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ometric

검색결과 845건 처리시간 0.027초

Acetylcholine및 Oxytocin에 의하여 야기되는 렛드 자궁수축에 미치는 Verapamil 및 Tetracaine의 영향 (Effects of Verapamil and Tetracaine on Acetylcholine-and Oxytocin-induced Uterine Contraction Pattern)

  • 이만기;김중영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3-141
    • /
    • 1987
  • Acetylcholine및 oxytocin에 의하여 야기되는 흰쥐의 적출자궁수축을 $Ca^{2+}$ 길항제의 일종인 verapamil및 tetracaine 존재하에서 acetylcholine및 oxytocin에 의한 자궁수축곡선을 4개의 요소 (trough tension, T: peak tension, P; contraction frequency, F: duration, D)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Verapamil $(0.25\;{\mu}M)$은 자발수축을 억제시켰으나 tetracaine$(42\;{\mu}M)$은 자발수축을 억제시키지 못하였다. 이들 길항제의 존재하에서 acetylcholine및 oxytocin에 의하여 야기되는 자궁수축의 각 구성요소에 변화를 관찰하였다. 즉 acetylcholine에 의한 수축에서 verapamil은 P와 D를 감소시켰고 tetracaine은 F를 감소시키고 D를 증가시켰다. oxytocin에 의한 수축에서 verapamil은 P와 D를 감소시켰으나 tetracaine은 oxytocin농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저농도의 oxytocin에 의한 수축에서는 F를 감소시키고 D를 증가시켰으나 고농도의 oxytocin에 의한 수축에서 는 F와 D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P만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acetylcholine및 oxytocin에 의하여 야기되는 수축곡선은 시각적으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작용기전이 다른 $Ca^{2+}$ 길항제에 의하여 acetylcholine및 oxytocin의 수축의 구성요소에 다르게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는 것은 수축곡선의 구성요소의 변화를 면밀히 검토하면 자궁수축제의 수축작용기전이 다름을 예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축억제제에 의한 억제 기전의 차이점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 PDF

국내 복숭아에서 분리한 Prunus necrotic ringspot virus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Prunus necrotic ringspot virus Isolate from Peach in Korea)

  • 김현란;이신호;신일섭;김정희;조강희;허성;김정수;최용문
    • 식물병연구
    • /
    • 제15권3호
    • /
    • pp.170-174
    • /
    • 2009
  • 국내의 복숭아 과수원 중에 충북 음성지역의 유명 품종에서 약한 모자이크증상 잎으로부터 Prunus necrotic ringspot virus (PNRSV)를 분리 동정하였다. 지표식물을 이용한 생물검정에서 Cucumis sativus의 접종 자엽에 원형모양의 반점이 관찰되었으며 상엽으로 전이되어 모자이크와 잎기형 증상을 나타내다가 고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종한 Chenopodium quinoa 접종엽과 상엽에도 모틀증상을 나타내었다. 목본 지표식물 Prunus persica GF305를 활용한 검정에서는 바이러스 감염된 줄기의 눈을 인위적으로 접종한 지 3개월 후에 잎에 라인 패턴의 모자이크 증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인위접종한 Cucumis sativus 잎조직의 세포 검경에서 parenchyma cells과 plasmodesmata 내에 존재하는 구형 바이러스 입자가 관찰되었다. PNRSV의 외피단백질 유전자 분석을 위해 RT-PCR 진단 프라이머와 조건을 설정하고 분석한 결과 675bp 위치에서 특이적으로 증폭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증폭산물을 회수하여 염기서열 분석한 결과 기 보고된 4개의 PNRSV isolate와 93.9~94.7%의 유전적 상동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복숭아 과수원에서 분리한 바이러스주의 생물적 특성과 유전자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Ilarvirus에 속하는 PNRSV인 것으로 최종 동정하였다.

