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onic salt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19초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메타크릴산아연 하이브리드 복합체의 제조와 물성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EPDM/Zinc Methacrylate Hybrid Composites)

  • 장영욱;원종훈;주현석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0권1호
    • /
    • pp.59-65
    • /
    • 2005
  • 메타크릴산의 아연염인 ZMA를 EPDM고무와 직접 블렌딩하거나 또는 ZnO와 MAA의 형태로 첨가한 후 이들간의 중화반응을 유도하여 고무에 in-situ로 형성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EPDM/ZMA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인장시험, 인열시험, 열노화시험 결과 ZMA의 첨가는 EPDM의 기계적 물성 및 열노화에 대한 안정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ZMA의 첨가는 EPDM고무와 금속과의 접착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기계적물성 및 접착물성의 향상효과는 과량의 ZnO를 사용한 중화반응에 의해 ZMA를 형성시킨 복합체에서 더욱 크게 나타났다. 이는 ZMA의 도입에 의한 이온가교결합의 형성 및 고무매트리스에서의 ZMA 도메인의 분산도와 연관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전 고체 고분자 전지용 Oligo(EDOT)/PVdF 블렌드 전해질 (Oligo(EDOT)/PVdF Blend Electrolyte for All Solid Polymer Battery)

  • 김민수;권현주;조남주
    • 공업화학
    • /
    • 제33권3호
    • /
    • pp.289-29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동종의 thiophene계 고분자를 전극과 전해질 재료로 적용하여 고체 전해질과 전극이 맞닿은 계면 저항을 감소시킨 고분자 전지를 제작하였다. 먼저 poly(3,4-ethylenedioxy thiophene) (PEDOT) 기반 전극과의 계면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3,4-ethylenedioxy thiophene (EDOT) 올리고머[oligo(EDOT)]를 고체 전해질에 도입하고, oligo(EDOT)의 부족한 리튬 염 해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poly(vinylidene fluoride) (PVdF)와 블렌딩한 oligo(EDOT)/PVdF 블렌드 기반 고체 전해질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 oligo(EDOT)에 PVdF를 도입함으로써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는 증가하였다. 또 PEDOT 기반 전극과 oligo(EDOT)/PVdF 블렌드 기반 고체 전해질로 이루어진 전 고체 고분자 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동종의 thiophene계 고분자 물질을 전극과 전해질에 도입함으로써 계면 저항이 크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알루미늄 가공 공장 배출 방류수의 독성 원인물질 탐색 (Application of Toxicity Identification Evaluation Procedures for Toxic Effluents from the Aluminum Rolling Industry)

  • 나진성;이지호;김기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05-313
    • /
    • 2015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oxicants causing acute toxicity in effluents from the aluminum rolling industry that violate the discharge limits in Korea. Methods: Whole effluent toxicity tests (WET) were conducted on effluent discharged from the aluminum rolling industry following the US EPA WET test methods. We collected effluent samples three times and evaluated acute toxicity by using Daphnia magna. We employed toxicity identification evaluation (TIE) procedures to identify toxicants causing toxicity in the effluent. Results: No specific chemical groups were identified in the seven different manipulations applied to the of wastewater effluent samples showing 1.3 toxic units (TU) according to the TIE phase I procedures. Water quality parameters for water hardness, electric conductivity and heavy metals (Mn) were 4,322 mg/l as $CaCO_3$, 11.39 mS/cm, and $5,551{\mu}g/l$, respectively. Considering water hardness and reference toxicity, high concentrations of Mn can be disqualified from the causative toxicants. Consequently, high ionic concentrations of $Na^+$(1,648 mg/l), $Ca^{2+}$(1,048 mg/l), $Mg^{2+}$(1,428 mg/l) and $SO_4{^{2-}}$(7,472 mg/l) were identified to be causative toxicants. Water hardness and electric conductivity exceed the $EC_{50}$ value obtained by biological toxicity tests using Daphnia magna. Conclusion: According to TIE procedures, high salt concentration is determined to be a major toxicant in the effluent of agro-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receiving wastewater from the aluminum rolling industry.

역미셀을 이용한 Lysozyme 추출 최적조건 (Optimum Conditions of Lysozyme Extraction Using Reversed Micelles)

  • 전병수;김석규;윤성옥;송승구
    • KSBB Journal
    • /
    • 제14권6호
    • /
    • pp.661-664
    • /
    • 1999
  • Lysozyme 수용액으로부터 역미셀을 이용한 Lysozyme 추출공정에서 주요변수인 pH, 이온강도, AOT 농도, 추출시간 등을 실험을 통하여 연구하였으며, 미셀내의 수분함량과 lysozyme 농도는 비례관계임을 KCl 농도변화에 따른 결과로서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lysozyme의 등전점이 약 11.2로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경우 추출공정에 유리함을 알 수 있었고, 추출공정(forward extraction)에서의 최적조건은 pH 6-9일 때, 그리고 0.1 M 염농도와 50 mM이하의 AOT 농도에서 가장 높은 lysozyme 추출 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역추출(back extraction)에서는 pH 12이상, 1M 염농도에서 Lysozyme의 가장 높은 추출 효율을 나타내었다.

