에서 확인되었으며 폴리아미드 6,6의 충격강도에 비하여 25배 증가하였다. 동일한 압출기 내 조건하에서 제조된 삼성분 블렌드물 중 PA 6,6/EPM/EPM-g-MA(70/15/15) 블렌드물 내 탄성 중합체 평균 입자크기는 $0.56{\mu}m$이면서 고른 입자분포를 나타내었으며 충격강도는 제조된 모든 블렌드물 중 가장 높았다. 이러한 블렌드물의 조성비하에서 혼합온도와 혼합속도 변화에 의하여 제조된 블렌드물의 기계적 특성과 블렌드물 내 탄성 중합체 분산정도는 감소하였다.

  • PDF

탄성중합체 함유량 변화에 따른 폴리아미드-6,6/탄성중합체 블랜드물의 특성 (Properties of PA 6,6/Elastomer Blends with Various Elastomer Content)

  • 이융;이창우;차윤호;함영민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4권1호
    • /
    • pp.20-30
    • /
    • 1999
  • 본 연구는 용융법에 의한 폴리아미드 6,6(PA 6,6)과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M) 및 무수 말레인산 그라프팅 EPM(EPM-g-MA)과 블랜딩시 탄성중합체 함유량 변화에 따른 이성분 PA 6,6/ EPM[EPM-g-MA] 블랜드물과 EPM:EPM-g-MA 조성비(wt%) 변화에 따른 삼성분 PA 6,6/ EPM/EPM-g-MA 블랜드물을 제조하여 블랜드물 내 탄성중합체의 평균 입자크기, 입자 형상 및 분포 등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블랜드물의 기계적, 열적 특성변화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결과, 이성분 블랜드물 중 PA 6,6/EPM-g-MA 블랜드물은 PA 6,6/EPM 블랜드물에 비하여 EPM-g-MA의 평균 입자크기와 분포, 충격강도 및 상대결정화도 등이 향상되었고 PA 6,6/ EPM-g-MA 블랜드물 중 가장 큰 충격강도의 향상을 보인 PA 6,6/EPM-I-MA(70/30) 블랜드물은 폴리아미드 6,6의 충격강도에 비하여 약 25배 향상되었으며 상대결정화도는 약 7배 증가하였다. 그리고 삼성분 블랜드물 중 조성비가 70:15:15(PA 6,6 :EPM:EPM-g-MA)일 때 블랜드물 내탄성중합체 평균 입자크기는 $0.56{\mu}m$이면서 고른 입자분포를 얻을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블랜드물의 충격강도는 제조된 모든 블랜드물의 충격강도에 비하여 가장 높았다.

  • PDF

Nylon 6/Polypropylene 블렌드의 충격특성 및 모폴로지 (Impact Characteristics and Morphology of Nylon 6/Polypropylene Blends)

  • 김종국;윤주호;고재송;최형기;김상욱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15
    • /
    • 2002
  • Melt blends of maleic anhydride grafted polypropylerle(PP-g-MA) and Nylon 6 were prepared to study the influence of chemical reaction between the two polymer components. By adding the MA grafted polystyrene pold (ethylene/butadiene) and polystyrene[SEBS-g-MA] as the compatible modifiers to reinforce the impact resistance, the Izod impact strength, high rate impact strength and morphology were studied. The notched Izod impact strength increased with the content of PP-g-MA and SEBS- g-MA. The energy of high rate impact strength increased as the thickness of specimen increased, while, it increased as the specimen displacement decreased. In the morphology observed by SEM, finally, we confirmed the improvement of the compatibilization and interfacial adhesion with the content of SEBS-g-MA. The continuous phase of PP-g-MA was the main cause of the modified properties.

두께와 노치생성방법에 따른 플라스틱 수지의 충격강도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riations of Impact Strength of Plastics for Various Thicknesses and Notch Formation)

  • 김현;이대섭;임재수;류민영
    • 폴리머
    • /
    • 제36권1호
    • /
    • pp.59-64
    • /
    • 2012
  • 제품의 소형화와 경량화 추세에 따라 부품의 두께가 얇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소형 및 경량 제품의 중요한 설계요소는 소재의 충격강도이다. 충격강도는 재료 고유의 물성값으로 기하학적 형상에 의존하지 않고 일정한 값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충격강도 시험 시 시편의 두께에 따라 강도의 차이를 보이고 노치(notch)의 생성방법과 노치형상에 따라서도 민감도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시편의 두께와 노치형상 및 노치의 생성방법에 따른 충격강도를 알아보았다. 또한 노치의 각도와 노치에 대한 충격 방향에 따른 충격강도도 관찰하였다. 이를 위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PC, ABS, 그리고 POM에 대하여 Izod 충격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실험한 모든 수지에서 두께가 얇아질수록 충격강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PC수지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PC수지는 두께가 두꺼울 때는 취성파괴를 보였는데 두께가 얇을 때는 연성파괴 양상을 보였다. 몰드노치 시편이 밀링노치 시편에 비해 충격강도가 높았고, 역방향 노치가 정방향 노치보다 충격강도가 높았다. 본 연구에서 실험한 수지 중에서 노치의 민감성은 PC가 가장 컸으며 다음이 POM, ABS순으로 나타났다.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이 폴리프로필렌/나이론 66 블랜드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afted Polypropylene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Nylon 66 Blends)

