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ovaleric acid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초

목초액 처리가 돈분 퇴비화 과정중 악취저감에 미치는 영향 (Reduction of the Odors during Pig Manure Composting Using of Pyroligneous Acid Liquor)

  • 이종은;장기운;이종진;황준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32권2호
    • /
    • pp.233-241
    • /
    • 2005
  • 본 연구는 친환경농자재로 선정된 유기성폐자 원인 목초액을 농 축산분야의 적용과 활용성 평가를 위해 돈분퇴비화 과정 중 발생되는 악취에 대한 저감효과를 조사하여 그 이용가치를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암모니아 가스의 분석결과 목초액을 처리한 PA-100과 PA-300 처리구에서 초기 암모니아가스 발생량이 관행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목초액 처리구에서는 약 18일 이후부터는 측정되지 않았다. 반면, 관행구에서는 보다 오랫동안 나타났으며 약 25일후로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달관적인 조사를 통하여 PA-100과 PA-300 처리구에서는 발생하는 암모니아가스 냄새의 정도가 현저히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목초액내에 함유된 초산성분에 의한 암모니아의 중화반응과 탄화된 목재의 특유의 향으로부터 가려지는 가리움효과(eclipsed effect)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휘발성 유기산의 발생량을 GC를 통해 분석한 결과 PA-100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으며 휘발성 유기산 중에서 acetic acid와 propionic acid 및 butyric acid 등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특히, propionic acid와 butyric acid는 PA-100 > PA-300 > 관행구 순으로 퇴비화 과정중 감소효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acetic acid는 관행구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목초액의 주성분인의 하나인 초산(acetic acid)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시판 과실식초의 이화학적 품질 및 향기성분 비교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nd Volatile Components in Commercial Fruit Vinegars)

  • 김귀란;윤성란;이지현;여수환;정용진;윤경영;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16-624
    • /
    • 2010
  • 국내에서 소비가 활발한 시판 과실식초(사과, 포도, 감)에 대하여 이화학적 품질특성 및 향기성분 패턴을 비교 분석하였다. 식초시료의 총산도는 포도 식초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당도 및 환원당 함량은 시료마다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갈색도, 탁도 및 전반적 색차(${\Delta}E$)는 감식초에서 높게 나타났다. 시판 과실식초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의 순으로 높게 검출되었으며, 유기산은 acetic acid 외 oxalic, citric, malic, succinic acid가 검출되었으나 함량은 시료마다 차이를 나타내었다. 시판과실식초의 유리아미노산 검출결과 필수아미노산은 포도와 감식초에서 총 9종, 사과식초에서 6종의 필수아미노산이 검출되었다. 시판 과실식초의 주된 향기성분은 acetic acid, ethyl acetate, isoamyl acetate, iso valeric acid, isoamyl alcohol, propanoic acid, phenethyl acetate 등으로 이외에 사과식초 17종, 포도식초 12종, 감식초 33종의 휘발성 성분이 확인되었다. 또한 SAW 센서 전자코는 과실식초의 향기패턴을 비교 분석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축산시설의 축종별 악취물질 농도 특성과 악취도 평가 (Assessment of Odor Characterization and Odor Unit from Livestock Facilities by animals)

  • 장영기;정봉진;김정;송기봉;김호정;유용희
    • 환경영향평가
    • /
    • 제19권1호
    • /
    • pp.29-38
    • /
    • 2010
  • At recent the number of livestock is increased and the size of farm has changed to large facilities in Korea. So the livestock facilities have become one of major sources of odor emi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ntration and assessment of odor unit from livestock facilities for cow, dairy, swine and poultry. The eleven odor pollutants such as $H_2S$, ($CH_3$)SH, $(CH_3)_2S$, $(CH_3)_2S_2$, $CH_3N$, $NH_3$, $(CH_3)_2N$, $(CH_3)_3N$, butyric acid, valeric acid and isovaleric acid, measured for assessment of the odor concentrations from livestock facility. As the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major matters of odor from livestock facilities were $NH_3$ and $H_2S$.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NH_3$ is measured as 15 ppm at henhouse and $H_2S$ is measured as 858 ppb at penpig facilities. In the comparison of the average odor unit from livestocks, it is found that the highest odor unit was from swine and the lowest odor unit was from cow facility. So odor unit from swine facilities was 12 to 30 times higher than the odor unit from cow facilities.

