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chemic brain

검색결과 508건 처리시간 0.036초

조구등이 MCAO 모델 흰쥐에서 gliosis 억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Water Extract of Uncariae Ramulus et Uncus on Gliosis in the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MCAO) Rats)

  • 김상우;김선애;송봉근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763-774
    • /
    • 2010
  • Objectives : In condition of brain infarction, irreversible axon damage occurs in central nerve system(CNS), because gliosis becomes physical and mechanical barrier to axonal regeneration. Reactive gliosis induced by ischemic injury such as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is involved with up-regulation of GFAP and CD81.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Uncariae Ramulus et Uncus on CD81 and GFAP expression in the rat brain following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ethods : In order to study ischemic injuries on brain, infarction was induced by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MCAO) using insertion of a single nylon thread, through the internal carotid artery, into a middle cerebral artery. Cresyl violet staining, cerebral infarction size measurement, immunohistochemistry and microscopic examination were used to detect the expression of CD81 and GFAP and the effect on the infarct size and pyramidal cell death in the brain of the rat with cerebral infarction induced by MCAO. Results :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Measuring the size of cerebral infartion induced by MCAO in the rat after injection of Uncariae Ramulus et Uncus showed the size was decreased. 2. Intravenous injection of Uncariae Ramulus et Uncus showed pyramidal cell death protection in the hippocampus in the MCAO rat. 3. Water extract injection of Uncariae Ramulus et Uncus decreased GFAP expression significantly in the MCAO rat. 4. Uncariae Ramulus et Uncus water extract decreased CD81 expression in the MCAO rat. 5. The administration of water extract of Uncariae Ramulus et Uncus induced up-regulation of c-Fos expression significantly compared with MCAO. 6. The admistration of water extract of Uncariae Ramulus et Uncus increased ERK expression significantly compared with MCAO. Conclusion : We observed that Uncariae Ramulus et Uncus could suppress the reactive gliosis, which disturbs the axonal regeneration in the brain of the rat with cerebral infaction after MCAO by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CD81 and GFAP. The effect may be modulated by the up-regulation of c-Fos and ERK.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cariae Ramulus et Uncus can be a candidate to regenerate CNS injury.

Successful surgical intervention in traumatic carotid artery thrombosis after a motor vehicle accident: a case report

  • Gorkem Yigit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6권1호
    • /
    • pp.49-52
    • /
    • 2023
  • Blunt carotid artery injury can lead to impaired brain perfusion due to ischemic stroke and thromboembolic events. To reduce the risk of potential neurological complications, it is critical to determine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protocol as quickly as possible after a detailed clinical examination. This report presents successful surgical treatment of a young male patient who developed a traumatic left common carotid artery thrombosis after a motor vehicle accident.

중증 외상성 뇌부종 환자에서 양측 전두-측두부 감압적 개두술의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Bifrontotemporal Decompressive Craniectomy in the Treatment of Severe Refractory Posttraumatic Brain Swelling)

  • 신형식;김진용;김태홍;황용순;김상진;박상근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9호
    • /
    • pp.1179-1183
    • /
    • 2000
  • Objective : The treatment of malignant posttraumatic brain swelling remains a frustrating endeavor for neurosurgeon. Mortality and morbidity rates remain high depite advances in medical treatment of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If conventional therapy fails in patients suffering from intracranial hypertension, there is only small number of second-tier option left including decompressive craniectomy. The role of decompressive craniectomy in posttraumatic brain swelling remains controversial. We assessed the efficacy and indications of decompressive craniectomy. Methods : The authors performed decompressive bifrontotemporal craniectomy in 22 patients with malignant posttraumatic brain swelling. Epidural pressure monotoring was performed in all patients. The clnical data and surgical outcome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 : The favorable outcome(GOS score 4-5) was 59%(13 of 22 patients), whereas the mortality rate was 32% (7 of 22 patients). Two patients(9%) remained in severely disabled state. Increased rate of favorable outcome was seen in the patients who had 8 or more of GCS score at admission and exhibited B wave in ICP monitoring and who showed steady state or slow deterioration in clinical course. Conclusion : If conservative therapy fails, decompressive bifrontotemporal craniectomy should be considered in the management of malignant posttraumatic brain swelling before irreversible ischemic brain damage occur.

  • PDF

Investigation of a Photothrombosis Inducing System for an Observation of Transient Variations in an in vivo Rat Brain

  • Oh, Sung Suk;Park, Hye Jin;Min, Han Sol;Kim, Sang Dong;Bae, Seung Kuk;Kim, Jun Sik;Ryu, Rae-Hyung;Kim, Jong Chul;Kim, Sang Hyun;Lee, Seong-jun;Kang, Bong Keun;Choi, Jong-ryul;Sohn, Jeong-woo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2권6호
    • /
    • pp.499-507
    • /
    • 2018
  • For the spatiotemporally aligned observation of photothrombosis induction and transient variations of in vivo brain stroke, we developed a novel photothrombosis inducing system compatible to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ystem using nonmagnetic stereotaxic equipment. From the spatial point of view, the system provides a more reliable level of reproducibility of the photothrombosis in each brain. From the temporal point of view, from T1- and T2-weighted in vivo MR (magnetic resonance) images, the transient variations such as incidence, location, and size of the thrombosis are measured quantitatively. In addition, the final variation is observed in the ex vivo brain by TTC (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staining based on histological assay and utilized for the verification of the MR images. From the experimental result of the rat brain, the proposed system shows more reliable characteristics for transient variations of brain strokes.

