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racelluar membran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세포막 물질수송계의 조절에 의한 유기수은의 세포독성 변화에 대한 연구 (Changes on the Methylmercury-induced Cytotoxicity by Control of Cell Membrane Transport System)

  • 염정호;고대하;김준연;김남송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8-96
    • /
    • 2000
  •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transport system in EMT-6 cell for the uptake of the methylmercury(MeHg). Several inhibitors ere used to test used to test which potential transport system might be involoved in MeHg uptake. Probenecid was used to test the organic transport system, valinomycin for testing the effect of the membrane potential, cytochalasin B for testing the facilitated diffusive D-glucose transport system and colchicine for testing the microtubule system. Ouabain for evaluating active transport system, 4',4-diisothiocyano-2',2-stilbenedisulfonic acid(DIDS) the Cl- ion transport system and verapamil for the $Ca^{2+}$ transprot system. Significantly, MeHg decreased the synthesis of nitric oxcide(NO) and intracellular ATP in ENT-6 cells. In the condition of ouabain containing with MeHg decreased the production of NO and intracelluar ATP. In the treatment of inhibitors, ouabain showed protective effect against cytotoxicity of MeHg but ather inhibitors not showed protective effects. The protective effects of ouabain against the cytotoxicity of MeHg deoended on the concentration of added ouabain to the culture medium for MET-6 cells. These result showed that the uptake of MeHg might be involved in the active transport system. Active transports system seems to share similarities with the transport systems for the uptake of MeHg when using MeHg and MeHg-glutathione complex.x.

  • PDF

저온 환경이 Canola 원형질막의 Fatty Acid 구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w Temperature up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Plasma Membrane of Canola)

  • 권성환;;전희;김재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36-143
    • /
    • 1995
  • Canola(Brassica napus) 엽에서 추출한 미세막으로부터 PEG-dextran 2상분획법을 이용하여 세포막과 세포내막을 분리하였다. U$_2$ 상에 있는 원형질막의 $K^{+}$-ATPase의 특이활성도가 미세막에 비하여 $25^{\circ}C$에서 자란 canola는 6.6배, 1$0^{\circ}C$에서 4.6배 각각 증가되었다. 원형질막(U$_2$)은 미세막이나 세포내막(L$_2$) 보다 cytochrome-c-oxidase 활성이 적게 나타난 반면, 세포내막에서는 $K^{+}$-ATPase의 특이활성도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1$0^{\circ}C$에서 생장한 canola의 18:3/18:2 률은 $25^{\circ}C$보다 29.2% 더 높게 나타났다. 원형질막의 2중결합지수는 1$0^{\circ}C$에서 생장한 canola가 $25^{\circ}C$에서 생장한 것보다 8.9% 더 증가되었으며 세포내막에서도 같은 경향으로써 1$0^{\circ}C$에서 19.7% 더 증가되는 현상을 보였다. 또한 엽록소 함량은 1$0^{\circ}C$에서 생장한 것이 $25^{\circ}C$에 비하여 17.3% 낮았다. Canola가 저온에서 생장시 주로 $C_{18}$ 지방산들이 변화되어, 세포막 내에 불포화 지방산이 많았으며, 그 중에서도 리롤렌산(18:3)이 크게 변화되는 현상을 보였다. 이러한 변화는 생리적으로 canola의 세포막이 저온에 살아가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추정된다.

  • PDF

해마 theta 리듬과 pyramidal neuron의 세포내 특성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S BETWEEN HIPPOCAMPAL THETA RHYTHM AND INTRACELLULAR CHARACTERISTICS OF PYRAMIDAL NEURONS)