말쥐치 가공중 향기성분에 관하여 (Flavor Components in the Filefish Processing)

  • 이종호;최병대;이강호;이근태;김태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21-128
    • /
    • 1989
  • 쥐치의 향기성분을 동정하기 위하여 Likerson형의 연속증류추출 및 탄산가스추출법을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동정하였다. 그 결과 중성획분에서 55 성분, pherol 성획분에서 4 성분, 염기성획분에서 13 성분 및 산성획분에서 10 성분이 분리$\cdot$동정되었고 중성획분에서는 가열$\cdot$배소 후 propanol, butanol, octanol, dodecanol등의 alcohol류 그리고 pentanal, hexanal, 2-methyl-1-propanal, heptenal등의 aldehyde의 함량이 크게 증가하여 flavor 형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분리 $\cdot$동정된 phenol 류는 분자량(m/e) $100\-160$ 정도로 나타났으며, 염기성획분에서는 2-methylpyrazine, 2,5-di-methylpyrasine, 2-ethyl-3,5-dimethylpyrazine 등 과 2-methylpyridine등이 동정되었다. 이들과 함께 중성획분에서 동정된 furan류가 가열온도의 증가와 함께 그 함량이 증가하였다. 산성획분에서는 배소시료 구분에서 isocaproic acid 및 caproic acid의 함량이 많았다.

  • PDF

Effects of Queso Blanco Cheese Containing Bifidobacterium longum KACC 91563 on the Intestinal Microbiota and Short Chain Fatty Acid in Healthy Companion Dogs

  • Park, Ho-Eun;Kim, Ye Jin;Do, Kyung-Hyo;Kim, Jae Kwang;Ham, Jun-Sang;Lee, Wan-Kyu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261-1272
    • /
    • 2018
  • The effects of Queso Blanco cheese containing Bifidobacterium longum KACC 91563 was studied on the intestinal microbiota and short chain fatty acids (SCFAs) in healthy companion dogs. There were three experimental groups with five healthy dogs each: a control group, not fed with any cheese, and groups fed with Queso Blanco cheese with (QCB) or without B. longum KACC 91563 (QC) for 8 weeks. Fecal samples were collected 5 times before, during, and after feeding with cheese. Intestinal microbiota was analyzed using two non-selective agar plates (BL and TS) and five selective agar plates (BS, NN, LBS, TATAC, and MacConkey). SPME-GC-MS method was applied to confirm SCFAs and indole in dog feces. The six intestinal metabolites such as acetic, propionic, butyric, valeric, isovaleric acid and indole were identified in dog feces. Administration of B. longum KACC 91563 (QCB) for 8 week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beneficial intestinal bacteria such as Bifidobacterium ($8.4{\pm}0.55$) and reduced harmful bacteria such as Enterobacteriaceae and Clostridium (p<0.05). SCFA such as acetic and propionic aci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QCB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p<0.05).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dministration of Queso Blanco cheese containing B. longum KACC 91563 had positive effects on intestinal microbiota and metabolites in companion dogs. These results suggest that Queso Blanco cheese containing B. longum KACC 91563 could be used as a functional food for companion animals and humans.

한국인 소아청소년기 발작의 원인질환으로서의 유기산대사이상질환 (Organic Acidopathies as Etiologic Diseases of Seizure Disorders in Korean Childhood and Adolescent Age Group)

  • 김희권;이종윤;이예승;배은주;오필수;박원일;이홍진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3-34
    • /
    • 2012
  • 목적: 발작은 소아기에 상당히 흔한 임상 증상으로 급성증상성발작은 대뇌의 구조적변화, 염증, 및 대사이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대사이상을 일으킬 수 있는 대사장애 질환들로는 유기산대사이상질환군, 리소솜축적질환군, 퍼옥시솜대사이상질환군, 미량원소의 이상질환군 등이 있다. 저자들은 발작을 일으키는 유기산대사이상 질환들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7년 1월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만 5년 동안 유기산분석이 의뢰되었던 1,306명의 환자를 2개월까지의 신생아기, 2세까지의 영아기, 12세까지의 소아기 및 12세 이후의 청소년기이후의 4군으로 나누고, 발작의 형태는 전신발작, 국소발작 및 복합발작으로 나눴으며, 발달지연의 유무에 따라 SPSS의 student's t test를 이용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적으로 1,306명의 환자에서 유기산분석에서 비정상소견을 보인 경우가 665명(51%)이었으며, MRCD가 394명(30.1%), mandelic aciduria가 127명(9.7%), 케톤분해이상이 81명(6.2%), 3-hydroxyisobutyric aciduria가 19명(1.4%), glutaric aciduria type II가 10명(0.8%) 이었고 뒤를 이어 ethylmalonic aciduria 4명, propionic aciduria 4명이었으며, 3명의 환자가 진단된 질환들이 methylmalonic aciduria, glutaric aciduria type I, pyruvate dehydrogenase deficiency, pyruvate carboxylase deficiency 등이 있었으며, 2례씩 진단된 질환들이 isovaleric aciduria, HMG-CoA lyase deficiency, 3-methylcrotonylglycinuria, fatty acid oxidation disorders 등이 있었고, 1례씩 진단된 질환들로 fumaric aciduria, citrullinemia, CPS deficiency, MCAD deficiency 등이 있었다. 결론: 신생아기에는 감염으로 인한 mandelic aciduriad의 빈도가 의미 있게 높았고, 전연령군에서 MRCD의 중요성이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신생아기이후에도 다양한 유기산대사이상들의 진단이 되고 있어 기본검사의 중요성이 높았으며, 증상이 있을 때의 초기검체를 이용한 검사가 중요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폭염 브로일러 닭의 혈액지질 및 짧은 사슬지방산에 대한 폭염사료와 역전점등 효과 (Effects of inverse lighting and extreme heat diet on short chain fatty acid and blood lipid profile in extreme heat stress-exposed broilers)