신생 백서의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에서 NMDA receptor 조절을 통한 유전자 재조합 인 에리스로포이에틴의 신경보호 (Neuroprotection of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 Via Modulation of N-methyl-D-aspartate Receptors in Neonatal Rats with Hypoxic-ischemic Brain Injury)

  • 장윤정;서억수;김우택
    • Neonatal Medicine
    • /
    • 제16권2호
    • /
    • pp.221-233
    • /
    • 2009
  • 목 적 : 신장에서 분비되어 적혈구를 생산하는 빈혈제로 알려진 에리스로포이에틴(Erythropoietin, EPO)은 단순히 피를 만드는 조혈기능 뿐 아니라 최근 신경계 보호 및 신경강화 효과가 있다고 발표되고 있지만 주산기 가사로 인한 저산소성 허혈성 뇌병증의 치료제로서 그 기전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저자들은 유전자 재조합 인 에리스로포이에틴(recombinant Human EPO, rHuEPO)을 이용하여 주산기 저산소성 허혈성 뇌병증의 치료제로서 N-methyl-D-aspartate (NMDA) 수용체와 관련된 흥분성 독성작용을 통한 조절 등 그 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재태기간 19일된 태아 백서의 대뇌피질 세포를 배양하여 정상산소군은 5% $CO_2$ 배양기(95% air, 5% $CO_2$)에 두었고, 저산소군과 농도별 뇌손상 전 rHuEPO 투여군(1, 10, 100 IU/mL)은 1% $O_2$ 배양기(94% $N_2$, 5% $CO_2$)에서 6시간 동안 뇌세포손상을 유도하였다. 세포성장과 생존력을 평가하기 위해 MTT 실험을 시행하였다. 동물 모델에서는 생후 7일된 신생백서의 좌측 총 경동맥을 결찰한 후 6개 군; 정상산소군, sham-operated군, 저산소-허헐성군, 저산소-허헐성+vehicle군, 저산소-허헐성 손상 전 rHuEPO 투여군, 저산소-허헐성 손상 후 rHuEPO 투여군으로 나누었고, 저산소-허헐성 손상은 특별히 제작한 통속에서 2시간 동안 8% $O_2$ (8% $O_2$, 92% $N_2$)에 노출시켰다. rHuEPO은 뇌손상 전후 30분에 체중 kg당 1000 IU를 투여하였고, 저산소-허헐성 손상 후 7일째 조직을 실험하였다. 적출한 조직으로 H&E 염색을 하여 뇌손상을 형태학적으로 관찰하였다. 세포배양 및 동물실험에서 NMDA 수용체의 아단위인 NR1, NR2A, NR2B, NR2C, NR2D를 이용하여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실시하였다. 결 과 : 저산소군에서 세포 생존률은 정상산소군보다 60% 감소하였으며, rHuEPO 투여군(1, 10 IU/mL)은 80% 증가하였다. rHuEPO 투여군(100 IU/mL)은 회복되지 않았다. 우측 반구 대비 좌측 반구의 범위는 정상산소군 98.9%, sham-operated군 99.1%, 저산소-허헐성군 57.1%, 저산소-허헐성+vehicle군 57.0%, 저산소-허헐성 손상 전 rHuEPO 투여군 87.6%, 저산소-허헐성 손상 후 rHuEPO 투여군 91.6%으로 나타났다. NMDA 수용체의 아단위 생체외 실험에서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의 결과 NMDA 수용체 아단위 mRNA의 발현은 rHuEPO 투여군에서 저산소군보다 모두 증가하였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rHuEPO은 흥분성 독성작용과 관련되어 NMDA 수용체를 조절하면서 저산소성 허헐성 뇌손상을 보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척추 신경의 허혈성 손상 예방을 위한 허혈성 전처치의 효과 (Effect of Ischemic Preconditioning for Preventing Ischemic Injury of the Spinal Cord)

