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othiocyanate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033초

Nested PCR과 DN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를 이용한 Ralstonia solanacearum의 검출 (Detection of Ralstonia solanacearum with Nested PCR and DN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 고영진;조홍범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79-185
    • /
    • 2007
  • 본 연구는 polymerase chanin reaction(PCR)기법과 DN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DNA ELISA) 기법을 이용하여 토양내 식물병원균인 Ralstonia solanacearum를 검출하고자 하였다. 토양 시료로부터 분석에 사용될 R. solanacearum DNA를 추출하기 위하여 몇 가지 방법을 비교 평가한 결과 기존의 DNA 추출 방법에 비하여 Guanidin isothiocyanate와 Chelex-100 resin을 사용하는 방법 이 토양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중류의 반응 저해 물질과 R. solanacearum만의 고유한 PCR반응 저해물질들을 제거하는 데에 효과적이었다. R. solanacearum만을 특이적으로 검출하기 위해 fliC유전자 부위에 특이적인 몇 종의 primer들을 제작하였다. 이들 중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나타내는 두 set의 primer RsolfliC(forward; 5-GAACGCCAACGGTGCGAACT-3 and reverse; 5-GGCGGCCTTCAGGGAGGTC-3, designed by J. $Sch\ddot{o}nfeld$ et al.)와 RS_247 (forward; 5-GGCGGTCTGTCGGCRG-3 and reverse; 5-CGGTCGCGTTGGCAAC-3, designed by this study)를 선정하여 nested PCR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Nested PCR primer에 biotin을 표지하였고 nested PCR산물의 내부 서열과 특이적으로 교잡반응을 할 수 있는 probe를 제작하여 PCR 결과를 DNA-EIA반응으로 확인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Primary PCR과 nested PCR의 산물을 전기영동 상에서 확인한 결과, nested PCR이 약 $10^2$정도의 높은 민감도를 나타내었고 DNA-EIA의 경우 $10^2P{\sim}10^3$정도의 민감도를 상승시켜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Mistletoe lectin I/D-galactose의 인식결합에 기초한 Mistletoe lecti I에 대한 용액상 효소결합분석법에 관한 연구 (Homogeneous Enzyme-linked Binding Assay for Mistletoe Lectin I Based on the Mistletoe Lectin I/D-galactose Interaction)

  • 이인숙;이은아;전종순
    • 분석과학
    • /
    • 제13권5호
    • /
    • pp.624-629
    • /
    • 2000
  • Mistletoe lectin I(ML I)에 대한 간단하고 빠른 용액상 효소결합 분석법을 렉틴의 당 특이성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ML I에 특이성을 가지고 있는 D-galactose를 사용하였으며, 용액상 분석법의 효소로는 malate dehydrogenase(MDH)를 사용하였다. 분석신호물질로 사용되는 MDH-galactose 접합체는 isothiocyanate 방법을 통해 합성하였으며, 이 접합제는 thiourea 결합을 하고 있다. ML I의 존재하에, ML I은 D-galactole와의 특이 인식결합을 통해 MDH-galartose 접합체의 활동도를 억제한다. 그러므로, 존재하는 ML I의 농도는 MDH-galactose 접합제의 촉매활동도의 억제도에 비례하게 된다. 따라서, 본 용액상 효소결합 분석법을 통하여 ${\mu}g/mL$ 수준의 ML I의 측정이 분석 시간 10분 이내에 가능하였다.

  • PDF

광섬유 소산장을 이용한 식중독균 신속검출용 형광면역센서 (Fiber-optic fluoroimmunosensor for foodborn pathogens using an optical evanescent field)

  • 염세혁;박창섭;김도억;김규진;강병호;강신원
    • 센서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441-448
    • /
    • 2007
  • In this study, the fiber-optic fluoro-immunosensor was designed to detect foodborne pathogens. The fabricated system is composed of the multimode optical fiber on which antibodies are immobilized. Then, a sandwich immunoassay is applied to the fabricated the fiber-optic fluoro-immunosensor. In the "sandwich" binding format, a primary or "capture" antibody is immobilized on the core surface of the multimode optical fiber and a secondary or named as "tracer" antibody is added to the bulk solution. A tracer is labeled FITC (fluorescein isothiocyanate; ${\lambda}ex$=492 nm, ${\lambda}em$= 520 nm). Different concentrations of antigens are tested in different fibers. The detection limit of the fabricated system is 5.08×103 cfu/ml for Vibrio antigen and $0.1{\mu}g/ml$, $0.05{\mu}g/ml$ in non-labeled monolayer phosphate buffered saline (NMP), non-labeled monolayer carbonate bicarbonate buffer (NMC), respectively.