  • PDF

고분자 흡착제에 대한 유기산의 흡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Adsorption Behavior of Organic Acids by Polymeric Adsorbents)

  • 이대운;이인호;김달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83-494
    • /
    • 1988
  • 이온쌍크로마토그래피에서 방향족 유기산들의 머무름을 연구하기 위하여 Amberlite XAD-4 수지에 대한 분배계수 값을 측정하였다. 유기산들의 XAD-4 수지에 대한 흡착은 시료의 농도, 용액의 pH 그리고 이온쌍 형성시약의 농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Tetraalkylammonium염과 같은 이온쌍 형성 시약에 의한 유기산의 XAD-4 수지에 대한 흡착 증가는 전기적 이중층에 의한 이온 상호작용에 기인됨을 알았으며, 유기산과 이온쌍 형성 시약과의 상호작용은 공존이온과 상대이온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 영향을 받음을 알았다. 한편, 이온쌍 형성시약과 메탄올의 농도 변화에 따른 XAD-4수지에 대한 유기산의 뱃치법과 용리법에서 얻은 용량인자의 관계는 좋은 직선관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뱃치법의 실험으로써 용리법의 머무름을 예측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Advanced Formulation and Pharmacological Activity of Hydrogel of the Titrated Extract of C. Asiatica

  • Hong Soon-Sun;Kim Jong-Ho;Li Hong;Shim Chang-Ko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4호
    • /
    • pp.502-508
    • /
    • 2005
  • Titrated extract of Centella asiatica (TECA) contains three principal ingredients, asiaticoside (AS), asiatic acid (AA), and madecassic acid (MA). These components are known to be clinically effective on systemic scleroderma, abnormal scar formation, and keloids. However, one problem associated with administration of TECA is its low solubility in aqueous as well as oil medium. In this study, various nonionic surfactants and bile salts as anionic surfactant were tested and screened for solubilizing TECA with a view to developing topical hydrogel type of ointment which is stable physicochemically, and has better pharmacological effects. When TECA was incorporated into various nonionic surfactant systems, labrasol had the most potent capacity for solubilizing TECA. In cases of bile salt systems, Na-deoxycholate (Na-DOC) had foremost solubilizing capacity, even more than labrasol. In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ic study, the peaks of AA, MA, AS and Na-DOC disappeared at the coprecipitate of $1\%$ TECA and $1\%$ Na-DOC, suggesting the optimum condition of Na-DOC for solubilizing TECA. When the physicochemical stability of hydrogel containing this mixture was assessed, it was stable at room temperature for at least one month. Pharmacologically i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ize of wound area at the $9^{th}$ day when applied to the wound area of rat dorsal skin. Taken together, solubility of TECA was dramatically improved by using non ionic and anionic surfactant systems, and Na-DOC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solubilizer of TECA in formulating a TECA-containing hydrogel typed ointment. Moreover this gel was considered to be applicable to clinical use for wound healing effect.

혼합 용매로서의 1-Ethyl-1-Methyl Piperidin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의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별 거동 (1-Ethyl-1-Methyl Piperidin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as a Co-Solvent for Li-ion Battery Electrodes)

  • 고아름;김기택
    • 전기화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3-11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리튬 이차 전지의 가연성이 높은 액체 전해액의 대체 또는 개선을 위하여 이온성 액체 전해액으로 전극들에서의 거동을 관찰하였다. 이온성 액체인 1-ethyl-1-methyl piperidin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PP12 TFSI)는 녹는점이 $85^{\circ}C$이므로 상온에서 고체상이다. PP12 TFSI를 단독으로 전해액에 사용할 수 없으므로 리튬 이온 전지용 용매와 혼합하여 사용한다. PP12 TFSI를 50 wt.% 이상 사용하면 난연성이 아주 좋은 반면에 점도가 높아서 전해액 함침이 어렵다. 이온성 액체의 비율을 44 wt.%(이온성 액체:용매=1:1.25 wt.%)로 맞추고, 혼합한 용매는 EC/DEC(1/1 vol.%)이며, $LiPF_6$의 농도가 1.5 M이 되도록 전해액을 준비하여 연구하였다. 준비한 전해액은 자가소화시간 25초의 준수한 난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여러 종류의 전극에서도 우수한 수명 성능을 보여주었다. 적용된 전극은 $LiNi_{0.5}Mn_{1.5}O_4(LNMO)$, $LiFePO_4(LFP)$, $Li_4Ti_5O_{12}(LTO)$, artificial graphite이며, 특히 음극으로 사용된 artificial graphite에서의 전해액 분해를 방지하기 위한 첨가제의 거동도 관찰하였다. 여전히 전극으로의 함침의 문제가 다소 관찰이 되었으며 이런 문제가 개선될 수 있는 최적화된 혼합 이온성 액체 전해액이 개발된다면 이온성 액체의 난연성 특성은 더욱 활용성이 높아질 것이다.