동충하초(冬蟲夏草) 약침(藥鍼)이 백서(白鼠)의 기관지평활근(氣管支平滑筋) 장력(張力)과 염증(炎症) 및 면역(免疫) 반응(反應)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ordyceps militaris Mycelia(CMM) herbal acupuncture at BL13, LU4 on airway smooth muscle, airway inflammation, IgE and Interleukin-4 in mouse model of allergic bronchial asthma)

  • 윤대환;최관준;채우석;나창수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1권2호
    • /
    • pp.111-123
    • /
    • 2004
  • Objectives : It has been reported that Cordyceps militaris Mycelia(CMM) has an effect on deficiency allergic asthma(虛喘) clinical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n appropriate oriental treatment and the doses of CMM to treat asthma. Methods : In order to study the effect of herbal acupuncture solution of the CMM on allergic asthma, the mouse were pretreated by CMM herbal acupuncture at BL13, LU4 before antigen sensitization. 2 days later Mice were actively sensitized with a subcutaneous injection of ovalbumin(OA) and 13 days later they were provoked with OA aerosols. IL-4, lymphocyte, macrophage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BALF), IgE in serum, WBC, RBC, HGB in blood, and in vitro isometric contractile responses of the isolated tracheal smooth muscle(TSM) to acetylcholine$(ACh,\;0.1-1000\;{\mu}M)$, KCl were measured. Results : Contractile responses of TSM to ACh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MM herbal acupuncture 1 group $(Ach\;1000\;{\mu}M)$, CMM herbal acupuncture 2 group $(ACh\;1,\;10\;{\mu}M)$, CMM herbal acupuncture 3 group $(Ach\;0.3,\;1,\;30,\;300\;{\mu}M)$. The sensitivity of TSM to ACh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MM herbal acupuncture 3 group. The maximal contractile response of TSM to ACh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MM herbal acupuncture 1, 3 group. The maximal contractile response of TSM to KC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MM herbal acupuncture 1, 2, 3 group. The counts of lymphocytes in BALF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MM herbal acupuncture 3 group. The counts of macrophages in BALF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MM herbal acupuncture 3 group. Interleukin-4 level in BALF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MM herbal acupuncture 1,3 group. and it was increased in CMM herbal acupuncture 2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ce. Serum IgE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MM herbal acupuncture 1, 2, 3 group. The counts of WBC in bloo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MM herbal acupuncture 1, 3 group Conclusion :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assumed that CMM herbal acupuncture at BL13, LU4 can help the treatment of deficiency allergic Asthm.

  • PDF

바로 누운 자세와 앉은 자세에서 무릎관절 굽힘 각도에 따른 엉덩허리근의 근력과 넙다리곧은근의 근활성도 비교 (Comparing the Muscle Strength of the Iliopsoas with the Muscle Activity of the Rectus Femoris according to Knee Flexion Angles in Supine and Sitting Positions)

  • 박희용;원종혁;정도영;차현규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3-41
    • /
    • 2019
  • Purpose : The muscle strength of iliopsoas (IL) was measured commonly in sitting position with hip and knee flexed 90°. However, there is no study to determine the muscle strength of IL in various test posi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uscle strength of IL and muscle activity of rectus femoris (RF) according to test position and knee flexion angle. Methods : Twenty healthy subject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muscle strength of IL and muscle activity of RF were measured by hand-held dynamometer and surface electromyography during 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of IL, respectively. The muscle strength of IL and muscle activity of RF was measured in 4 conditions as follows; 1) knee flexion angles 90 ° in supine, 2) 130 ° in supine position, 3) 90 ° in sitting, 4) 130 ° in sitting. Each condition were performed randomly by three repetitions. Results : The muscle strength of the IL was the main effect on the test position and knee flexion angle (p<.05), and the muscle activity of RF was the main effect only on the knee flexion angle (p<.05). There was also no interaction between the factors (p>.05). In supine position, the muscle strength of IL in knee flexion 130 °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in knee flexion 90 ° (p<.0125). In knee flexion 90 °, the muscle strength of IL in supine position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in sitting position (p<.0125). The muscle activity of RF in knee flexion 130 °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in knee flexion 90 ° in supine and sitting positions (p<.0125). Conclusion : When the muscle strength of IL was measured in clinic and sports fields, the supine position with knee flexion 130 ° was recommended to prevent the muscle activation of RF and to maintain the trunk stability.