  • 홍종면;차성일;송우익;홍장수;임승운;임승운;임승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1호
    • /
    • pp.823-830
    • /
    • 2001
  • 배경: 흉부나 흉복부 대동맥 수술중 대동맥 혈류의 일시적 차단에 의해 유발되는 낮은 혈류압으로 인한 척추신경의 허혈성 손상에 의한 하지마비는 심각한 수술 합병증으로 남아 있다. 심장이나 뇌에 있어서 잠깐 동안의 허혈성 자극을 주는 허혈성 전처치는 이어지는 장기간의 허혈성 손상을 이길 수 있는 내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돼지 모델을 이용하여 이러한 허혈성 내성이 척추신경의 허혈성 전처치를 통하여도 생길 수 있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실험은 세 군으로 나뉘어 시행되었다 : sham 군(n=3), 대조군(n=6)과 허혈성 전처치군(n=8). Sham 군에서는 척추 신경의 허혈성 손상 없이 좌측 개흉술 만을 시행하였다. 대조군과 허혈성 전처치군은 30분간의 대동맥 차단을 통한 척추신경의 허혈성 손상이 가해졌다. 하지만 허혈성 전처치군은 48시간전에 20분간의 허혈성 자극이 선행되었다. 24시간 후에 신경학적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조직 병리와 MPA (malonedialdehyde) spectrophotometry 검사를 위하여 척추 신경을 취득하였다. 결과: 허혈성 손상 24시간 후에 행하여진 신경학적 검사에서 대조군과 허혈성 전처치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28). 조직병리와 MDA 검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얻을 수 없었으나, MDA 검사상 경계선상의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고 있었다. 결론: 본 돼지 실험 연구를 통해 비록 실험 동물들이 걷거나 설 수 있을 정도의 완전한 척추신경의 회복을 보이지는 못했으나, 허혈성 전처치가 척추신경의 30분간의 허혈성 손상에 대하여 견딜 수 있는 내성을 유발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허혈성 전처치가 기존의 척추신경의 허혈성 손상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들과 병행될 때 상승 보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기대되며, 이에 대한 실험들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35.81 $\textrm{mm}^2$(Level 1), 181.88$\pm$34.74 $\textrm{mm}^2$(Level 2)로 두 위치에서 단면적은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05). 기관의 각각의 위치에서 내경과 단면적은 연령군에 따라 고연령층에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결론: 한국 정상 성인의 기관내경과 단면적의 크기는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연령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전산화 단층촬영은 기관의 내경과 단면적의 크기를 얻는데 비교적 정확하고 안전한 방법이라 생각된다.의한 약물학적 전처치는 재관류 후 심근기능 회복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전처치 효과는 교감신경계 신경전달물질의 고갈이나 $\alpha$1-수용체 차단제에 의해 소멸되는 것으로 보아 전처치에 의한 심근보호효과는 교감신경계 전달물질 및 $\alpha$1-수용체를 통해 유도됨을 알 수 있다.380$\pm$71 mL, p=0.05).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을 공급한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어미의 성 성숙 및 산란은 두 번의 실험에서 대조구보다 저염분구에서 원만히 이루어졌다. 암컷 성숙 개체의 경우 1차 실험은 대조구 6마리, 저염분구 12마리였으며, 2차 실험은 대조구 5마리, 저염분구 12마리였으며, 2차 실험은 대조구 5마리, 저염분구 14마리로서 성숙유도에 있어 염분의 조절에 의한 성숙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산란 시기는 1차 실험에서 대조구나 저염분구의 산란 개시 시점이 거의 동일한 데 비해, 2차 실험에서는 저염분구가 대조구에 비해 대략 20일 정도 빠르게 나타났다. 또한 산란에 가입한 암컷 어미의 개체수도 두 차례의 실험 모두 저염분구가 많았다. 또한

  • PDF

신원방우황청심원의 뇌허혈 및 중추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Pharmacological Action of New Wonbang Woohwangchungsimwon Pill on Cerebral Ischemia and Central Nervous System)

  • 조태순;이선미;이은방;조성익;김용기;신대희;박대규
    • 약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51-262
    • /
    • 1999
  • In order to investigate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New Wonbang Woohwangchungsimwon Pill (NSCH) and Wonbang Woohwangchungsimwon Pill (SCH), the effects of NSCH and SCH on cerebral ischemia and central nervous system were compared. Cerebral ischemia insult was performed using unilateral carotid artery occlusion in mongolian gerbils. The histological observations showed preventive effects of NSCH and SCH treatments with ischemia-induced brain damage. The ATP in brain tissue was decreased in vehicle-treated ischemic gerbils. This decrease was prevented by SCH treatment. In contrast to what was inhibited by NSCH and SCH treatments. While NSCH and SCH had no effects on the hexobarbital-induced sleeping time, they prevented the seizures induced by electric shock and strychnine. NSCH and SCH showed sedative effect in rotarod and spontaneous activity test. Furthermore, NSCH and SCH showed anti-stress effect.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pharmacological profiles of NSCH on cerebral ischemia and central nervous system are similar to those of SCH.

  • PDF

Vasogenic Edema of the Basal Ganglia after Intra-Arterial Administration of Nimodipine for Treatment of Vasospasm

  • Ryu, Chang-Woo;Koh, Jun-Seok;Yu, Seung-Young;Kim, Eui-Jo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9권2호
    • /
    • pp.112-115
    • /
    • 2011
  • The intra-arterial administration of nimodipine (IAN) is commonly used for cerebral vasospasm refractory to medical treatments. We report two cases of vasogenic edema after IAN. Our patients with aneurismal subarachnoid hemorrhage presented with vasospasm, which was treated by IAN. Consequently, vasogenic edema developed in the basal ganglia. Reperfusion following IAN for vasospasm may have the potential for inciting vasogenic edema in the ischemic br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