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ventive ideas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7초

현대 의상에 표현된 인상주의 회화 양식 (The Painting of Impressionism on the Modern Fashion)

  • 이효진;정흥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5-80
    • /
    • 1994
  • In the 20th century, The artistic world was constantly producing new ideas and movements and the world of fashion responded to and reflected them all in greater of lesser degree. Dress designers have always been aware of what is happening In the arts and have always been able to use the discoveries and ideas of the artist to help them solve design problems and create fashion which are new, inventive and reflective of thier time. Up to the present, other researchers have investigated the connections between the fine arts and the Modern Fashion. In this respec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painting of the Impressionism on the Modern Fash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end of painting and Modern Fashion. Especially, Impressionism's light and color affected both 20th's painting and other sorts of art. That is, the trend of the modern painting, Fauvism, Cubism, Surrealism, Abstract art, Abstract Expressionism, was influenced by Impressionism painting. Similarly, in the sihouette, line, color, fabric pattern of the Modem Fashion was represented characteristics of the Impressionism Painting. The fashion's Fauve, Paul Poiret was excited by the power of color in the same intense way as the 'wild beasts' of art. The color of his clothes during that period was bold and brilliant. Gabrielle Chanel simplified the shape of women's clothes to a square cardigan and rectangular skirt. This was a cubist concept. Art and fashion probably held hands closest in the 1930s, when Elsa Schiaparelli was creating clothes directly influenced by the Surrealist thinking of Salvador Dali. And she burst upon the fashion world with a sweater that had a trompe I'oeil bow. Soma Delaunay was one of great pioneers of Abstract in. She proceeded to mix strong and bright colors into her art and created the geometric and abstract patterns of the clothes and fabrics with her strong color. The influence of Abstract Expressionism was expressed the fabrics of the Modern Fashion. Some fabrics used in Modern Fashion are printed in a dripping pouring and splashing style. For the future, some futher research to investigate the art-fashion connection might involve establishing systematic classifications for silhouette, line, texture, color of the fashion. Moreover, in order to study the influence of fine art on the fashion, a broader approach might wish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ainting and other plastic arts.

  • PDF

초기 들뢰즈 철학에 관한 연구 (An inquiry concerning early philosophy of G. Deleuze)

  • 진기행
    • 철학연구
    • /
    • 제123권
    • /
    • pp.409-440
    • /
    • 2012
  • 철학연구를 시작하던 초기에 질 들뢰즈 G. Deleuze가 수많은 앞선 철학자들, 즉 흄 D. Hume, 루크레티우스 Lucretius, 칸트 I. Kant, 스피노자 B. Spinoza, 니체 F. W. Nietzsche, 베르그송 H. Bergson등에 대한 전기적(傳記的)인 연구로부터 시작하고 있음은 잘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스피노자, 니체, 베르그송은 들뢰즈 사상의 전체를 지탱하는 근간을 이루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초기에 그가 행한 전기적인 저작들 전체가 스피노자와 니체라고 하는 두 명의 철학자의 <동일성 identity>으로 수렴되는 테마를 목표로 하고 있었다고 스스로 밝히고 있으며, 그것은 적어도 당시의 그에게는 이들 두 명의 철학자가 그토록 커다란 중요성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우리는 두 가지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 하나는 차이 difference의 철학자로 간주되는 들뢰즈가 어째서 동일성을 말하는가 하는 점이며, 다른 하나는 과연 이들 두 명의 철학자 간에 어떤 동일성이 있다는 것인가 하는 점이다. 오히려 상식적으로는 신을 그 체계의 중심에 놓고 있는 스피노자의 철학에 대해서 '신은 죽었다'라고 하는 니체의 철학이 정면으로 대비되는 것은 아닌가. 니체도 처음에는 스피노자에게 대단한 공감을 표시하기는 했지만, 곧바로 스피노자에 대하여 심각한 비판을 가했다. 그리고 이 비판의 중심에는 신의 존재와 부재를 둘러싼 대립이 놓여 있다. 하지만 스피노자의 철학이 무신론적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는 것도 오래전부터 지적되어 왔다. 들뢰즈도 또한 스피노자를 무신론자라고 부르고 있으며, 스피노자가 '힘'power 개념에 착안한 점에 근거하여, 스피노자를 니체와 비교하여 해석하고 있다. 반면에 들뢰즈는 니체를 스피노자와 비교하여 다시 해석하기도 한다. 그때에는 니체의 '힘'에의 의지를, 스피노자의 '힘' 개념과의 공통성에 근거하여, 완전히 들뢰즈 자신만의 독자적인 착상으로 변형시켜 해석한다. 이처럼 '힘' 개념을 매개로 스피노자와 니체 사이에서 진행된 쌍방향적인 사고의 운동이 들뢰즈에게 두 명의 철학자의 동일성을 말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초기 들뢰즈에 있어서 이 쌍방향적인 사고의 운동을 고찰함으로써, 그가 말하는 두 철학자의 동일성의 기반을 밝힘과 동시에 이러한 운동의 결과로서 차이의 철학자 들뢰즈에 의해 언급되는 이 동일성이 어떠한 것인지를 규명해 보려고 한다. 또한 이 동일성의 성립 과정에서 두 철학자 사이에 놓인 신의 존재와 부재의 대립이 들뢰즈에 의하여 전혀 다른 모습으로 새롭게 조명되는 점도 살펴보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