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ocyanate resin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18초

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Roof Tile Prepared from Sugar Cane Fiber

  • Wong on, Jessada;Surin, Prayoon;Apawet, Chaiyaprek;Eidhed, Krittee;montra, Sunate;Aumkongthum, Kaichai;Thumsorn, Supaphor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3권1호
    • /
    • pp.86-89
    • /
    • 2015
  • Sugar cane, renewable fiber resources, were used for roof tile production. Urea formaldehyde, phenol formaldehyde and isocyanate resin were used as binders in this study. Roof tile specimens with 400 mm wide, 400 mm long and 5 mm thick were prepared by compression molding.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pecimens were analyzed by water absorption, thickness swelling, thermal conductivity, density, modulus of rupture and modulus of elasticity. From the results, water absorption at 1 and 24 hours was 19-47 % and 38-57 %, respectively. Thickness swell at 24 hours was 15-29%. Thermal conductivity was 0.016, 0.017 and 0.019 W/m.K when using isocyanate, urea formaldehyde and phenol formaldehyde, respectively. Density of the specimens was 770-860 kg/m3. Modulus of rapture was 255-280 MPa. Modulus of elasticity was 5.1-7.6 GPa.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pecimens indicated that they would be applied for roof tile and construction.

Multi Acrylate기를 갖는 Polydimethylsiloxane 변성 Urea 코팅 액의 제조와 그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Polydimethylsiloxane Modified Urea with Multi Acrylate Group Coating Materials)

  • 박승우;강호종;강두환
    • 폴리머
    • /
    • 제38권6호
    • /
    • pp.720-725
    • /
    • 2014
  • Hydride terminated polydimethylsiloxane과 allyl amine을 hydrosilylation 반응으로 aminopropylpoly-dimethylsiloxane을 합성하고, 이를 hexamethylenediisocyanate(HDI)의 고리화 반응으로 제조된 cyclic HDI trimer와 반응시켜 urea결합으로 결합된 polydimethylsiloxane 변성 urea을 제조하였다. Polydimethylsiloxane 변성 urea의 말단에 있는 isocyante기와 2-hydroxyethylmethacrylate를 반응시켜 말단에 multi acrylate기가 도입된 polydimethylsiloxane 변성 urea/acrylate(PUA)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화합물의 구조를 FTIR, $^1H$ NMR로 확인하였으며, PUA에 아크릴계 단량체, 광 개시제, 용매 등을 여러 가지 조성비로 혼합하여 코팅 액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PET 필름에 도포하고 UV을 조사하여 고경도의 유연성을 갖는 코팅 막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코팅 막의 연필 경도는 3H, 접촉각은 $82^{\circ}$, bendability는 $7{\phi}$까지 scratch가 발생하지 않았다.

카르복시메틸화된 폴리아민-폴리우레아 수지관에 의한 3가와 6가 크롬의 분리 (Separation of Chromium(III) and Chromium(VI) by Carboxymethylated Polyamine-Polyurea Resin Column)

  • 정용순;이강우;황종연;이용문
    • 분석과학
    • /
    • 제7권2호
    • /
    • pp.205-211
    • /
    • 1994
  • 아세트산과 숙신산이 결합된 폴리아민-폴리우레아(CPPI와 SAPPI) 수지는 폴리에틸렌이민-폴리메틸렌폴리페닐렌 이소시안에이트(PPI) 고분자와 클로로 아세트산 또는 클로로 숙신산의 반응으로 각각 합성되었다. 이 수지들은 적외선 분광광도법 및 원소분석법으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이 수지들에 대한 3가와 6가 크롬의 흡착특성은 용액의 pH를 변화시키면서 뱃치법에 의하여 분포계수($K_d$)를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3가와 6가 크롬은 이온교환반응으로 폴리아민-폴리우레아 수지에 흡착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들의 최적 분리조건을 발견하고, 단지 pH를 변화시키는 단계적 용리법에 의하여 이들의 SAPPI 수지관(내경 0.6cm, 길이 10cm)으로 분리하였다. 또한 6가 크롬은 CPPI 수지관에 의하여 50배의 농축인자로 농축할 수 있다.