  • 한경윤;안성환;정광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02-409
    • /
    • 2011
  • Compatibility and properties of PP/N66 blends with or without PP-g-MAH as a compatibilizer were investigated by DSC, SEM and universal testing machine. Morphological studies revealed that PP and N66 were incompatible and addition of PP-g-MAH was very effective to enhance the compatibility between PP and N66. The compatibilization effect between N66 and PP-g-MAH was based on the reaction between the amine end group of N66 and anhydride group in PP-g-MAH. The crystallization and melting behavior of PP/N66 blends we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of analyses for enthalpy changed were discussed. The Izod impact strength could be improved by optimizing the compatibilizer concentration. Tensile strength, elongation at break, notched Izod impact strength were increased with using compatibilizer, however, both the compatibilized and the noncompatibilizer blends did not show any big difference in the flexural modulus.

충격보강제로 강인화된 PLA와 cellulose ester 블렌드의 상용성 및 모폴로지, 열적,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miscibility, morphology,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elastomeric impact modifier reinforced Poly(lactide)/Cellulose ester blends)

  • 박준서;남병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081-4086
    • /
    • 2014
  • CAB는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수지이나 취약한 가공성으로 인해 필름 어플리케이션에 제한되어 있다. 본 실험에서는 비교적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락틱산을 이용하여 CAB의 가공성을 향상시키고, 충격보강제 도입으로 기계적 물성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전 실험에서 PLA/CAB binary 블렌드의 PLA75CAB25조성이 상용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PLA75CAB25 조성에 한하여 충격보강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충격보강제를 도입하고, $140^{\circ}C$(hopper)-$200^{\circ}C$(die)의 온도 범위에서 200rpm의 속도로 제조하였다. 충격보강제 도입에 따른 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DSC와 FE-SEM을 통해 유리전이온도 거동과 모폴로지를 관찰하였다. 또한 충격보강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DMA와 Izod 충격강도 시험기를 이용하여 저장탄성률과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충격보강제가 10wt%가 도입되었을 때 상용성이 가장 좋았으며, Izod 충격강도가 PLA75CAB25 조성에 비해 4배 이상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샤피충격시험기를 이용한 고무보강 폴리머재료의 파괴인자 결정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Fractuye Parameters for Rubber Toughened Polymeric Materials Using Instrumented Charpy Impact Test)

  • 최영식;박명균;박세만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A
    • /
    • pp.389-394
    • /
    • 2001
  • The notched Charpy and Izod impact tests arc the most prevalent techniques used to characterize the effects of high impulse loads on ploymeric materials. An analysis method for rubber toughened PVC is suggested to evaluate critical strain energy release rates(Gc) from the Charpy impact energy measurements. An Instrumented Charpy impact tester was used to extract ancillary information concerning fracture properties in addition to total fracture properties and maximum critical loads. The stress intensity factor Kd was computed for varying amounts of rubber contents from the obtained maximum critical loads and also toughening effects were investigated as well.

  • PDF

폴리아미드6/반응성 폴리프로필렌(PA6/PP-g-MA) 블렌드의 기계적 특성과 모폴로지 (Mechanical Properties and Morphology of Polyamide 6/Maleated Polypropylene Blends)

  • 고재송;장윤호
    • 공업화학
    • /
    • 제10권8호
    • /
    • pp.1136-1140
    • /
    • 1999
  • 폴리아마이드6(PA6)와 무수말레산이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PP-g-MA)의 용융혼합된 블렌드계를 제조하고, 이 블렌드계의 인장, 굴곡, 충격, 동적기계적열 특성 및 상구조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인장강도와 인장탄성율은 두 조성물의 혼합에 따른 상승효과가 나타났고, 굴곡특성의 경우는 두 조성물의 산술평균값을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충격강도의 경우는 PA6/PP-g-MA 50/50 wt % 조성에서 최대값을 보였다. Tan ${\delta}$결과로부터, 두 조성물간의 반응에 의해 혼화성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구조와 충격강도의 결과로부터, 본 블렌드계는 PA6 매트릭스에 PP-g-MA가 $2{\mu}m$정도 크기로 고르게 분산되어진 경우에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