선택이온 측정법에 의한 십자화과 채소중의 Sulforahane 함량 (Determination of sulforaphane in cruciferous vegetables by SIM)

  • 김미리;이근종;김진희;석대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82-887
    • /
    • 1997
  • 한국인이 흔히 섭취하는 십자화과 채소와 백합과 채소중의 S-methylsulfinylbutyl isothiocyanate, 즉, sulforaphane 함량을 GC/MS로 분석하여 가장 많이 함유된 채소를 선별하고, 십자화과 및 백합과 채소에 속하는 20여종의 채소 용매추출물을 GC/MS에 주입하여 sulforaphane 표준품의 질량분석 스펙트럼을 근거로 선택이온 측정법 GC/MS (SIM)에 의해 정량하였다. 그 결과, 브로콜리에 $80.2{\sim}631.4\;ppm$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순무, 무청, 자색 양배추, 무, 케일, 흰색 양배추, 콜리플라워, 배추, 청경채의 순이었으며, 갓, 돌산갓, 무순 및 부추 그리고 달래, 골파, 양파 및 마늘 등 백합과 채소에는 함유되어 있지 않았다. 브로콜리 품종 중에서 sulforaphane이 가장 많은 품종은 'Pilgrim'과 '1243'이었다. 브로콜리는 식용부위별로 품종 간에 sulforaphane 함량이 달랐는데, 꽃에 가장 많이 함유된 품종은 'Pilgrim' 이었고, 대에 가장 많이 함유된 품종은 '1243'으로 700 ppm 이상의 sulforaphane이 존재하였다.

  • PDF

Cr(III)-Tetraaza Macrocyclic Complexes Containing Auxiliary Ligands (Part III);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r(III)-Isothiocyanato, -Azido and -Chloroacetato Macrocyclic Complexes

  • Byun, Jong-Chul;Han, Chung-Hun;Park, Yu-Chul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6권7호
    • /
    • pp.1044-1050
    • /
    • 2005
  • The reaction of cis-[Cr([14]-decane)($OH_2)_2]^+$ ([14]-decane = rac-5,5,7,12,12,14-hexamethyl-1,4,8,11-teraazacyclotetradecane) with auxiliary ligands {$L_a$ = isothiocyanate ($NCS^-$), azide ($N3^-$) or chloroacetate(caa)} leads to a new cis-[Cr([14]-decane)($NCS)_2]ClO_4{\cdot}H_2O$ (1), cis-[Cr([14]-decane)($N_3)_2]ClO_4$ (2) or cis-[Cr([14]-decane)($caa)_2]ClO_4$ (3). These complexes have been characterized by a combination of elemental analysis, conductivity, IR and Vis spectroscopy, mass spectrometry, and X-ray crystallography. Analysis of the crystal structure of cis-[Cr([14]-decane)($NCS)_2]ClO_4{\cdot}H_2O$ reveals that central chromium(III) has a distorted octahedral coordination environment and two $NCS^-$anions are bonded to the chromium(III) ion via the Ndonor atom in the cis positions. The angle $N_{axial}-Cr-N_{axial}$ deviates by 13$^{\circ}$ from the ideal value of 180$^{\circ}$ for a perfect octahedron. The bond angle N-Cr-N between the Cr(III) ion and the two nitrogen atoms of the isothiocyanate ligands is close to 90$^{\circ}$. The bond lengths of Cr-N between the chromium and $NCS^-$groups are 1.964(5) and 2.000(5) $\AA$. They are shorter than those between chromium and nitrogen atoms of the macrocycle. The IR spectra of 1, 2 and 3 display bands at 2073, 1344 and 1684 $cm^{-1}$ attributed to the $NCS^-$, ${N_3}^-$ and caa groups stretching vibrations, respectively.