  • PDF

목재 단판-대나무 제퍼 복합보드 제조: II. 복합보드의 성능에 미치는 제조조건의 영향 (Manufacture of Wood Veneer-Bamboo Zephyr Composite Board: II. Effect of Manufacturing Conditions on Properties of Composite Board)

  • 노정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108-117
    • /
    • 2007
  • 생장 기간이 매우 빠르고 섬유방향의 강도적 성질이 우수한 대나무를 합판의 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케루잉단판-솜대 zephyr 복합 패널(WBCB)의 제조 조건(수지접착제의 종류, 도포량, 도포방법)이 패널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수지의 종류에 따른 5-ply WBCB의 성능은 폴리메릭 이소시아네이트수지(PMDI)가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이어 페놀수지(PF), 페놀 멜라민수지, 요소 멜라민수지 및 요소수지의 순이었다. 사용한 수지 중 강도적 측면과 작업성을 고려할 때 PF 수지에 의한 복합 패널 제조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생각된다. PF수지를 사용하여 제조한 12 mm 두께의 5-ply WBCB의 경우, 수지의 도포량이 증가하면 패널의 성능도 향상되는 경향이었다. 또한 박리강도 측정 후의 파괴양상은 도포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나무 외층-대나무 내층 경계층의 파괴가 증가한 데 반하여 대나무 제퍼 내부층의 파괴는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WBCB 제조시 수지가 다소 zephyr 내부까지 침투할 정도의 수지 도포량이 적절한 것으로 생각되며, 표면 단판의 오염성과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320g/m^2$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동일한 PF수지 도포량에서 수지의 도포방법을 달리하여 제조한 5-ply 복합 패널의 성능은 양면과 편면 스프레이 도포 간과 스프레이와 롤러에 의한 도포방법 간에 현저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주어진 환경에서 작업성이 좋은 도포방법을 채택하면 될 것으로 생각된다.

피로포스포릭 락톤 변성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한 폴리우레탄 난연도료의 물성 및 난연효과 (Physical Properties and Flame Retardant Effects of Polyurethane Coatings Containing Pyrophosphoric Lactone Modified Polyesters)

  • 정충호;최용호;박홍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03-211
    • /
    • 2000
  • Pyrophosphoric lactone modified polyester(PATT) that contains two phosphorous functional groups in one unit base resin structure was synthesized to prepare a non-toxic reactive flame retardant coatings. Then the PATT was cured at room temperature with isocyanate, Desmodur IL, to get a two-component polyurethane flame retardant coatings(PIPUC). Compa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lms of PIPUC with the film of non-flame retardant coatings, there was no degradation observed in physical properties by the introduction of a flame-retarding component into the resin. We found that the char lengths measured by $45^{\circ}$Meckel burner method were $3.1{\sim}4.4cm$ and LOI values recorded $27{\sim}30%$.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atings prepared in this study is good flame retardant one. The surface structure of coatings investigated with SEM does not show any defects and phase separation.

폴리우레탄으로 개질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강인성 (Toughness of Polyurethane-Modified Unsaturated Polyester Resin)

  • 황영근;민경은;최관영;김우식;이동호;박이순;서관호;강인규;전일련
    • 폴리머
    • /
    • 제25권1호
    • /
    • pp.71-77
    • /
    • 2001
  •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nsaturated polyester,UP)는 대표적인 열경화성 수지로 점도가 낮아 다양한 복합재료 공정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어 범용 복합재료 수지로 많이 쓰이고 있다. 그러나 UP는 경화 후 부피가 5-8%정도 감소하고 알칼리에 약하며 brittle하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첨가제와의 블렌딩을 통하여 해결하려는 연구들이 수행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UP말단에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을 도입하여 강인성을 향상시키고 이때 폴리우레탄의 soft segment인 폴리올이 UP/PU 고분자 네트워크 혼합체의 강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UP 말단 히드록실기에 메틸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diisocyanate, MDI)를 먼저 반응시킴으로써 PU를 UP말단에 도입할 수 있었다. UP에 대한 PU의 함량이 2 wt%일 때가 가장 높은 강인성 값을 보였다. 이는 UP와 PU의 결합에 의한 효과이며 그 이상일 때 강인성 값들이 감소하는 것은 미반응물로 존재하는 폴리올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폴리올의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분자의 움직임이 떨어지게 되어 충분히 반응에 참여하지 못하기 때문에 강인성 값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crylate기를 갖는 Polydimethylsiloxane계 코팅 액의 제조와 그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Coating Materials of Polydimethylsiloxane with Acrylate Groups)

  • 박승우;강호종;강두환
    • 폴리머
    • /
    • 제38권2호
    • /
    • pp.138-143
    • /
    • 2014
  • ${\alpha},{\omega}$-Hydroxypropyl기를 갖는 polydimethylsiloxane을 합성하고 이를 hexamethylenediisocyanate(HDI)의 고리화 반응으로 제조된 HDI trimer와 반응시켜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 기를 갖는 PDMS 변성 urethane(PSU)을 제조하였다.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PSU와 2-hydroxyethylmethacrylate를 urethane 반응으로 acrylate기를 갖는 PDMS 변성 urethane base 수지(PSUA)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FTIR, NMR로 구조를 확인하여 분석하였다. 제조한 base 수지에 아크릴계 경화제, 광 개시제, 용매들을 혼합하여 코팅 액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PET 필름에 도포하고 자외선으로 조사하여 고경도의 유연성을 갖는 코팅 막을 얻었다. 얻어진 코팅 막의 광 투과도는 89.7%, 연필경도는 3H, 접촉각은 $88^{\circ}$였다.