MCM-41/Po1y(ethylene oxide) 복합체로 구성된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와 전기화학적 특성 (Preparation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lymer Electrolyte Based on MCM-41/Poly(ethylene oxide) Composites)

  • 김석;강진영;이성구;이재락;박수진
    • 폴리머
    • /
    • 제29권4호
    • /
    • pp.403-40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mobil crystalline material-41(MCM-41)의 함량 변화에 따른 고체 고분자 전해질(solid polymer electrolyte, SPE)의 이온전도도의 변화를 고찰하기 위하여, poly(ethylene oxide)(PEO), 메조포러스 기공 구조를 가지는 MCM-41 분자체, 그리고 리튬염을 이용하여 SPE를 제조하였다. SPE의 결정화도는 X-선 회절분석(XRD) 및 시차주사열량계(DSC)를 통하여 살펴보았으며, 주파수반응분석(FRA)으로 이온전도도를 측정하여 이온 전도거동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MCM-41을 고분자 혼합물에 첨가함에 따라 PEO의 견정성 영역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었으며, 이는 MCM-41이 메조포러스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P(EO)_{16}LiClO_4$/MCM-41 전해질 복합체의 이온 전도도는 8$wt\%$의 MCM-41을 첨가한 경우 가장 큰 이온전도도를 가지며, 8$wt\%$이상에서는 다소 감소된 이온전도도를 가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온전도도의 특성은 MCM-41의 첨가에 따른 고분자의 결정화도 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위한 고분자 전해질막에서의 이온농도의 효과 (Effect of Salt Concentration on Electrolyte Membranes for Dye Sensitized Solar Cells)

  • 권소영;윤미혜;조두현;정유영;구자경
    • 멤브레인
    • /
    • 제21권3호
    • /
    • pp.213-221
    • /
    • 2011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위한 겔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고분자물질로는 Poly(ethylene oxide) (PEO)를 사용하였으며, 가소제로서 poly(ethylene glycol) (PEG)을 첨가하였고, 전해질염 및 $I^-/I_3^-$의 공급원으로서 KI 및 $I_2$를 첨가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였으며, 이와 같은 고분자 전해질막을 바탕으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고분자 전해질 내의 가소제로서의 PEG는 95%의 함량으로 주입되었으며, 전해질 내의 EO 1 mole 당 KI mole 수([KI]/[EO] 비)가 0.022, 0.044, 0.066 및 0.088이 되도록 KI가 주입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겔 전해질막은 상온에서 왁스(wax) 형태를 보였다. 낮은 KI 함량의 영역에서는 KI 함량이 증가하면서 전해질막을 통한 이온전도도가 증가하였으며, [KI]/[EO]비가 0.066인 때에 이온전도도는 최대값을 보인 후 0.088로 증가하면서 이온전도도는 감소하였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있어서는 고분자 전해질막 내의 KI 함량이 증가하면서 $V_{OC}$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J_{SC}$의 경우 낮은 KI 함량의 범위에서는 KI 함량이 증가하면서 $J_{SC}$는 증가하였으며 [KI]/[EO]비가 0.044인 때에 $J_{SC}$가 최대값을 보인 후 그 이상의 높은 범위에서는 KI함량의 증가에 따라 $J_{SC}$는 감소하였다.

정삼투막에 의한 붕산함유 방사성 폐액 처리를 위한 pH 및 이온강도 영향 (Influence of pH and Ionic Strength on Treatment of Radioactive Boric Acid Wastes by Forward Osmosis Membrane)

  • 최혜민;황두성;이근우;문제권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93-198
    • /
    • 2013
  • 일반적으로 역삼투압 공정에 의해 중성 pH 조건에서 40~90%의 붕소를 회수할 수 있다.정삼투공정은 새로운 선진 기술로 폐수처리 및 담수화 분야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삼투공정으로 방사성 액체 폐기물의 붕소제거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하는데 있다. 액체폐기물에서의 붕소 제거를 위한 정삼투공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pH, 삼투압, 용액의 이온강도 등을 고려하였다. 폐액의 붕산분리능을 좌우하는 주 조업변수인 pH 조건은 pH 7 이하에서 80% 이상의 붕소분리를 달성할 수 있었다. 약 1,000 mg/L 정도의 염농도에서는 막의 물의 플럭스는 거의 영향이 없었으나 붕소 투과율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공급액 내 붕소 농도 증가에 따라 붕소플럭스는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붕소의 투과율은 약 80% 정도로 일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