AITC induces MRP1 expression by protecting against CS/CSE-mediated DJ-1 protein degradation via activation of the DJ-1/Nrf2 axis

  • Xu, Lingling;Wu, Jie;Li, Nini;Jiang, Chengjun;Guo, Yan;Cao, Peng;Wang, Dianlei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4권6호
    • /
    • pp.481-492
    • /
    • 2020
  •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allyl isothiocyanate (AITC) o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d to investigate whether upregulation of multidrug resistance-associated protein 1 (MRP1) associated with the activation of the PARK7 (DJ-1)/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 (Nrf2) axis. Lung function indexes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mice were assessed by lung function detection and H&E staining. The expression levels of Nrf2, MRP1, heme oxygenase-1 (HO-1), and DJ-1 were determined by immunohistochemistry, Western blotting and reverse transcription-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Next, the expression of DJ-1 in human bronchial epithelial (16HBE) cells was silenced by siRNA, and the effect of DJ-1 expression level on cigarette smoke extract (CSE)-stimulated protein degradation and AITC-induced protein expression was examined. The expression of DJ-1, Nrf2, HO-1, and MRP1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wild type model group, while the expression of each protei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administration of AITC. Silencing the expression of DJ-1 in 16HBE cells accelerated CSE-induced protein degradation, and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AITC-induced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Nrf2 and MRP1. The present study describes a novel mechanism by which AITC induces MRP1 expression by protecting against CS/CSE-mediated DJ-1 protein degradation via activation of the DJ-1/Nrf2 axis.

이식형 단백질 전달체로서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블록 공중합체의 합성 및 알부민의 방출 거동 (Synthesis of Methoxy Poly(ethylene glycol)-b-poly($\varepsilon$-caprolactone) Diblock Copolymers and Release Behavior of Albumin for Implantable Protein Carriers)

  • 서광수;전세강;김문석;조선행;이해방;강길선
    • 폴리머
    • /
    • 제28권3호
    • /
    • pp.232-238
    • /
    • 2004
  • 약물 전달체로서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MPEG, methoxypolyethylene glycol)과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카프로탁톤 ($\varepsilon$-CL, $\varepsilon$-caprolactone)으로 구성된 MPEG-PCL 블록 공중합체를 개환중합을 통해 합성하였다. MPEG-PCL의 결정성과 열적특성은 X선 굴절계와 시사주차열량계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모델 단백질로서 알부민 (FITC-BSA, albumin bovine-fluorescein isothiocyanate)과 블록 공중합체를 동결 제분 후, 직접압축 성형방법에 의해 웨이퍼를 제조하였다. 알부민의 방출은 pH 7.4 인산염완충액을 사용하여 37$^{\circ}C$에서 14일 동안 관찰하였다. 알부민의 방출양은 형광분광기를 통하여 FITC의 강도에 의해 결정되었다. 웨이퍼의 형태학적 관찰은 디지털 카메라와 전자주사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알부민의 방출 속도와 초기 burst는 MPEG-PCL 블록 공중합체의 분절 내에서 폴리(에틸렌 글리롤)의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또한 폴리카프로락톤의 분자량이 감소할수록 많은 초기방출과 단축된 방출기간을 보였다.

Paricalcitol attenuates indoxyl sulfate-induced apoptosis through the inhibition of MAPK, Akt, and NF-κB activation in HK-2 cells

  • Park, Jung Sun;Choi, Hoon In;Bae, Eun Hui;Ma, Seong Kwon;Kim, Soo Wan
    •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 /
    • 제34권1호
    • /
    • pp.146-155
    • /
    • 2019
  • Background/Aims: Indoxyl sulfate (IS) is a uremic toxin and an important causative factor in the progression of chronic kidney disease. Recently, paricalcitol (19-nor-1,25-dihydroxyvitamin D2) was shown to exhibit protective effects in kidney injury. Her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aricalcitol treatment on IS-induced renal tubular injury. Methods: The fluorescent dye 2',7'-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was used to measure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following IS administration in human renal proximal tubular epithelial (HK-2) cells. The effects of IS on cell viability were determined using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s and levels of apoptosis-related proteins (Bcl-2-associated protein X [Bax] and B-cell lymphoma 2 [Bcl-2]),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p65, and phosphoryl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and protein kinase B (Akt) were determined by semiquantitative immunoblotting. The promoter activity of $NF-{\kappa}B$ was measured by luciferase assays and apoptosis was determined by f low cytometry of cells stained with f luorescein isothiocyanate-conjugated Annexin V protein. Results: IS treatment increased ROS production, decreased cell viability and induced apoptosis in HK-2 cells. IS treatment increased the expression of apoptosis-related protein Bax, decreased Bcl-2 expression, and activated phosphorylation of MAPK, $NF-{\kappa}B$ p65, and Akt. In contrast, paricalcitol treatment decreased Bax expression, increased Bcl-2 expression, and inhibited phosphorylation of MAPK, $NF-{\kappa}B$ p65, and Akt in HK-2 cells. $NF-{\kappa}B$ promoter activity was increased following IS, administration and was counteracted by pretreatment with paricalcitol. Additionally, flow cytometry analysis revealed that IS-induced apoptosis was attenuated by paricalcitol treatment, which resulted in decreased numbers of fluorescein isothiocyanate-conjugated Annexin V positive cells. Conclusions: Treatment with paricalcitol inhibited IS-induced apoptosis by regulating MAPK, $NF-{\kappa}B$, and Akt signaling pathway in HK-2 cells.