  • 권오흥;김영진;남순현;김현정;이만기;조진화;최병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71-682
    • /
    • 1998
  • Electrophysiological phenomena of pyramidal cells in the CA1 area of the dorsal hippocampus were recorded from and filled with neurobiotin in anesthetized rats. The electro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membrane as well as the cellular-synaptic generation of rhythmic slow activity (theta) were examined. The intracellular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se pyramidal cells were distinctly different from responses of interneurons. Pyramidal cells had a high resting membrane potential, a low input resistance, and a large amplitude action potential. A afterhyperpolarization was followed a single action potential. Most of pyramidal cells did not display a spontaneous firing. Pyramidal cells displayed weak inward rectification and anodal break excitation. The slope of the frequency-current relation was 53.4 Hz/nA for the first interspike interval and 15.9 Hz/nA for the last intervals, suggesting the presence of spike frequency adaptation. Neurobiotin-filled neurons showed pyramidal morphology. Cells were generally bipolar dendritc processes ramifying in stratum lacunosum-moleculare, radiatum, and oriens. Commissural stimulation discharged pyramidal cells, followed by excitatory and inhibitory postsynaptic potentials (EPSPs and IPSPs). The frequency of theta-related membrane potential oscillation was voltage-independent in pyramidal neurons. At strong depolarization levels (less than 30 mV) pyramidal cells emitted sodium spike oscillation, phase-locked to theta. The observations provide direct evidence that theta-related rhythmic hyperpolarization of principal cells is brought by the rhythmically discharging interneurons. Furthermore, the findings in which interneurons were also paced by rhythmic inhibitory postsynaptic potentials during theta suggest that they were periodically hyperpolarized by their GABAergic septal afferents.

  • PDF

고전압 펄스 전기장에 의한 Saccharomyces cerevisiae의 세포내·외적 사멸 기작 연구 (Intra- and Extra-cellular Mechanism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Inactivation by High Voltage Pulsed Electric Fields Treatment)

  • 이상재;신정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87-94
    • /
    • 2015
  • 비가열 살균 기술 중 본격적인 상업적 실용화를 눈앞에 두고 있는 고전압 펄스 전기장에 의한 미생물의 사멸 기작에 대해 살펴보았다. 세포 현탁액을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하였을 경우 처리 시간이나 전기장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세포 외액으로 세포내 물질의 유출이 증가하였으며, 세포막 투과성의 변화로 인하여 $K^+$, $Na^+$등이 이온 성분의 유출도 나타났다. 염색시약에 의한 세포의 염색에서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염색되는 세포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전자현미경에 의한 세포의 관찰 결과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를 받은 세포의 경우 처리 받지 않은 것에 비해 표면이 거칠고 굴곡이 있었으며, 세포막이 터져 세포내 물질이 외부로 유출되고 형태가 일그러진 것이 관찰되었다. 항생물질 첨가에 따른 회복 실험에서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에 의해 세포의 단백질 합성 체계에 손상을 입었으며, chromosomal DNA의 분리를 통한 DNA의 손상여부 관찰 결과 약 27.3%의 DNA의 손상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가 세포벽이나 세포막의 손상뿐만 아니라 대사 체계와 DNA에도 손상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haracteristic Intracelluar Response to Lidocaine And MK-801 of Hippocampal Neurons: An In Vivo Intracellular Neuron Recording Study

  • Choi, Byung-Ju;Cho, Jin-Hwa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권3호
    • /
    • pp.297-305
    • /
    • 1998
  • This study used in vivo intracellular recording in rat hippocampus to evaluate the effect of lidocaine and MK-801 on the membrane properties and the synaptic responses of individual neurons to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commissural pathway. Cells in control group typically fired in a tonic discharge mode with an average firing frequency of $2.4{\pm}0.9$ Hz. Neuron in MK-801 treated group (0.2 mg/kg, i.p.) had an average input resistance of $3.28{\pm}5.7\;M{\Omega}$ and a membrane time constant of $7.4{\pm}1.8$ ms. These neurons exhibited $2.4{\pm}0.2$ ms spike durations, which were similar to the average spike duration recorded in the neurons of the control group. Slightly less than half of these neurons were firing spontaneously with an average discharge rate of $2.4{\pm}1.1$ Hz. The average peak amplitude of the AHP following the spikes in these groups was $7.4{\pm}0.6$ mV with respect to the resting membrane potential. Cells in MK-801 and lidocaine treated group (5 mg/kg, i.c.v.) had an average input resistance of $3.45{\pm}6.0\;M{\Omega}$ and an average time constant of $8.0{\pm}1.4$ ms. The cells were firing spontaneously at an average discharge rate of $0.6{\pm}0.4$ Hz. Upon depolarization of the membrane by 0.8 nA for 400 ms, all of the tested cells exhibited accommodation of spike discharge. The most common synaptic response contained an EPSP followed by early-IPSP and late-IPSP. Analysis of the voltage dependence revealed that the early-IPSP and late-IPSP were putative $Cl^--and\;K^+-dependent$, respectively. Systemic injection of the NMDA receptor blocker, MK-801, did not block synaptic responses to the stimulation of the commissural pathway. No significant modifications of EPSP, early-IPSP, or late-IPSP components were detected in the MK-801 and/or lidocaine treat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MK-801 and lidocaine manifest their CNS effects through firing pattern of hippocampal pyramidal cells and neural network pattern by changing the synaptic efficacy and cellular membrane properties.