호흡기,소화기계 감염환자로부터 전염성 바이러스 분리 및 특성

  • 조경순
    • 한국생명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명과학회 2000년도 제30회 학술심포지엄
    • /
    • pp.20-26
    • /
    • 2000
  • 호흡기계 및 소화기계에 감염된 전염성 바이러스에 대한 역학적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1999년 1월부터 12월까지 부산지역에서 분리된 전염성 바이러스의 특징과 계절적 발생추이, 환자의 성별, 연령별 발생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999년도 바이러스 가검물 2261건에서 분리한 호흡기계감염 바이러스 279건과 소화기계 감염 바이러스 83주를 분리하였으며, 이중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형이 96주(29.6%), B형이 107주(33.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2. 1999년의 바이러스 분리의 성별 분포는 총 360명의 환자 중 179명(49.7%)의 남성 및 181명(50.3%)의 여성으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중 호흡기계의 경우 279명의 감염환자 중 남성이 130명(46.6%), 여성이 149명(53.4%)으로 여성의 감염율이 비교적 높았으나, 소화기계의 경우 83명의 감염환자 중 남성이 51명(61.4%), 여성이 32명(38.5%)으로 남성의 감염율이 거의 2배정도 높게 나타났다. 3. 1999년의 연령별 분포는 10세 이하의 어린이가 194명(59.9%)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이중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99명(30.6%)으로 가장 높은 감염을을 나타내었다 유행성이하선염 바이러스의 감염어린이 중에 $l1{\sim}15$세의 연령층이 15명으로(53.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1999년 월별 감염율은 호흡기계 감염증 바이러스의 경우 1월부터 4월까지, 그리고 12월에 증가 추세를 보이면서 4월에 가장 높은 감염율을 나타내었다 소화기계 감염증 바이러스의 경우 9, 10, 11월을 제외한 모든 월별에 관찰되었으며, echo와 coxsackie 바이러스는 무균성 수막염 환자에서 하절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동절기에 유행하는 설사 바이러스는 12월에 비교적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5.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MDCK 세포에서, 아데노 바이러스와 유행성 이하선염 바이러스는 HEp-2 세포에서,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Vero 세포에서, 그리고 echo, coxsackie B 바이러스와 장내 바이러스는 HEp-2, Vero, BGM 세포에서 뚜렷한 세포병변 효과를 나타내었다. 6. 분리한 바이러스는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형(HINI, H3N2)은 95nm, B 형은 70nm크기의 구형을 나타내었으며, 바이러스표면의 지질 이중층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아데노 바이러스는 외피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nucleocapsid는 symmetry이고 크기는 71nm로서 바이러스 입자 표면에 icosaheral capsomer의 배열이 명확하게 관찰되었고,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유행성 이하선염 바이러스는 외피가 있는 구형의 큰 viron으로180, 170nm 크기이었다. 7. Echo와 coxsackie B group 바이러스는 모두 외피가 없는 isometric 형으로 크기는 $30{\sim}45nm$ 이었고, enteric adeno 바이러스는 84nm 크기로서 외피가 없고, 입자 표면에 capsomer의 배열이 명확하게 관찰되었고, rotavirus는 크기가 70nm이며 외층 capsid 단백질과 내층 capsid 단백질이 두층으로 되어 있는 전형적인 수레바퀴 모양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호흡기계 및 소화기계에 감염되는 전염성 바이러스는 연중 지속적으로 분리되고 있으며 전염성이 강하여 집단 발생은 일으키는 경우도 많고 최근 들어 유행성 이하선염과 흥역 바이러스의 발생률이 높은 추이를 나타내고 있지만 아직은 특이한 바이러스 치료제가 개발되어 있지 않았으므로 지속적인 대책과 아울러 장기적인 발생 가능에 대한 예방책을 흥보하여야 할 것으로 보이며 계속적인 바이러스성 전염병 유행예측조사 및 역학조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2000-2002년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의 발생양상 및 특성 (Isolation of Enterovirus Causing Aseptic Meningitis in Busan, 2000-2002 Years)