겨자종자와 겨자분의 첨가가 반추위 발효성상과 메탄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stard Seeds and Powder on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Production)

  • 이강연;김경훈;백열창;옥지운;설용주;한기준;박근규;류호태;이상석;전체옥;오영균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1호
    • /
    • pp.25-32
    • /
    • 2013
  • 본 연구는 allyl isothiocyanate를 함유한 겨자종자와 겨자분을 이용하여 반추위 발효성상과 메탄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완충용액과 혼합한 반추위액 30 ml에 겨자종자와 겨자분을 첨가하여 $39^{\circ}C$에서 6, 12, 그리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겨자종자와 겨자분은 각각 0, 3.33, 5.00, 6.67 및 8.34 g/L 첨가하였다. 총 가스 생성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1). 메탄 배출량은 겨자종자를 6.67 g/L 및 8.34 g/L 첨가하였을 때 각각 4.77% 및 11.54% 감소하였다(P<0.05). 겨자분에서는 배양 6시간에 8.34 g/L를 첨가하였을 때를 제외하고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추위 발효성상에 있어, pH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모든 처리구에서 낮게 나타났다(P<0.01). 암모니아의 농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1). 총 휘발성 지방산 농도는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높았다(P<0.05). 대조구와 비교하여 acetate의 농도는 감소하였고, propionate의 농도는 증가하였다(P<0.05). Acetate와 propionate 변화로 인해 A:P ratio 역시 감소하였다(P<0.05). 본 시험 결과로 보아, allyl isothiocyanate를 함유한 겨자종자를 첨가하였을 때 반추위 발효성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메탄 생성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구연산 첨가에 의한 와사비 페이스트 제품의 저장성 향상 (Shelf Life Extension of Wasabi Paste Products by Addition of Citric Acid)

  • 정은정;이효경;김용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54-360
    • /
    • 2019
  • 와사비 페이스트의 저장성 향상을 위하여 구연산을 농도별로 첨가하고 저장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가스발생량 및 ally isothiocyanate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와사비 페이스트의 pH는 구연산 첨가량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CA 0.4%처리구에서 $4.34{\pm}0.0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저장기간 동안 와사비 페이스트의 pH는 4.01-5.19사이로 나타났다. 총산의 함량은 저장 7일까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저장 14일 이후 감소하였다. 와사비 페이스트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구연산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고 저장 28일 후 $25.60-29.50^{\circ}Brix$로 나타났다. 저장기간에 따른 와사비 페이스트의 L값은 감소하였으며, a값과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다. 일반세균수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저장 초기에 $2.56{\pm}0.09{\sim}4.87{\pm}0.17log\;CFU/g$에서 저장 21일 후 CA 0.30%와 CA 0.40% 처리구에서 일반세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효모의 경우 일반세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저장기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CA 0.30%와 CA 0.40%의 경우 저장 초기부터 28일까지 검출되지 않았다. 이로써 와사비 페이스트에 구연산 0.30%이상 첨가하면 미생물의 생장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스발생량은 21일 저장 후 가스 발생량의 증가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저장 28일 후 19.55-19.80 mL/tube로 나타났으며, 구연산 처리농도에 따른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Allyl isothiocyanate 함량은 구연산 처리 농도와 저장기간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CA 0.40% 처리구에서 저장 초기와 28일 후 각각 $45.62{\pm}12.78mg/100g$$29.72{\pm}0.58mg/100g$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 와사비 페이스트에 구연산 0.30%를 첨가하여 제조 시 저장성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와사비 페이스트의 상온유통 시 유통기한 연장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