자외선 촉진 내후성 시험에 의한 EPDM Chip을 사용한 탄성포장의 색차분석 (Examination of Color Difference in Elastic Pavement that uses EPDM Chip using Ultraviolet Ray Accelerated Weathering Test)

  • 홍창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1D호
    • /
    • pp.91-98
    • /
    • 2011
  • 최근에 들어 보도나 산책로, 공원 등에 주로 사용되었던 보도블록 및 투수콘크리트 대신 합성고무칩(EPDM Chip)을 사용한 탄성포장이 보행시 충격흡수와 다양한 칼라와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어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자외선에 노출시 합성고무칩의 탄성력, 내구성 등이 저하되고, 황변현상으로 다양한 색상에 의한 경관포장의 기능이 저하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에 노출 시 탄성포장의 주재료인 합성고무칩과 폴리우레탄수지의 색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자외선 촉진 내후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색차계를 이용하여 색공간의 색 수치좌표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색차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기존에 주로 사용되는 BL 폴리우레탄수지의 색변화가 합성고무칩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BC 폴리우레탄수지의 총색차 ${\Delta}E$가 촉진재령 14일에서 3.162로 BL 폴리우레탄수지의 20.639에 비해 6배 정도 자외선에 대한 색변화 저항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합성고무칩을 사용하는 탄성포장에서 폴리머 제조시 이소시아네이트를 HMDI로 사용하여 체인형 분자구조를 갖도록 제조된 BC 폴리우레탄수지를 바인더로 사용하는 것이 자외선에 의한 색변화를 억제하는데 매우 효율적인 방법으로 나타났다.

환경 친화형 하이솔리드 아크릴수지의 합성과 아크릴 우레탄 도료의 경화 특성 (Synthesis of Eco-Friendly High Solid Acrylic Resins and Curing Properties of Acrylic Urethane Resin Coatings)

  • 김진욱;이동찬;최중소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5호
    • /
    • pp.586-59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n-butyl acrylate (BA), methyl methacrylate (MMA), 2-hydroxypropyl methacrylate (HPMA) 및 acetoacetoxyethyl methacrylate(AAEM) 단량체를 부가 중합시켜 고형분이 75%인 아크릴수지를 합성하였다. 이때, 아크릴수지의 유리전이온도($T_g$)를 20, 30, $40^{\circ}C$로, 수산기가(OH value)를 60, 90, 120으로 변화시켰다. 그 결과, 아크릴수지의 점성도는 $T_g$와 수산기가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합성된 아크릴수지는 높은 가교밀도를 갖도록 설계되어 고탄력성과 고내구성을 유지하였다. 가교된 아크릴수지는 블록이소시아네이트(Desmodur BL-3175)와 경화 반응시켜 아크릴 우레탄 투명 도료를 제조하는데 사용되었다. 도료에 대하여 점성도, 접착성, 연필경도 및 $60^{\circ}$ 경면광택도 등의 측정을 통해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아크릴 우레탄 투명 도료는 코일코팅용 상도 도료로서 적용되기 위하여 시편으로 제조되어 다양한 특성이 평가되었다. 제조된 도료는 접착력이 뛰어났고, $60^{\circ}$ 경면광택도와 연필경도에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환경 친화적이었다.

폴리우레탄폼의 흡음율에 대한 첨가제의 영향 (The Effect of Additives on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of Polyurethane Foam)

  • 박남국;김영철;박종래
    • 공업화학
    • /
    • 제8권2호
    • /
    • pp.197-203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폴리우레탄폼 제조시 사용되는 첨가제가 폴리우레탄폼의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수지는 KONIX FA-703 폴리에테르폴리올(80%)과, KONIX FA-733 폴리에테르폴리올(20%)에 촉매, 계면활성제, 가교제 등을 혼합하여 제조하였으며, 이 수지에 이소시아네이트(TDI-80, prepolymer M-200, pure MDI)를 당량비로 첨가하여 발포시킨 폼을 상온에서 72시간 경화시킨 후 물성측정에 사용하였다. 폴리우레탄폼의 기계적 물성은 밀도,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장율, 흡음율 및 gel profile을 조사함으로써 측정하였고, 셀 크기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영향은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흡음율은 셀의 크기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었으며, 계면활성제(L-5309)의 사용량에 따른 인장강도, 인열강도 및 흡음율 등 기계적 물성은 1.0pphp 까지는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점차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