  • 조경순;정명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48-252
    • /
    • 2003
  • 2000년~2002년 사이 부산지역의 병의원으로부터 의뢰된 바이러스성 뇌수막염 환자로 의심되는 환자의 가검물을 대상으로 바이러스 분리를 시도한 결과 2000년에는 검체 292건 중 2건, 2001년에는 371건 중 4건, 2002년에는 703건 중 83건의 장내바이러스를 분리하였다. 2000년에 분리된 원인 바이러스의 경우 echovirus 11 혈청형과 coxsackievirus B2 혈청형이, 2001년에는 coxsackievirus B5 혈청형만이 분리되었으며, 2002년에는 echovirus 2, 3, 6, 7, 9, 13, 25, 30 혈청형이 70건으로 가장 많았고, coxsackievirus B3과 B4 혈청형이 10건으로 예전에 비해 보다 다양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월별발생 양상은 2000년에는 동절기인 12월과 1월에, 2001년에는 5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으며, 2002년에는 4월부터 11월까지 넓은 발생 분포를 나타내었지만 특히 6월과 7월에 가장 발생율이 높았다. Echovirus와 coxsackievirus는 Vero와 HEp-2 세포주에서 강한 병변 효과를 나타내었다.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echovirus 및 coxsackievirus의 형태학적 양상은 모두 envelope가 없고 크기가 30~35 nm로 아주 작은 구형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세포병변 효과가 나타난 세포배양액에 대하여 nested PCR을 수행한 결과 echovirus 및 coxsackievirus 모두 436 bp 위치에 단일띠를 나타내었으며, serotype은 국립보건원 소화기계바이러스과에 의뢰하여 확인 동정하였다.

Kinesio taping이 근력, 혈중 피로물질 및 근 손상 물질 농도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inesio Taping on Muscle Strength Improvement, Blood Fatigue Factors, Muscle Fatigue and Damage Index)

  • 이민선;백일영;곽이섭;노희태;진화은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70-87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kinesio taping 적용이 근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직 간접적으로 관찰함으로써 운동 수행시의 상해예방 및 수행력 향상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taping 요법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근력 향상의 정도를 직접적으로 관찰하기 위하여 1RM test와 Cybex test를 실시하였으며, 생리학적 변인으로는 CK, LDH, phosphorus, ammonia, creatinine, IGF-I의 6가지 혈중 성분을 분석함으로써 피로와 근 손상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kinesio taping은 근력향상의 직접적인 지표(1RM, 등속성 운동능력)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했지만, 85%-1RM의 웨이트트레이닝 시의 근 피로 또는 근 손상 지표물질의 농도는 유의하게 감소시키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만을 가지고 taping의 적용이 피로 및 근 손상 완화 효과가 없다고 판단할 수는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왜냐하면, 본 연구에서의 피로 및 근 손상 유발 수단인 85%-1RM 웨이트트레이닝은 고강도의 운동이며 운동에 소요된 시간도 40분 정도로 장시간이지만 다양한 근육부위에 적은 반복수와 set를 적용하였기 때문에 피로 및 근 손상 지표물질의 축적이 현저하지 않았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taping 적용 후 나타난 여러 혈중성분들의 감소(Creatinine 제외) 경향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실제로 선행 연구 중 특정 대근육에 대한 반복적인 운동에 kinesio taping을 적용하여 피로 및 근 손상 완화를 입증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특정 동작에 있어서의 근력 향상을 중점적으로 관찰한 연구가 아닌, 전신에 대한 taping을 적용한 후 각 근육 부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다양한 관점에서 관찰하였다는 데 있다. 이후의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관찰한 변인들 이외에도 신경계통의 변인들과의 상관관계도 함께 관찰 하는 통합적인 연구도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후박(厚朴)과 토후박(土厚朴)의 소장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he Effects of Magnoliae officinalis Cortex and Machili thunbergii Cortex on Small Intestinal Motility)

  • 이경진;박근용;박규하;류광현;김태완;함인혜;부영민;최호영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75-81
    • /
    • 2011
  • Objectives : Magnoliae officinalis Cortex (MOC)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for digestive diseases in Korea, China and Japan. However, Machili thunbergii Cortex (MTC) also has been used as a substitute of MOC in Korea sometimes. Thu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effects of MOC and MTC on intestinal motility of isolated small intestinal segments from ICR mouse. Methods : Changes in motility were recorded via isometric transducers connected to a data acquisition system and amplitude, frequency and area under the curve (AUC) of intestinal spontaneous phasic contraction were compared. Results : The MOC extracts ($1{\sim}{\mu}g/mL$) dose-dependently decreased both amplitudes and frequencies of the spontaneous phasic contraction, but not AUC. However, high concentration of MOC (100 ${\mu}g$/mL) evoked tonic contraction. And it was not inhibited by tetrodotoxin, a sodium channel blocker, and nifedipine, a L-type $Ca^{2+}$ channel antagonis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OC (100 ${\mu}g$/mL)-induced tonic contraction is not mediated by nerve or L-type $Ca^{2+}$ channel. On the other hand, the MTC extracts dose-dependently inhibited amplitude and AUC, but not the frequency. Conclusions : Although both MOC and MTC affected intestinal motility, MOC is more effective on intestinal motility than MTC. And MOC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for a long time but not MTC. Thus, we suggested that MTC should not be used in Korea as a substitute of MOC and MOC might be useful traditional medicine for gastrointestinal disease. The mechanism of MOC is still remained to elucidate.