  • 박상오;황보종;박병성;최희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00-410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eding the broilers that are exposed to extreme heat stress by control of inverse lighting times with night restricted feeding of extreme heat diet(EHD1, 2: extreme heat diet) containing different amount of soy oil, molasses, amino acids and vitamin C on short chain fatty acid and blood lipid profile. 300 broiler chickens(Abaica strain) were randomized into four dietary treatment groups according to a randomized block design on the day they were hatched. The four dietary treatment groups were: T1(EHD 1, 10:00~19:00 Dark, 19:00~10:00 Light), T2(EHD 2, 10:00~19:00 Dark, 19:00~10:00 Light), T3(EHD 1, 09:00~18:00 Dark, 18:00~09:00 Light), T4(EHD 2, 09:00~18:00 Dark, 18:00~09:00 Light). The body weight gain of the broilers was highest in T2, and high in order T1, T4, T3(p<0.05). Weights of the lymphoid organ, thymus and bursa of Fabricius were high in T1, T2 as compared to T3, T4 but spleen was lower in T4 than T1, T2, T3(p<0.05). Blood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glucose were higher in T1, T2 than T3, T4(p<0.05). LDL-C was high in orderT4, T3, T2, T1 but HDL-C showed the opposite trend(p<0.05). Blood concentrations of IgG, IgG and IgM were higher in T1, T2 than inT3, T4, but the corticosterone concentr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m. In T1 and T2, Lactobacillus in the feces increased, but total aerobic bacteria, E.coli, coliform bacteria was decreased rather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in T3 and T4(p<0.05). Concentrations of acetic acid, propionic acid and total SCFA in cecum were high in order T2, T1, T3, T4, but butyric acid, isobutyric acid, valeric acid, isovaleric acid were lower in T1, T2 than in T3, T4 (p<0.05).

파리유충 추출물이 랫드의 혈액지질, 면역세포 중량, 맹장 미생물 및 유기산 변화에 미치는 비피더스 활성효과 (Bifidogenic Effects of the Oral Administration of Fly Maggot Extract on Organic Acid, Cecal Microorganisms, Thymus and Spleen Weights, and Blood Lipids in Rats)

  • 박병성;박상오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784-790
    • /
    • 2014
  • 인위적 환경에서 사육된 파리유충은 곤충 의생명소재로서 잠재성을 갖는다. 본 연구는 파리유충 에탄올추출물(EM)을 랫드에게 추출물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생체중 100 g 당 추출물 4.0, 6.0, 8.0 mg으로 구분하여 40일동안 경구투여 하였다. 혈액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및 LDL-C는 대조군과 비교할 때 EM 투여군에서 각각 17.90, 17.60, 16.37% 낮아졌으나 HDL-C는 120.48%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흉선, 비장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EM 투여군에서 각각 121.42, 121.42%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복강지방은 39.66%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혈액 IgG, IgA, IgM 농도는 대조군과 비교할 때 EM 투여군에서 각각 135.14, 168.65, 290.16%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Bifidobacterium, Lactobacillus는 EM 투여군이 대조군과 비교할 때 각각 141.68, 135.55% 증가하였으나 Bacteroides, Clostridium, Escherichia coli, Streptococcus는 각각 24.96, 46.37, 25.00, and 34.05% 유의하게 낮아졌다(p<0.05). 맹장에서 총유기산, 초산과 프로피온산은 EM 투여군이 대조군과 비교할 때 각각 131.11, 149.34, 124.88% 증가하였으나 뷰티르산, 이소뷰티르산, 발레르산, 이소발레르산은 각각 30.79, 72.64, 32.90, 63.16%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본 연구결과는 파리유충 에탄올추출물이 동물의 장 내 미생물 균총 유지 및 유기산 증식을 통한 복강지방, 혈액지질 감소 및 면역세포 발육과 관련한 비피더스 활성효과를 갖는다는 점을 나타낸다.