  • PDF

흰쥐 뇌내(腦內)의 무수카린성 콜린 수용체의 이질성(異質性) (Multiple Binding Affinities for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s in Rat Brain)

  • 이종화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1-111
    • /
    • 1987
  • 중추신경계 특히 뇌내(腦內)의 무수카린성 콜린 수용체 (mAchR)에 대한 수용체 특성의 연구의 하나로, 물리 화학적 성상에 다른 두 종류의 콜린길항제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두 형태의 조직에서 약물의 작용양상 및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을 정초하였다. 실험동물로는 흰쥐를 일정기간 규정사료를 사육하였고, 사용한 Radioactive ligands는 $(^3H)$ QNB와 $(^3H)$ NMS였으며 그외에 다른 수종의 길항제 또는 효능제와의 치환작용을 brain homogenates와 intact brain cell aggregates에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3H)$ QNB와 $(^3H)$ NMS는 모두 질량작용의 법칙에 비례하여 수용체와의 결합에서 높은 친화력과 포화를 보였으며 또한 높은 결합 능력을 나타내었다. 더욱이 homogenates 제제와 intact cell aggregates제제에서의 결과 사이에는 유사한 점이 많았다. 2. Homogenates제제를 사용한 실험에서, 제 3 급아민콜린길항제인 QNB, atropine과 scopolamine 또는 제 4 급 암모늄골린 길항제인 methylatropine과 methylscopolamine을 사용하여 위의 radioactive ligands와의 치환작용을 검토하였다. $(^3H)$ NMS 실험군에서는 제 3 급아민 및 제 4 급 암모늄길항제 모두가 구조의 구별없이 질량작용의 법칙에 따라 치환되었으나 $(^3H)$ QNB 실험군에서는 제 4급 암모늄콜린 길항제들을 단일성(unity)이 아닌 높고 낮은 두 종류의 친화도를 가진 결합부위의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 비특이성 콜린길항제인 pirenzepine을 사용한 실험군에서는 두 ligands을 모두 치환시켰고 서로 다른 결합부위가 있음을 보였다. 3. Intact cell aggregates 제제를 사용한 실험에서, $(^3H)$ NMS와 $(^3H)$ QNB 모두 homogenates 제제에서와 같은 양상의 반응을 보였다. 또 $(^3H)$ NMS를 radioligand로 하여 수종의 콜린길항제와 수종의 콜린 효능제를 사용하여 약물 상호작용으로 수용체의 성질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콜린 길항제들은 질량작용의 법칙에 따라 치환되었으나 콜린 효능제 투여군에서는 높고 낮은 두 종류의 다른 친화력의 결항부위를 나타내었다. 4. 위의 실험의 결과로,(a) 친유성콜린 길항제인 $(^3H)$ QNB는 친수성 콜린길항제인 $(^3H)$ NMS보다 훨씬 높은 결합능력을 보였으며 이것으로 수용체 특히 mAchR의 존재 장소 또는 mAchR의 형상의 일부는 세포막 표면 뿐 아니라 세포막내의 어떤 부위와도 관계가 되는 것으로 간주되는데 이것이 $(^3H)$ QNB가 $(^3H)$ NMS보다 높은 최대 결합능력 $(B_{max})$을 나타낼 이유이다. (b) 두 종류의 다른 제제에서 우리는 같은 양상의 결과를 관찰하었기에 결점이 많은 homogenates 제제보다는 intact cell aggregates 제제를 수용체 연구에 대한 새로운 실험모형(experiment model)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