요부 안정화 운동에 따른 몸통 근육들의 근활성도 비교 (The Comparison of Trunk Muscle Activities During Sling and Mat Exercise)

  • 최희수;권오윤;이충휘;전혜선;오재섭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ost effective spinal stabilization exercises program by comparing the activities of muscles contributing to spinal stabilization during four types of exercises using a sling and a mat. Twenty healthy males were recruited and each subjects performed four types of exercises. Exercise 1 was performed in a quadruped position with the subjects lifting the left arm and the opposite leg on the mat. Exercise 2 was performed in a prone position while holding a sling with the right hand and the left knee was fully extended while lifting the left arm and right leg. Exercise 3 was performed in quadruped position while holding a sling with one the right hand and lifting the opposite arm and leg. In exercise 4, subjects were instructed to maintain a balance push-up position while holding slings with both hands in 10 cm forward reaching with extended elbows. Electromyographic(EMG) activities were recorded from the multifidus, external oblique, internal oblique, abdominal rectus, and erector spinalis muscles during the exercises. The EMG amplitude of each muscle was normalized to the amplitude in the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of each muscle. Repeated ANOVA and Bonferroni's tests were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the types of exercise. The EMG amplitudes of all the musc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exercises (p<.05). The highest EMG activities of each muscle was as follow; multifidus was 73.38%MVIC in exercise 3, the erector spinalis was 40.03%MVIC in exercise 3, the external oblique was 135.88%MVIC in exercise 4, the internal oblique was 128.60%MVIC in exercise 4, and the rectus abdominalis was 95.24%MVIC in Exercise 4. The types of exercis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osition rate of EMG amplitudes of each muscle (p<.05). EMG composition rate of the multifidus was high in exercise 1 and 3. However, EMG composition rates of the external oblique, internal oblique, and the rectus abdominals were high in exercise 2 and 4. These results showed differences in EMG activities of muscles contributing to trunk stabilization during different therapeutic exercises. Therefore, the type of exercise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to effectively strengthen a specific trunk stabilizer.

  • PDF

2001∼2003년 유행성 눈병환자로부터 원인바이러스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rterization of Causing Viruses from Acute Conjunctivitis Patients During Year 2001 to 2003.)

  • 조경순;최성화;김성준;한난숙;김현찬;이윤석;박선미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20-626
    • /
    • 2004
  • 2001년부터 2003년까지 3년간 부산지역의 안과 병ㆍ의원으로부터 채취한 급성 바이러스성 결막염 환자의 가검물 675 건을 대상으로 유행한 눈병 원인 바이러스의 분리 결과, 유행성각결막염의 원인바이러스인 Adenovirus 8ㆍ37형, 급성 출혈성결막염(아폴로눈병)의 원인바이러스인 Coxsackievirus A24ㆍB3형, Echovirus 6ㆍ7형을 분리하였고 인두결막열을 일으키는 Adenovirus 3ㆍ4형을 분리하였으며 Coxsackievirus A24는 2002년 아폴로눈병의 대유행과 관련하여 2002 년 8월 국내 최초로 분리하였다. 2002년과 2003년에 분리된 Coxsackievirus B3와 Echovirus 6은 지금까지 뇌수막염을 유발시키는 원인바이러스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눈병환자에서의 분리된 것은 특징적이었다. 월별 발생양상은 주로 하절기에 집중적으로 분포하였고, 2003년에는 4월과 10월에도 높은 발생율을 보였다. 연령별 발생분포도는 10대에서 50대까지 높은 발생율을 나타내었고 유아와 60대 이상에서도 발생하였고 남녀 발생비는 1.2ㆍ1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