홍화꽃 및 홍화씨의 휘발성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Flower and Seed of Safflower)

  • 최성희;임성임;장은영;조영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96-201
    • /
    • 2004
  • 식품재료 및 약리 효과로 인한 약용재료로서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홍화꽃 및 홍화씨의 휘발성 성분을 분석 동정하였다. 그 결과, 홍화꽃의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는 테르펜류인 p-cymene, limonene, ${\alpha}-phellandrene$, ${\gamma}-terpinene$, camphor, 4-terpineol, selinene, ${\beta}-caryophyllene$, torreyol, ${\beta}-eudesmol$ 등이 검출되었다. 또한, phenylacetaldehyde, 2-phenylethylalcohol, 4-terpineol, ${\beta}-caryophyllene$, ${\gamma}-terpinene$, ${\alpha}-phellandrene$ 등 통상의 꽃향기 성분과 알데히드류인 3-methylbutanal, 2-methylbutanal, pentanal, hexanal, octanal, nonanal 및 decanal, 알코올류인 2-pentanol 및 heptanol, 케톤류의 3-penten-2-one, 2-heptanone, 2,6,6-trimethyl cyclohexanone 등이 함유되어 있었다. 그 이외 산류인 acetic acid, heptanoic acid, 2-methylbutanoic acid 및 rancid-cheese odor를 띄는 3-methylbutanoic acid(isovaleric acid) 등의 생성이 확인되었다. 특히, 홍화꽃에서의 이들 산류의 생성은 다른 꽃류에 비해 종류나 함량이 많았으며, 홍화꽃이 다른 꽃에 비해 좋지 않은 냄새를 내는 특징적인 요인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홍화씨의 경우는 hexanal, (E)-2-heptenal, (E,Z)-2,4-decadienal 및 (E,E)-2,4-decadienal등의 알데히드류가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 동정되었다. 일반성분 중 전체 함량의 약 30%의 지질을 함유하는 홍화씨는, 방향성과 관계된 torreyol, ${\beta}-eudesmol$ 등의 terpene alcohol류, 달콤한 향과 관계가 있는 3-methylbutanal 및 2-methylbutanal과 함께 산류의 생성도 있었으나, 지방산 산화 분해생성물인 (E,Z)-2,4-decadienal 및 (E,E)-2,4-decadienal이 전체 휘발성 함량의 약 75%를 차지하였다.

Effects of Mixtures of Tween80 and Cellulolytic Enzymes on Nutrient Digestion and Cellulolytic Bacterial Adhesion

  • Hwang, Il Hwan;Lee, Chan Hee;Kim, Seon Woo;Sung, Ha Guyn;Lee, Se Young;Lee, Sung Sill;Hong, Hee Ok;Kwak, Yong-Chul;Ha, Jong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11호
    • /
    • pp.1604-1609
    • /
    • 2008
  • A series of in vitro and in viv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ixture of Tween 80 and cellulolytic enzymes (xylanase and cellulase) on total tract nutrient digestibility and rumen cellulolytic bacterial adhesion rates in Holstein steers. Ground timothy hay sprayed with various levels of Tween 80 and cellulolytic enzymes was used as substrates in an in vitro experiment to find out the best combinations for DM degradation. The application level of 2.5% (v/w) Tween 80 and the combination of 5 U xylanase and 2.5 U cellulase per gram of ground timothy hay (DM basis) resulted in the highest in vitro dry matter degradation rate (p<0.05). Feeding the same timothy hay to Holstein steers also improved in vivo nutrient (DM, CP, CF, NDF and ADF) digesibilities compared to non-treated hay (p<0.05). Moreover, Tween 80 and enzyme combination treatment increased total ruminal VFA and concentrations of propionic acid and isovaleric acid with decreased acetate to propionate ratio (p<0.001). However, adhesion rates of Fibrobacter succinogenes and Ruminococcus flavefaciens determined by Real Time PCR were not influenced by the treatment while that of Ruminococcus albus was decreased (p<0.05).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a mixture of Tween 80 and cellulolytic enzymes can improve rumen environment and feed digestibility with variable influence on cellulolytic bacterial adhesion on f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